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TiO2 나노입자의 pH별 분산성

안녕하세요. 저는 인하대학교에서 나노화학을 전공하는 학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이번에 일정 pH에서 초분산성을 가지는 TiO2 나노입자를 합성하였습니다. 이 입자의 분산성에 대해 여러가지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이 입자의 경우 표면에 tetraalkyammonium cation이 흡착되어 있으며, 1 < pH < 3, pH > 11 이상일 경우 초분산성을 보입니다. 2mg TiO2 / 30 mL의 분산용액의 경우 투과도가 98%이상 나오고요... 하지만 다른 pH의 분산용액의 경우 분산성이 좋지 않습니다. Zeta 전위를 측정해 본결과 분산이 되는 pH의 경우 표면 전위가 +-30mV 이상과 이하였습니다. 하지만 pH 2에서 초분산성을 보이던 입자가 pH 1로 떨어지면 초분산성이 사라지고 다시 응집이 일어 나는 현상이 생깁니다. 이런 현상이 왜 일어나는 지 정말 궁금합니다. 표면 상태 및 왜 이런 현상이 생기는지 아무리 참고 문헌을 찾아보고 알아 보려고 해도 잘 보이지가 않네요.. 아시는 분 계시면 꼭 알려 주셨으면 합니다.
  • TiO2
  • low pH
  • dispersio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5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TiO2 나노입자를 만드셨다는데, TiO2입자를 만들기 위하여 사용한 개시물질(Initiator)로 어떠한 원료를 사용하였는지 알려주실 수는 없는 지요? 개시물질에 따라서 각각의 성질이 조금씩 다릅니다.
    TiO2 나노입자를 만드셨다는데, TiO2입자를 만들기 위하여 사용한 개시물질(Initiator)로 어떠한 원료를 사용하였는지 알려주실 수는 없는 지요? 개시물질에 따라서 각각의 성질이 조금씩 다릅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김용주님의 답변

    > > 일반적인 수열합성법으로 사용했으며, 출발 물질은 TTIP를 사용했습니다. 입자의 크기는 대략 13 nm 정도이고, 순수한 anatase 상입니다. 입자합성후 에탄올로 수회 세척하고 특정 pH의 수용액에 분산 시켰습니다.
    > > 일반적인 수열합성법으로 사용했으며, 출발 물질은 TTIP를 사용했습니다. 입자의 크기는 대략 13 nm 정도이고, 순수한 anatase 상입니다. 입자합성후 에탄올로 수회 세척하고 특정 pH의 수용액에 분산 시켰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첨부 자료가 귀하의 업무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첨부 자료가 귀하의 업무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촉매는 기본적으로 산성촉매와 염기성촉매로 나누어 집니다. 귀하가 취급하는 TiO2는 산성촉매에 해당하므로,산성수용액에서 분산이 잘 됩니다.
    촉매는 기본적으로 산성촉매와 염기성촉매로 나누어 집니다. 귀하가 취급하는 TiO2는 산성촉매에 해당하므로,산성수용액에서 분산이 잘 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장용운님의 답변

    >안녕하세요. >저는 인하대학교에서 나노화학을 전공하는 학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이번에 일정 pH에서 초분산성을 가지는 TiO2 나노입자를 합성하였습니다. >이 입자의 분산성에 대해 여러가지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이 입자의 경우 표면에 tetraalkyammonium cation이 흡착되어 있으며, >1 < pH < 3, pH > 11 이상일 경우 초분산성을 보입니다. >2mg TiO2 / 30 mL의 분산용액의 경우 투과도가 98%이상 나오고요... > >하지만 다른 pH의 분산용액의 경우 분산성이 좋지 않습니다. > >Zeta 전위를 측정해 본결과 분산이 되는 pH의 경우 표면 전위가 +-30mV 이상과 이하였습니다. > >하지만 pH 2에서 초분산성을 보이던 입자가 pH 1로 떨어지면 초분산성이 사라지고 > >다시 응집이 일어 나는 현상이 생깁니다. 이런 현상이 왜 일어나는 지 정말 궁금합니다. > >표면 상태 및 왜 이런 현상이 생기는지 아무리 참고 문헌을 찾아보고 > >알아 보려고 해도 잘 보이지가 않네요.. 첨부 된 파일에 TiO2의 수열합성에 대하여 상세히 기록이 되어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 > >
    >안녕하세요. >저는 인하대학교에서 나노화학을 전공하는 학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이번에 일정 pH에서 초분산성을 가지는 TiO2 나노입자를 합성하였습니다. >이 입자의 분산성에 대해 여러가지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이 입자의 경우 표면에 tetraalkyammonium cation이 흡착되어 있으며, >1 < pH < 3, pH > 11 이상일 경우 초분산성을 보입니다. >2mg TiO2 / 30 mL의 분산용액의 경우 투과도가 98%이상 나오고요... > >하지만 다른 pH의 분산용액의 경우 분산성이 좋지 않습니다. > >Zeta 전위를 측정해 본결과 분산이 되는 pH의 경우 표면 전위가 +-30mV 이상과 이하였습니다. > >하지만 pH 2에서 초분산성을 보이던 입자가 pH 1로 떨어지면 초분산성이 사라지고 > >다시 응집이 일어 나는 현상이 생깁니다. 이런 현상이 왜 일어나는 지 정말 궁금합니다. > >표면 상태 및 왜 이런 현상이 생기는지 아무리 참고 문헌을 찾아보고 > >알아 보려고 해도 잘 보이지가 않네요.. 첨부 된 파일에 TiO2의 수열합성에 대하여 상세히 기록이 되어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 >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