2007-05-18
org.kosen.entty.User@7fd64c49
김미화(howdy0823)
- 3
실험을 하고 보통 통계분석을 하잖아요~
왜 하는건가요?? 그냥 단지 내 실험이 맞다고 해서요??
좀 구체적인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교수님이 갑자기 물어 보셨는데 실험이 맞다고 라고 밖에 대답 못했네요..;
더 자세히 알아 오라고.....;;;;;
아무리 찾아봐도 아무리 생각해도 잘 모르겠네요.. ㅠㅠ
좀 도와주세요~
- anova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김병훈님의 답변
2007-05-18- 0
통계학을 전공하시는분들께서 자세한 답변을 해주시겠지만. 간략히 말씀드리면 말씀하신것처럼 실험이 맞다.. 즉 내가 한 실험이 한두번 통해서 나온 우연의 결과가 아니라 여러번 실험을 통해서 얻은 결과로서 오차가 없으며 유의성이 있다 없다를 판정하기 위해서입니다. 그냥 말로만 내가 한 실험은 정확하다라고 말하는것보단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다라고 한다면 그건 전세계에서 누가보더래도 인정을 해줄수 있는것이고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다라고 한다면 실험은 우연적인 실험의 결과라고 볼수밖에 없겠지요.. 그러나 통계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변량 즉 실험횟수가 어느정도는 되어야 통계적인 처리가 가능하답니다. 흔히 10번정도해서 평균을 내는것도 통계는 통계지만 큰 의미를 부여할수는 없겠죠? -
답변
Jungeui Hong님의 답변
2007-05-23- 0
>실험을 하고 보통 통계분석을 하잖아요~ > >왜 하는건가요?? 그냥 단지 내 실험이 맞다고 해서요?? > >좀 구체적인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 >교수님이 갑자기 물어 보셨는데 실험이 맞다고 라고 밖에 대답 못했네요..; > >더 자세히 알아 오라고.....;;;;; > >아무리 찾아봐도 아무리 생각해도 잘 모르겠네요.. ㅠㅠ >좀 도와주세요~ 모든 실험에는 편차와 에러가 있기 때문입니다. 자신의 실험결과가 어느정도의 편차와 에러범위내에서 '진실'이다라고 인정받을 수 있는지를 과학적이고 수리적으로 서술하는 것이 통계의 목적입니다. 원래 유전학과 관련된 고전적인 논쟁에서부터 이미 생물학계내에 깊숙히 관련되어 있었음에도 분자생물학 시대에 단 하나의 유전자 및 단백질의 성질분석이 초점이 맞춰지던 시대에는 상대적으로 생물학자들에게 엄청난 무시(?)를 받아온 듯합니다. 통계분석없이도 왠만큼은 논문을 쓸 수 있었거든요.. 하지만 현실이 바뀌었죠..단순한 실험군-대조군 결과에서도 기본적으로 통계적인 유의성을 뜻하는 p-value 기입은 필수가 되었습니다..더구나 대량의 데이터를 통째로 분석하는 -omics 분야에서는 통계를 모르고는 실험실 파이펫팅에서 한발짝도 더 나가기 어려운게 현실입니다... 현실적으로 말씀드리자면 논문을 쓰기 위해서도 간단한 t-test를 통해 p-value 정도는 기술을 하실 수 있어야 합니다..아니면 그런 단순 통계분석 미비를 이유로도 얼마든지 리젝이 올 수도 있거든요. -
답변
이익환님의 답변
2007-06-02- 0
>실험을 하고 보통 통계분석을 하잖아요~ > >왜 하는건가요?? 그냥 단지 내 실험이 맞다고 해서요?? > >좀 구체적인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 >교수님이 갑자기 물어 보셨는데 실험이 맞다고 라고 밖에 대답 못했네요..; > >더 자세히 알아 오라고.....;;;;; > >아무리 찾아봐도 아무리 생각해도 잘 모르겠네요.. ㅠㅠ >좀 도와주세요~ 답변: 관련사이트 소개합니다. 정답이란 있을 수 없는 것이지만 사이트 열람하여 스스로 정답에 가깝게 가시도록 하시면 어떨까요?? * http://www.lasinfo.com/prod-lims.htm * http://web.chungbuk.ac.kr/~skjong/6952002/syllabus.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