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5-23
org.kosen.entty.User@2a52904
운영자(kosenadmin)
- 9
과학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연구에 필요한 소재나 자원의 확보가 중요하다고 합니다. 일본의 경우에도 30년전 동남아시아 각국에 연구소를 운영하면서 다양한 연구소재들을 확보하여 연구소재은행(Bank) 을 구축하여 연구를 지원하고 있고, 중국 또한 연구소재 인프라 구축에 연간 1천억원 이상을 투입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에 우리나라도 과학기술에 대한 연구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연구소재은행을 설립하고 지원하고 있으나 예산이 일본, 중국에 비해 부족한 현실입니다. 이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세계 과학기술선진국에서 어떻게 연구소재은행을 구축하고 운영하고 지원하고 있는 지에 대한 관련논문 또는 자료를 찾고자 합니다.
또한 tissue bank 구축 및 운영에 관한 논문도 부탁 드립니다.
- research resourc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9
-
답변
전주홍님의 답변
2007-05-24- 0
일단 tissue bank에 대한 파일을 첨부합니다. Tissue bank에 대한 이슈는 Springer 출판사에서 출간되는 Cell and Tissue Banking (ISSN 1389-9333, print; 1573-6814, on-line) 이라는 journal이 있습니다. 이 journal에 대한 기본적인 scope는 아래와 같습니다. 그러므로 cell and tissue banking은 이 journal에서 소개되는 이슈를 참고하시는 것도 한가지 방법이라 생각됩니다. Cell and Tissue Banking provides a forum for disseminating information to scientists and clinicians involved in the banking and transplantation of cells and tissues. Cell and Tissue Banking is an international, peer-reviewed journal that publishes original papers in the following areas: basic research concerning general aspects of tissue banking such as quality assurance and control of banked cells/tissues, effects of preservation and sterilisation methods on cells/tissues, biotechnology, etc.; clinical applications of banked cells/tissues; standards of practice in procurement, processing, storage and distribution of cells/tissues; ethical issues; medico-legal issues. >과학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연구에 필요한 소재나 자원의 확보가 중요하다고 합니다. 일본의 경우에도 30년전 동남아시아 각국에 연구소를 운영하면서 다양한 연구소재들을 확보하여 연구소재은행(Bank) 을 구축하여 연구를 지원하고 있고, 중국 또한 연구소재 인프라 구축에 연간 1천억원 이상을 투입하고 있다고 합니다. > >이에 우리나라도 과학기술에 대한 연구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연구소재은행을 설립하고 지원하고 있으나 예산이 일본, 중국에 비해 부족한 현실입니다. 이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세계 과학기술선진국에서 어떻게 연구소재은행을 구축하고 운영하고 지원하고 있는 지에 대한 관련논문 또는 자료를 찾고자 합니다. > >또한 tissue bank 구축 및 운영에 관한 논문도 부탁 드립니다. > -
답변
김성재님의 답변
2007-05-24- 0
홈페이지 서문입니다. The RCSB PDB provides a variety of tools and resources for studying the structures of biological macromolecules and their relationships to sequence, function, and disease. The RCSB is a member of the wwPDB whose mission is to ensure that the PDB archive remains an international resource with uniform data. This site offers tools for browsing, searching, and reporting that utilize the data resulting from ongoing efforts to create a more consistent and comprehensive archive. Protein Data Bank (PDB)로 단백질의 결정 구조에 관한 싸이트입니다. 단백질은 전세계 수 많은 연구자들이 연구하고 있는 것으로 각 단백질의 조성에 관한 구조를 텍스트 화일로 제공하고 있으며 간단히 3차원 구조도 보여줍니다. 형식은 댄백질을 이루고 있는 아미노산의 각 원자들의 3차원 좌표와 정보들로 이루어져있으며 무료로 다운로드 받아 이용할 수 있습니다. >과학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연구에 필요한 소재나 자원의 확보가 중요하다고 합니다. 일본의 경우에도 30년전 동남아시아 각국에 연구소를 운영하면서 다양한 연구소재들을 확보하여 연구소재은행(Bank) 을 구축하여 연구를 지원하고 있고, 중국 또한 연구소재 인프라 구축에 연간 1천억원 이상을 투입하고 있다고 합니다. > >이에 우리나라도 과학기술에 대한 연구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연구소재은행을 설립하고 지원하고 있으나 예산이 일본, 중국에 비해 부족한 현실입니다. 이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세계 과학기술선진국에서 어떻게 연구소재은행을 구축하고 운영하고 지원하고 있는 지에 대한 관련논문 또는 자료를 찾고자 합니다. > >또한 tissue bank 구축 및 운영에 관한 논문도 부탁 드립니다. > -
