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digestion

ligation을 하기 위해서 vector를 준비하고 있는데요.. 사이가 좁아서(50bp) EcoRI을 친 다음에 filling을 해서 blunt로 만든다음 HindIII를 쳐서 한쪽만 cohesive를 만듭니다. 보통 ligation은 18도에서 o/n하구요 제가 이때까지 한 방법은 저녁에 EcoRI을 쳐 놓고 (농도가 진하기도 하고 잘 안 잘리는 듯 해서..) 아침에 phenol extract 두번하고 에탄올침전하고, TE buffer로 녹입니다. 그걸 통째 filling을 하고(37도에서 20분 후에 상온 20분) 다시 phenol extract 두번하고 에탄올침전하고, TE buffer로 녹입니다. 그리고 통째 저녁에 HindIII를 친다음 다음날 아침에 gel extract를 하는데요.. 계속 잘 되질 않고 있습니다. insert도 vector처럼 blunt-cohesive인데 별 문제가 없는 것 같구요 근데 DNA를 분리해서 잘라보면 암튼 벡터가 문제인 것 같은데... 제대로 FILLING이 안 됐다거나 HindIII가 안 잘렸는지... 문제를 잘 모르겠네요 cip를 꼭 해야하는지요... 한단계 한단계 거치면서 로스가 많이 일어나서 끝에 gel extract를 할 때는 거의 건지지 못 할 것 같아서요.. CIP를 한다면 FILLING후에 곧바로 해야하는지 아니면 HindIII로 자른 후에 CIP를 해야하는지.... 정말 답답하네요.... 도움 부탁드립니다.
  • digestion
  • ligatio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김은민님의 답변

    얼마나 답답하신지 알것같습니다. 일단, enzyme이라는 것이 일정시간이 지나면 activity가 떨어지는 건 아시지요? 제한효소를 자르기위해, 잘 안잘린다고 해서 밤새 incubation하는 것은 아무 의미 없다는 말씀입니다. 한시간을 충분한 양으로 처리했는데 잘 안잘린다면 DNA가 지저분하다던지, 제한효소 activity가 떨어졌다든지.. 다른 이유가 있을겁니다. 그리고 제한효소 처리후 phenol chloloform 처리해서 단백질을 제거하셨는데, 그 부분은 생략하기도 한답니다. (DNA를 너무 많이 잃거든요..) 저희 실험실에서는 님께서 하는 실험을 한다면 이렇게 진행합니다. 1. DNA를 제한효소 EcoRI으로 자른다. 2. complete digestin되었는지 확인한다. (제한효소 처리한 것의 1/10의 양을 젤에 내려보는 방법으로..) 3. enzyme inactivation한다. (65도에서 10분) 4. klenow enzyme으로 filling한다. 5. enzyme inactivation한다. (65도에서 10분) 6. Hind III로 digestion한다. 7. enzyme inactivation한다. (65도에서 10분) 8. CIP/ SAP 처리한다. 9. enzyme inactivation한다. (65도에서 10분) 10. Gel에 전부를 loading하여 Gel elution하여 정량하여 ligation한다. Blunt end는 cohesive end보다 ligation이 잘 안됩니다. 컨디션 잘 맞추시고, 다시한번 진행해보세요~ ^^ 아자아자 힘내세요. 대답이 되었길 바랍니다. ^^ >ligation을 하기 위해서 vector를 준비하고 있는데요.. >사이가 좁아서(50bp) EcoRI을 친 다음에 filling을 해서 blunt로 만든다음 HindIII를 쳐서 >한쪽만 cohesive를 만듭니다. 보통 ligation은 18도에서 o/n하구요 >제가 이때까지 한 방법은 저녁에 EcoRI을 쳐 놓고 (농도가 진하기도 하고 잘 안 잘리는 듯 해서..) 