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6-23
org.kosen.entty.User@669ecce9
김윤아(dbsdk82)
- 2
본 실험전..가실험으로 SD rat을 구입하여 당뇨유발을 시켜보았습니다.
60mg/kg의 농도로 당뇨유발 물질인 Streptozotocin (STZ)를 복강주사하였습니다.
이틀 후에 꼬리정맥에서 혈당을 체크해본 결과 당뇨가 평균 350dl 이상의 고혈당과
체중감소를 나타내어 당뇨에 걸린것을 확인하였습니다.
문제는 그 다음날..
모두 죽어버렸습니다..
시약의 문제라면 당뇨가 유발되지 않아야하는것이 아닌가요??
시약을 Citrate buffer에 녹여 주사하는데.. 이 buffer에 문제가 있는걸까요?
아니면 짧은 시일내에 급격한 체중감소나, 고혈당 증세로 쇼크를 받은걸까요??
제가 혹여나 놓쳐버린 부분이 있다면..냉정하게 조언 부탁드립니다..
- Streptozotoci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한재석님의 답변
2007-06-26- 0
이틀후에 벌써 고혈당이 나타났다면 아마도 STZ의 양이 너무 많은 것일 수 있습니다. 보통 3-5일 후에 고혈당이 나타나는 것이 실험에 적당한 것 같습니다. 당뇨가 유발 된 것으로 보면 버퍼의 문제는 아닌 것 같습니다. 제 경험상으로는 똑같은 농도로 주사를 해도 어떤때는 당뇨가 적당히 잘 걸리고, 어떤때는 전혀 당뇨가 유발되지 않은 경우도 있었습니다. 이번 실험에서의 경우는 아마도 너무 농도가 높을 수 있으므로 좀 더 낮은 농도로 실험을 하시는 것이 좋을 듯 싶습니다. 그리고 사족이지만, STZ는 주사 직전에 buffer에 녹여야 합니다. >본 실험전..가실험으로 SD rat을 구입하여 당뇨유발을 시켜보았습니다. > >60mg/kg의 농도로 당뇨유발 물질인 Streptozotocin (STZ)를 복강주사하였습니다. > >이틀 후에 꼬리정맥에서 혈당을 체크해본 결과 당뇨가 평균 350dl 이상의 고혈당과 > >체중감소를 나타내어 당뇨에 걸린것을 확인하였습니다. > >문제는 그 다음날.. > >모두 죽어버렸습니다.. > >시약의 문제라면 당뇨가 유발되지 않아야하는것이 아닌가요?? > >시약을 Citrate buffer에 녹여 주사하는데.. 이 buffer에 문제가 있는걸까요? > >아니면 짧은 시일내에 급격한 체중감소나, 고혈당 증세로 쇼크를 받은걸까요?? > > >제가 혹여나 놓쳐버린 부분이 있다면..냉정하게 조언 부탁드립니다.. > > > > -
답변
홍동호님의 답변
2007-06-26- 0
40-45 mg/kg 정도로 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너무 높게 하셨습니다. 그리고, 약하게 3-4일 간격으로 3번 정도 유발하여 일정하게 유발되는 랫드를 선발하여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본 실험전..가실험으로 SD rat을 구입하여 당뇨유발을 시켜보았습니다. > >60mg/kg의 농도로 당뇨유발 물질인 Streptozotocin (STZ)를 복강주사하였습니다. > >이틀 후에 꼬리정맥에서 혈당을 체크해본 결과 당뇨가 평균 350dl 이상의 고혈당과 > >체중감소를 나타내어 당뇨에 걸린것을 확인하였습니다. > >문제는 그 다음날.. > >모두 죽어버렸습니다.. > >시약의 문제라면 당뇨가 유발되지 않아야하는것이 아닌가요?? > >시약을 Citrate buffer에 녹여 주사하는데.. 이 buffer에 문제가 있는걸까요? > >아니면 짧은 시일내에 급격한 체중감소나, 고혈당 증세로 쇼크를 받은걸까요?? > > >제가 혹여나 놓쳐버린 부분이 있다면..냉정하게 조언 부탁드립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