답변
박종원님의 답변
2007-05-24- 0
중국은 3년전부터 연구 개발과 기초기술 기반조성을 위하여 기초연구, 최첨단 기술연구와 사회효과 연구 및 중요 공공적인 관련 과학기술 활동에 직접적으로 투입을 하는 계획을 세우고 추진하고 있다. 그 중 하나가 과학기술기초 조건 기반 건설을 위한 관리 및 정책법규와 제도의 규범을 세우며, 기본적으로 자원 및 정보 공유 제도 시스템을 형성하는 것이다. 연구 실험 기지와 대형 과학 측정 기구 설비의 공유, 자연 과학기술 자원 기반 공유, 과학 자료 공유 플랫폼, 과학기술 문헌 공유 플랫폼, 과학기술 성과 공공 서비스 네트워크 플랫폼 등을 실현하여 모든 사회 및 과학 관련 국민들이 과학기술 진보 성과를 이용하도록 하게 하는 것이다. 과학기술 기초 조건 자원의 정보플랫폼을 건설하기 위한 첫 걸음으로 연구 자원 정보를 공유하도록 중국내 몇 개 지역을 중심으로 모든 관련 자원 데이타 베이스를 구축하고 일관성있게 관리하고 사용자들이 공유하도록 하고 있다. - 지역별 대형 과학 분석 및 측정 기구 설비 공용 건설하여 설비 자원의 효율화를 추진 - 대형 과학기술 기간 시설을 새로 세우고, 각종 중점실험실을 정리 통합 개선 - 자원, 환경 등 분야의 관측, 데이터 공유 센터와 과학 데이터 네트워크 자료 공유 플랫폼 건설 - 자연 과학기술 자원 분야인 농작물, 임업, 미생물 등 종자의 품질 자원 보존과 데이타 공유 - 전국적 과학기술성과와 기술 거래 정보 플랫폼을 건설 - 에너지, 재료, 제조업 등 주요 업계에 공용 기술 서비스 체계를 세운다. 이로 인하여 만들어진 연구자원 데이타 베이스 사이트입니다. 정리 및 번역이 필요하면 구체적으로 요청해 주시면 요청한 내용에 맞게 정리하여 올려드리겠습니다. http://www.fosu.edu.cn/netres/network8.htm#_Toc512706782 중국과학원 자원 데이타 베이스 http://www.sdb.ac.cn/ 기초과학 데이타 베이스 및 공유 플랫폼 http://www.nsdc.cn/ >과학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연구에 필요한 소재나 자원의 확보가 중요하다고 합니다. 일본의 경우에도 30년전 동남아시아 각국에 연구소를 운영하면서 다양한 연구소재들을 확보하여 연구소재은행(Bank) 을 구축하여 연구를 지원하고 있고, 중국 또한 연구소재 인프라 구축에 연간 1천억원 이상을 투입하고 있다고 합니다. > >이에 우리나라도 과학기술에 대한 연구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연구소재은행을 설립하고 지원하고 있으나 예산이 일본, 중국에 비해 부족한 현실입니다. 이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세계 과학기술선진국에서 어떻게 연구소재은행을 구축하고 운영하고 지원하고 있는 지에 대한 관련논문 또는 자료를 찾고자 합니다. > >또한 tissue bank 구축 및 운영에 관한 논문도 부탁 드립니다. > -
답변
김병훈님의 답변
2007-05-25- 0
최근에 조사한 바로는 보건복지부 산하 국립독성유전체연구센터에서 12개의 질환에 대한 유전체 센터를 구축하여 Genetic bank를 구축중에 있습니다. 자료를 책으로는 가지고 있는데 화일로는 가지고 있지를 못합니다. 필요하시다면 책을 보내드릴수도 있습니다. 아니라면 복지부 산하로 직접 문의하셔서 협조를 받는것도 좋을듯하군요. >과학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연구에 필요한 소재나 자원의 확보가 중요하다고 합니다. 일본의 경우에도 30년전 동남아시아 각국에 연구소를 운영하면서 다양한 연구소재들을 확보하여 연구소재은행(Bank) 을 구축하여 연구를 지원하고 있고, 중국 또한 연구소재 인프라 구축에 연간 1천억원 이상을 투입하고 있다고 합니다. > >이에 우리나라도 과학기술에 대한 연구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연구소재은행을 설립하고 지원하고 있으나 예산이 일본, 중국에 비해 부족한 현실입니다. 이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세계 과학기술선진국에서 어떻게 연구소재은행을 구축하고 운영하고 지원하고 있는 지에 대한 관련논문 또는 자료를 찾고자 합니다. > >또한 tissue bank 구축 및 운영에 관한 논문도 부탁 드립니다. > -
답변
임시근님의 답변
2007-05-28- 0
첨부파일
- 1). 0528125842A biobank management model applicable to biomedical research.pdf (0 KB)
- 2). 0528125842Biobank (Ethics and Governance framework Summary of comments on version1.0).pdf (0 KB)
- 3). 0528125842Biobank (Ethics and Governance Framework).pdf (0 KB)
- 4). 0528125842Biobank (Ethics and Governance framework Summary of comments on version1.0).pdf (0 KB)
