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API KIT를 이용하여 바실러스를 분리동정하고 있는데요~~~

Agar에서 균을 따서 kit를 사용하는 방법과 broth에서 kit를 사용하는것 중 어느것이 더 효율적이며 정확한지 궁금합니다. 그리고..동정결과 60%로 일치한다고 나왔는데...어느정도 일치해야..분리가 되었는지..알수 있습니까~~?? 마지막으로 Reading할때 0번(control)에 기준을 둬서 해석을 해야하는지 처음 배지색갈에 기준을 두어야 하는지.... 색이 완전히 변했을때 양성으로 판단해야는지...쪼금만 변해도..양성으로 판단해야 될찌..?? 참 실험이 아리송한게..
  • API KIT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유용규님의 답변

    >Agar에서 균을 따서 kit를 사용하는 방법과 broth에서 kit를 사용하는것 중 어느것이 더 효율적이며 정확한지 궁금합니다. >그리고..동정결과 60%로 일치한다고 나왔는데...어느정도 일치해야..분리가 되었는지..알수 있습니까~~?? >마지막으로 Reading할때 0번(control)에 기준을 둬서 해석을 해야하는지 처음 배지색갈에 기준을 두어야 하는지.... 색이 완전히 변했을때 양성으로 판단해야는지...쪼금만 변해도..양성으로 판단해야 될찌..?? 참 실험이 아리송한게.. 경우에 따라서는 액상을 사용하면 액상배지성분이 영향을 주기 때문에 좋지 않다고 하시는 분들도 있는데 액상배지를 이용할 때에 spin down해서 사용하시면 별 차이 없습니다.... 이게 찜찜하시면 고형배지를 사용하시는게 좋구요... 그리고 액상배지를 사용하더라도 spin down을 해서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농화액상배지(Nutrient broth, LB broth, TSA broth 등)에서 배양하고 배양액을 직접 주입하여 McFaland를 맞추는 것은 좋지않습니다. 그리고 고형배지쪽이 다루기가 더 편하것 같군요. 저의 경우도 고형배지에서 colony 형태 확인하면서 suspension media나 그외의 media에 풀어서 사용합니다. API kit를 이용해서 동정을 한다고 했을 때... 90% 이상의 결과값이 나오면 좋죠 찜찜하지도 않구요. 근데 막상 kit를 이용해서 실험을 하면... 어쩔때는 B. cereus, B. anthracis 70% 이런식으로 나올때가 있거든요... API kit 의 결과는 참고용이고 확정용으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속수준까지는 어느정도 맞아들어가긴 하지만... API kit실험결과를 바탕으로 확증실험을 해야 완전하게 동정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API kit는 읽는사람의 주관에 의해서 실험결과가 흔들릴 수 있다는게 주된 문제중 하나라고 볼 수 있는데... 보통 중간색 이상변했을 때라고 하거든요.... API manual에 나와있는 결과사진을 바탕으로 해보시는게 좋을 듯하네요... 실제로 보면서 말씀드리는게 좋겠지만.... 말로 설명하기가 좀 그렇습니다.
    >Agar에서 균을 따서 kit를 사용하는 방법과 broth에서 kit를 사용하는것 중 어느것이 더 효율적이며 정확한지 궁금합니다. >그리고..동정결과 60%로 일치한다고 나왔는데...어느정도 일치해야..분리가 되었는지..알수 있습니까~~?? >마지막으로 Reading할때 0번(control)에 기준을 둬서 해석을 해야하는지 처음 배지색갈에 기준을 두어야 하는지.... 색이 완전히 변했을때 양성으로 판단해야는지...쪼금만 변해도..양성으로 판단해야 될찌..?? 참 실험이 아리송한게.. 경우에 따라서는 액상을 사용하면 액상배지성분이 영향을 주기 때문에 좋지 않다고 하시는 분들도 있는데 액상배지를 이용할 때에 spin down해서 사용하시면 별 차이 없습니다.... 이게 찜찜하시면 고형배지를 사용하시는게 좋구요... 그리고 액상배지를 사용하더라도 spin down을 해서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농화액상배지(Nutrient broth, LB broth, TSA broth 등)에서 배양하고 배양액을 직접 주입하여 McFaland를 맞추는 것은 좋지않습니다. 그리고 고형배지쪽이 다루기가 더 편하것 같군요. 저의 경우도 고형배지에서 colony 형태 확인하면서 suspension media나 그외의 media에 풀어서 사용합니다. API kit를 이용해서 동정을 한다고 했을 때... 90% 이상의 결과값이 나오면 좋죠 찜찜하지도 않구요. 근데 막상 kit를 이용해서 실험을 하면... 어쩔때는 B. cereus, B. anthracis 70% 이런식으로 나올때가 있거든요... API kit 의 결과는 참고용이고 확정용으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속수준까지는 어느정도 맞아들어가긴 하지만... API kit실험결과를 바탕으로 확증실험을 해야 완전하게 동정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API kit는 읽는사람의 주관에 의해서 실험결과가 흔들릴 수 있다는게 주된 문제중 하나라고 볼 수 있는데... 보통 중간색 이상변했을 때라고 하거든요.... API manual에 나와있는 결과사진을 바탕으로 해보시는게 좋을 듯하네요... 실제로 보면서 말씀드리는게 좋겠지만.... 말로 설명하기가 좀 그렇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