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6-16
org.kosen.entty.User@15292baf
박혜인(pass924)
- 2
안녕하세요, 저는 모 고등학교에 다니는 학생입니다.
다름이 아니고, 지금 저희 조가 생명공학에 대한 발표를 준비해야 하는데요. 혹시, 손맛과 음식이 어떤 연관이 있는건지 알고 싶고, 또 어떤 뉴스기사에서 늙은 쥐가 젊은 쥐보다 생명력이 강하다고 보도했던데, 그게 어떻게 된 건지 정말 궁금해서 이렇게 글 씁니다.
정말 사소한 거지만, 전 정말 아무 지식이 없어서 이렇게 도움 요청하는 거에요. 자세히 그리고 쉽게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아 그리고, 생명공학기술을 이용해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구상해야 하는데 현재 어떠한 기술이 나왔는지, 아님 어떤 것을 필요로 하는지 이런 것들도 알려주실 수 있으면 알려주세요^^ 저희 아이디어에 멋진 출발점이 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아니면, 음 요즘 뜨고있는 바이오 에너지를 생명공학기술에 이용했을 경우, 만약에 효모를 사용해 적은 면적의 토양에서 최대한 효과적으로 발효시키려 한다면 어떤식으로 해야할지.. 알려주세요
- science
- biology
- cell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김병용님의 답변
2007-06-17- 0
고교생 수준에서 너무 많은 것을 알고 싶어하네요.^^ 제가 아는 수준에서 1. 손맛 음식맛- 단순한 경험적 계량의 차이가 아닐지.. 2. 늙은 쥐, 젊은 쥐- 저도 잘 모르지만, 역시 반복적 경험에 의한 외부 자극의 대응차이 3. 생명공학기술- 생명복제, GMO, 유전자치료, 줄기세포 등등 무궁무진 4. 바이오 에너지- 효모는 토양에서 발효할수 없는데..아는 바 없음 도움이 되기를.. >안녕하세요, 저는 모 고등학교에 다니는 학생입니다. >다름이 아니고, 지금 저희 조가 생명공학에 대한 발표를 준비해야 하는데요. 혹시, 손맛과 음식이 어떤 연관이 있는건지 알고 싶고, 또 어떤 뉴스기사에서 늙은 쥐가 젊은 쥐보다 생명력이 강하다고 보도했던데, 그게 어떻게 된 건지 정말 궁금해서 이렇게 글 씁니다. > 정말 사소한 거지만, 전 정말 아무 지식이 없어서 이렇게 도움 요청하는 거에요. 자세히 그리고 쉽게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 아 그리고, 생명공학기술을 이용해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구상해야 하는데 현재 어떠한 기술이 나왔는지, 아님 어떤 것을 필요로 하는지 이런 것들도 알려주실 수 있으면 알려주세요^^ 저희 아이디어에 멋진 출발점이 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 >아니면, 음 요즘 뜨고있는 바이오 에너지를 생명공학기술에 이용했을 경우, 만약에 효모를 사용해 적은 면적의 토양에서 최대한 효과적으로 발효시키려 한다면 어떤식으로 해야할지.. 알려주세요 -
답변
김병훈님의 답변
2007-06-17- 0
1. 손맛과 음식의 관계 한국의 대표적인 음식인 김치를 담글때 맨손으로 담글때랑 차이가 난다는점에 착안하셔서.. 준비를 해보심이.. 2. 늙은쥐보다는 당연히 ??은쥐가 생명력이 있는게 아닐까요? 세포의 분화가 활발할때랑 세포가 분화하지 않고 멈추어 혹은 죽어갈때랑.. 3. 바이에 에너지를 가지고 발표하시는게 최근 자료들이 많을것입니다. 아래 내용 참고하셔서 준비해보시기 바랍니다. **바이오 연료** 바이오디젤과 함께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바이오연료(bio-fuel)이다. 바이오디젤이 유지(油脂) 작물에서 식물성 기름을 추출해 만드는 데 반해, 바이오에탄올은 녹말(전분) 작물에서 포도당을 얻은 뒤 이를 발효시켜 만든다는 점에서 바이오디젤과 다르다. 대표적인 원료는 사탕수수·밀·옥수수·감자·보리·고구마 따위의 녹말 작물이다. 그밖에 카사바·볏짚 등 다양한 식물에서도 바이오에탄올을 추출할 수 있다. 바이오매스 안에 있는 탄수화물을 글루코오스(포도당)로 전환시킨 뒤, 다시 포도주나 양조 맥주를 발효시키는 것과 비슷한 발효과정을 거쳐 만든다. 화석연료와 달리 환경오염 물질이 전혀 없고, 식물로부터 연료를 얻기 때문에 언제든지 재생이 가능하다. 특히, 일산화탄소와 같은 환경오염 물질을 배출하는 가솔린과 달리, 유해물질을 전혀 배출하지 않아 일찍부터 차량용 대체에너지로 주목을 받았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바이오에탄올의 원료는 사탕수수이다. 사탕수수가 많이 생산되는 브라질에서는 차량의 70% 정도가 바이오에탄올을 연료 첨가제로 사용할 만큼 일반화되었다. 그러나 다른 나라에서는 사탕수수의 생산 원가가 비싸, 섬유소가 풍부한 각종 바이오매스에서 대량으로 바이오에탄올을 추출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바이오에탄올을 차량 연료 첨가제로 사용할 경우, 휘발유만 사용할 때보다 일산화탄소 배출량이 훨씬 줄어드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