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6-20
org.kosen.entty.User@1a8d6199
양철규(sprtmWKd)
- 3
- Energy Bandgap
- Chemical Durability
- Optical Property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07-06-22- 0
1.부정비(不定比:non-stoichiometric)화합물이 아닌 경우에는 어떠한 물질에 들어 갈 수 있는 산소의 양은 정해져 있습니다. 따라서 정비(定比:stoichiometric)화합물에서는 bandgap energy가 정하여 집니다. 귀하가 이야기 하는 산소의 양에 따라 bandgap energy가 변한다라는 것은 부정비에서 산소과잉형,산소부족형화합물을 말하는 것으로써 이러한 화합물의 bandgap범위도 아주 미세합니다. 그리고 물질의 chemical property는 이온결합,공유결합 등과 같이 결합형태에 따라서 차이가 있지,bandgap energy에 따라 차이가 있다라는 것은 chemical property에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bandgap energy가 차이가 있다는 것은 즉,다른 물질인것이므로,당연히 다른 물질간에는 모든 특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Chemical property를 결정하는 큰 요인은 결합energy에 의합니다. 황산의 etching여부는 황산수용액의 온도,농도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예를 들어 흑연에 있어서 황산의 농도 25~27%,온도 90C 및 75~96%, 80C 에서는 흑연의 내식성이 좋으나,96%이상에서는 내식성이 나쁘게 됩니다. 2.높은 절연성을 가진 물질 일수록 energy gap간의 potential 우물이 깊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bandgap energy가 높은 건 사실입니다. 그러나 산소의 양이 많다고 하여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것은 아닙니다. 3.Optical property:결정이 나타내는 색은 흡수된 색의 빛이 아니고 투과된 빛의 색입니다. 따라서 결정이 투명하기 위하여서는 파장이 740~360nm, 즉 1.7~3.5eV의 가시스펙트럼의 범위안에서 전자적, 또는 격자진동적 여기를 갖지 않으면 안됩니다.예를 들어 Si 이나 Ge의 energygap은 각각 1.1eV 와0.72eV로서 가시광선은 거의 통하지 않으며,납색의 금속 광택을 갖는 결정입니다. 그러나 다이야몬드의 energygap은 약5.3eV이므로 흡수단의 파장은 180nm가 됩니다. 이것은 자외선에 상당하기 때문에,이보다 파장이 긴 (진동수가 낮은)가시광선은 거의 흡수되지 않으므로 결정은 무색 투명 합니다. 귀하가 참고할 수 있는 자료를 File로 올립니다.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07-06-22- 0
KOSEN의 전산 오류로 본 항에서 추가자료를 연속하여 올립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07-06-22- 0
KOSEN의 전산 오류로 인하여 첨부파일이 3건이상은 올라가지 않기 때문에 나머지 파일을 추가 올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