- 5). 0528125842Biobank (Ethics and Governance Framework).pdf (0 KB)
-
1). 0528125842A biobank management model applicable to biomedical research.pdf
(0 KB)
-
2). 0528125842Biobank (Ethics and Governance framework Summary of comments on version1.0).pdf
(0 KB)
-
3). 0528125842Biobank (Ethics and Governance Framework).pdf
(0 KB)
-
4). 0528125842Biobank (Ethics and Governance framework Summary of comments on version1.0).pdf
(0 KB)
- 5). 0528125842Biobank (Ethics and Governance Framework).pdf (0 KB)
영국의 “Biobank“에 관한 자료입니다. 혹 도움이 되실지 모르겠네요. 우리나라도 유전자 또는 조직 은행의 설립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만들고 있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이미 선진국에서는 이런 bank들이 만들어져 활발히 이용되고 있는데, 좀 늦은 감이 있지만 하루빨리 설립되어 생명과학과 의학 발전에 기여했으면 좋겠습니다. >과학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연구에 필요한 소재나 자원의 확보가 중요하다고 합니다. 일본의 경우에도 30년전 동남아시아 각국에 연구소를 운영하면서 다양한 연구소재들을 확보하여 연구소재은행(Bank) 을 구축하여 연구를 지원하고 있고, 중국 또한 연구소재 인프라 구축에 연간 1천억원 이상을 투입하고 있다고 합니다. > >이에 우리나라도 과학기술에 대한 연구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연구소재은행을 설립하고 지원하고 있으나 예산이 일본, 중국에 비해 부족한 현실입니다. 이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세계 과학기술선진국에서 어떻게 연구소재은행을 구축하고 운영하고 지원하고 있는 지에 대한 관련논문 또는 자료를 찾고자 합니다. > >또한 tissue bank 구축 및 운영에 관한 논문도 부탁 드립니다. > -
답변
이익환님의 답변
2007-05-29- 0
>과학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연구에 필요한 소재나 자원의 확보가 중요하다고 합니다. 일본의 경우에도 30년전 동남아시아 각국에 연구소를 운영하면서 다양한 연구소재들을 확보하여 연구소재은행(Bank) 을 구축하여 연구를 지원하고 있고, 중국 또한 연구소재 인프라 구축에 연간 1천억원 이상을 투입하고 있다고 합니다. > >이에 우리나라도 과학기술에 대한 연구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연구소재은행을 설립하고 지원하고 있으나 예산이 일본, 중국에 비해 부족한 현실입니다. 이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세계 과학기술선진국에서 어떻게 연구소재은행을 구축하고 운영하고 지원하고 있는 지에 대한 관련논문 또는 자료를 찾고자 합니다. > >또한 tissue bank 구축 및 운영에 관한 논문도 부탁 드립니다. > 국가 지정 연구소재은랭의 한 사례를 소개해 드립니다. 아래 홈 페이지로 가보시면 산업소재광물은행에 대한 것을 찾을 수 있습니다. http://imb.kangwon.ac.kr/ -
답변
이익환님의 답변
2007-06-21- 0
>과학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연구에 필요한 소재나 자원의 확보가 중요하다고 합니다. 일본의 경우에도 30년전 동남아시아 각국에 연구소를 운영하면서 다양한 연구소재들을 확보하여 연구소재은행(Bank) 을 구축하여 연구를 지원하고 있고, 중국 또한 연구소재 인프라 구축에 연간 1천억원 이상을 투입하고 있다고 합니다. > >이에 우리나라도 과학기술에 대한 연구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연구소재은행을 설립하고 지원하고 있으나 예산이 일본, 중국에 비해 부족한 현실입니다. 이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세계 과학기술선진국에서 어떻게 연구소재은행을 구축하고 운영하고 지원하고 있는 지에 대한 관련논문 또는 자료를 찾고자 합니다. > >또한 tissue bank 구축 및 운영에 관한 논문도 부탁 드립니다. > 참고 사이트를 보세요 -
답변
이익환님의 답변
2007-06-21- 0
>과학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연구에 필요한 소재나 자원의 확보가 중요하다고 합니다. 일본의 경우에도 30년전 동남아시아 각국에 연구소를 운영하면서 다양한 연구소재들을 확보하여 연구소재은행(Bank) 을 구축하여 연구를 지원하고 있고, 중국 또한 연구소재 인프라 구축에 연간 1천억원 이상을 투입하고 있다고 합니다. > >이에 우리나라도 과학기술에 대한 연구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연구소재은행을 설립하고 지원하고 있으나 예산이 일본, 중국에 비해 부족한 현실입니다. 이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세계 과학기술선진국에서 어떻게 연구소재은행을 구축하고 운영하고 지원하고 있는 지에 대한 관련논문 또는 자료를 찾고자 합니다. > >또한 tissue bank 구축 및 운영에 관한 논문도 부탁 드립니다. > 사이트 참고하세요 -
답변
운영자님의 답변
2022-06-14- 0
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