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gpc에서..

gpc실험에서 키랄성과 아로마틱링을 사용하지않는데 그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자세히좀 알려주세요.
  • gpc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심용호님의 답변

    >gpc실험에서 키랄성과 아로마틱링을 사용하지않는데 >그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자세히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말씀하시는 GPC는 gel permeation chromatographie 이겠죠. 이 기기를 사용해서 얻는 정보는 분자량 및 분산도 입니다. 그 분자량과 분산도도 standard에 비교해서 얻는 상대적 분자량/분산도 입니다. 간혹 절대 분자량을 얻을 수 있기는 하지만 고분자라는것이 워낙에 다양해서 대부분 상대적 분자량으로 비교하는 것이 일반적인 사례입니다.(Maldi, DLS 또는 점성도를 통해서 얻기도 합니다) 키랄성과 아로마틱을 말씀하시는데 컬럼의 재질을 말씀하시는 것인지 아니면 분석 물질인 고분자들의 성질을 말씀하시는 것인지... 어떤 경우에도 키랄성과 아로마틱관련 물질을 GPC로 분석하는 장점이 없는 것으로 압니다. GPC는 일반적으로 고분자의 크기로 분리가 되는 원리를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단지 용매 내의 크기 (hydrodynamic volume)에 의해서 분리/분석이 되는 것입니다. 즉 키랄성과 아로마틱이 있든 없든 큰 차이가 보이지 않을 것입니다. 만약 차이를 보인다면 키랄성으로 인해서 물질의 구조가 단단하게 모양을 잡은 것입니다. 그렇다면 standard로 사용하는 물질과 비교하기에 에로사항이 많아지고 오차가 커지는 것이죠. 굳이 키랄성과 아로마틱 물질을 분석해서 보려면 polarimeter라든가 NMR을 사용해서 보는 것이 더 좋을것 같습니다. 원하시는 답변이 됐는지 모르겠네요.
    >gpc실험에서 키랄성과 아로마틱링을 사용하지않는데 >그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자세히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말씀하시는 GPC는 gel permeation chromatographie 이겠죠. 이 기기를 사용해서 얻는 정보는 분자량 및 분산도 입니다. 그 분자량과 분산도도 standard에 비교해서 얻는 상대적 분자량/분산도 입니다. 간혹 절대 분자량을 얻을 수 있기는 하지만 고분자라는것이 워낙에 다양해서 대부분 상대적 분자량으로 비교하는 것이 일반적인 사례입니다.(Maldi, DLS 또는 점성도를 통해서 얻기도 합니다) 키랄성과 아로마틱을 말씀하시는데 컬럼의 재질을 말씀하시는 것인지 아니면 분석 물질인 고분자들의 성질을 말씀하시는 것인지... 어떤 경우에도 키랄성과 아로마틱관련 물질을 GPC로 분석하는 장점이 없는 것으로 압니다. GPC는 일반적으로 고분자의 크기로 분리가 되는 원리를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단지 용매 내의 크기 (hydrodynamic volume)에 의해서 분리/분석이 되는 것입니다. 즉 키랄성과 아로마틱이 있든 없든 큰 차이가 보이지 않을 것입니다. 만약 차이를 보인다면 키랄성으로 인해서 물질의 구조가 단단하게 모양을 잡은 것입니다. 그렇다면 standard로 사용하는 물질과 비교하기에 에로사항이 많아지고 오차가 커지는 것이죠. 굳이 키랄성과 아로마틱 물질을 분석해서 보려면 polarimeter라든가 NMR을 사용해서 보는 것이 더 좋을것 같습니다. 원하시는 답변이 됐는지 모르겠네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