아침에 phenol extract 두번하고 에탄올침전하고, TE buffer로 녹입니다. >그걸 통째 filling을 하고(37도에서 20분 후에 상온 20분) 다시 phenol extract 두번하고 에탄올침전하고, TE buffer로 녹입니다. >그리고 통째 저녁에 HindIII를 친다음 다음날 아침에 gel extract를 하는데요.. >계속 잘 되질 않고 있습니다. >insert도 vector처럼 blunt-cohesive인데 별 문제가 없는 것 같구요 >근데 DNA를 분리해서 잘라보면 암튼 벡터가 문제인 것 같은데... >제대로 FILLING이 안 됐다거나 HindIII가 안 잘렸는지... >문제를 잘 모르겠네요 >cip를 꼭 해야하는지요... >한단계 한단계 거치면서 로스가 많이 일어나서 끝에 gel extract를 할 때는 거의 건지지 못 할 것 같아서요.. >CIP를 한다면 FILLING후에 곧바로 해야하는지 아니면 HindIII로 자른 후에 CIP를 해야하는지.... >정말 답답하네요.... >도움 부탁드립니다. >
    얼마나 답답하신지 알것같습니다. 일단, enzyme이라는 것이 일정시간이 지나면 activity가 떨어지는 건 아시지요? 제한효소를 자르기위해, 잘 안잘린다고 해서 밤새 incubation하는 것은 아무 의미 없다는 말씀입니다. 한시간을 충분한 양으로 처리했는데 잘 안잘린다면 DNA가 지저분하다던지, 제한효소 activity가 떨어졌다든지.. 다른 이유가 있을겁니다. 그리고 제한효소 처리후 phenol chloloform 처리해서 단백질을 제거하셨는데, 그 부분은 생략하기도 한답니다. (DNA를 너무 많이 잃거든요..) 저희 실험실에서는 님께서 하는 실험을 한다면 이렇게 진행합니다. 1. DNA를 제한효소 EcoRI으로 자른다. 2. complete digestin되었는지 확인한다. (제한효소 처리한 것의 1/10의 양을 젤에 내려보는 방법으로..) 3. enzyme inactivation한다. (65도에서 10분) 4. klenow enzyme으로 filling한다. 5. enzyme inactivation한다. (65도에서 10분) 6. Hind III로 digestion한다. 7. enzyme inactivation한다. (65도에서 10분) 8. CIP/ SAP 처리한다. 9. enzyme inactivation한다. (65도에서 10분) 10. Gel에 전부를 loading하여 Gel elution하여 정량하여 ligation한다. Blunt end는 cohesive end보다 ligation이 잘 안됩니다. 컨디션 잘 맞추시고, 다시한번 진행해보세요~ ^^ 아자아자 힘내세요. 대답이 되었길 바랍니다. ^^ >ligation을 하기 위해서 vector를 준비하고 있는데요.. >사이가 좁아서(50bp) EcoRI을 친 다음에 filling을 해서 blunt로 만든다음 HindIII를 쳐서 >한쪽만 cohesive를 만듭니다. 보통 ligation은 18도에서 o/n하구요 >제가 이때까지 한 방법은 저녁에 EcoRI을 쳐 놓고 (농도가 진하기도 하고 잘 안 잘리는 듯 해서..) 아침에 phenol extract 두번하고 에탄올침전하고, TE buffer로 녹입니다. >그걸 통째 filling을 하고(37도에서 20분 후에 상온 20분) 다시 phenol extract 두번하고 에탄올침전하고, TE buffer로 녹입니다. >그리고 통째 저녁에 HindIII를 친다음 다음날 아침에 gel extract를 하는데요.. >계속 잘 되질 않고 있습니다. >insert도 vector처럼 blunt-cohesive인데 별 문제가 없는 것 같구요 >근데 DNA를 분리해서 잘라보면 암튼 벡터가 문제인 것 같은데... >제대로 FILLING이 안 됐다거나 HindIII가 안 잘렸는지... >문제를 잘 모르겠네요 >cip를 꼭 해야하는지요... >한단계 한단계 거치면서 로스가 많이 일어나서 끝에 gel extract를 할 때는 거의 건지지 못 할 것 같아서요.. >CIP를 한다면 FILLING후에 곧바로 해야하는지 아니면 HindIII로 자른 후에 CIP를 해야하는지.... >정말 답답하네요.... >도움 부탁드립니다.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