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RTD (pt) temperature sensor

안녕하세요? RTD (pt) temperature sensor의 특성/구조에 대해 문의합니다. 산업용/연구용 으로 많이 사용하는, 세라믹 기판위에 백금박막이 올려져 있는 온도센서는 100, 500, 1000 ohm 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 RTD의 대략적인 제조공정 및 특성을 알고자 합니다. 1. 상용제품에서 많이 사용하는 백금박막의 대략적인 두께 및 면저항 2. 세라믹 기판과 백금 사이의 주요 adhesion layer 물질 및 두께 3. 500, 1000 ohm RTD의 경우 온도측정시 사용하는 전류 크기 및 근거기준 4. 많이 쓰지만 엘리먼트는 수입하고 있어서 자료를 구하기가 힘들군요. 혹시 국내 전문가나 RTD element 제조업체 아는 곳이 있으면 알려주세요. 좋은 하루 되십시오.
  • RTD
  • thin film temperature sensor
  • Pt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김정렬님의 답변

    안녕하세요. 일전에 RTD 센서를 만드는 회사에 장비를 납품한 것에 기반을 두고 적었습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제가 알고 있는 RTD 센서의 구조는 2 가지 입니다. 1. 알루미나 기판위에 백금을 sputtering 하고 리소 공정을 통하여 백금을 패턴을 한 후에 한 쪽 끝과 다른 한 쪽 끝에 저항을 측정하면서 백금 박막을 레이저로 티리밍을 하여 저항을 맞춥니다. 그리고, 양 쪽 끝에는 리드선을 붙이기 위한 패드가 만들어져있습니다. 여기에 리드 선을 올리고, 부탁하는 방법이 많은 연구원님들이 노력을 가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제가 말씀드리지 못합니다. 그 회사의 노하우이기 때문입니다.(이 장비를 만들었기 때문입니다, 죄송). 그리고, 그 위에 보호막을 올리고, 열처리를 하여, 외부 충격에 백금 선을 보호합니다. 이것이 element 라고 하는 것입니다. 2. 실로콘 기판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기본적을 Bare 실리콘관 그위에 옥사이드 막과 그위에 백금을 잘 붙게하는 접착층(Ti,TiO2) 등을 올리고, 백금을 sputtering 을 하고난 후에 백금을 리소를 아주 정말하게 하여 저항을 맞추어버립니다. 이 공정은 레이저 트리밍 공정을 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것은 반도체 장비의 TC wafer 로 사용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아직은 상용화된 것은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낱개로 만드는 것이 무척 힘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리드선 붙이기, 각각으로 dicing 등등의 공정이 꼭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질문하신 것에 대한 답변은 아래에 하겠습니다. 1. 백금 박막의 두께와 면저항 : 두께는 약 250 nm 이하로 만들고, 면저항은 측정하지 않고, 전체적으로 (1번 방법) 일때에는 레이저 트리밍을 하면서 저항을 맞춤니다. 2. 여기에는 별다른 접착층을 두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알루미나 기판을 아주 잘 폴리싱한 것을 바로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1번 방법) 3. RTD 의 저항을 측정하는 장비는 제가 공급한 것은 1mA source 을 이용하는 저항 측정 장치입니다. 여기에서 메이커를 언급해도 되는지 몰라서, 그 것은 제외하겠습니다. 1mA 로 측정하는 것은 RTD 가 저항체이기 때문에 더 많은 전류가 흐르면 온도가 상승하여 정확한 평가를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표준은 ASTM 에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또한, 계측기 측정 사양에 그렇게 언급이 되어 있습니다. 4. 장비를 약 4 년 전에 공급하였기 때문에 지금은 어떤지 모르겠습니다. 엘리먼트를 일본, 대만, 독일에서 A 급, B 급, C 급 등으로 나누어서 공급하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이 회사는 제가 한번 여쭈어 보고 회신 드리겠습니다. (죄송 한번더) 두서 없이 적었습니다. 읽어보시고, 더 자세한 것이 필요하면 메일 주십시요. 감사합니다 질문한 사항들 RTD (pt) temperature sensor의 특성/구조에 대해 문의합니다. 산업용/연구용 으로 많이 사용하는, 세라믹 기판위에 백금박막이 올려져 있는 온도센서는 100, 500, 1000 ohm 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 RTD의 대략적인 제조공정 및 특성을 알고자 합니다. 1. 상용제품에서 많이 사용하는 백금박막의 대략적인 두께 및 면저항 2. 세라믹 기판과 백금 사이의 주요 adhesion layer 물질 및 두께 3. 500, 1000 ohm RTD의 경우 온도측정시 사용하는 전류 크기 및 근거기준 4. 많이 쓰지만 엘리먼트는 수입하고 있어서 자료를 구하기가 힘들군요. 혹시 국내 전문가나 RTD element 제조업체 아는 곳이 있으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일전에 RTD 센서를 만드는 회사에 장비를 납품한 것에 기반을 두고 적었습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제가 알고 있는 RTD 센서의 구조는 2 가지 입니다. 1. 알루미나 기판위에 백금을 sputtering 하고 리소 공정을 통하여 백금을 패턴을 한 후에 한 쪽 끝과 다른 한 쪽 끝에 저항을 측정하면서 백금 박막을 레이저로 티리밍을 하여 저항을 맞춥니다. 그리고, 양 쪽 끝에는 리드선을 붙이기 위한 패드가 만들어져있습니다. 여기에 리드 선을 올리고, 부탁하는 방법이 많은 연구원님들이 노력을 가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제가 말씀드리지 못합니다. 그 회사의 노하우이기 때문입니다.(이 장비를 만들었기 때문입니다, 죄송). 그리고, 그 위에 보호막을 올리고, 열처리를 하여, 외부 충격에 백금 선을 보호합니다. 이것이 element 라고 하는 것입니다. 2. 실로콘 기판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기본적을 Bare 실리콘관 그위에 옥사이드 막과 그위에 백금을 잘 붙게하는 접착층(Ti,TiO2) 등을 올리고, 백금을 sputtering 을 하고난 후에 백금을 리소를 아주 정말하게 하여 저항을 맞추어버립니다. 이 공정은 레이저 트리밍 공정을 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것은 반도체 장비의 TC wafer 로 사용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아직은 상용화된 것은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낱개로 만드는 것이 무척 힘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리드선 붙이기, 각각으로 dicing 등등의 공정이 꼭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질문하신 것에 대한 답변은 아래에 하겠습니다. 1. 백금 박막의 두께와 면저항 : 두께는 약 250 nm 이하로 만들고, 면저항은 측정하지 않고, 전체적으로 (1번 방법) 일때에는 레이저 트리밍을 하면서 저항을 맞춤니다. 2. 여기에는 별다른 접착층을 두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알루미나 기판을 아주 잘 폴리싱한 것을 바로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1번 방법) 3. RTD 의 저항을 측정하는 장비는 제가 공급한 것은 1mA source 을 이용하는 저항 측정 장치입니다. 여기에서 메이커를 언급해도 되는지 몰라서, 그 것은 제외하겠습니다. 1mA 로 측정하는 것은 RTD 가 저항체이기 때문에 더 많은 전류가 흐르면 온도가 상승하여 정확한 평가를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표준은 ASTM 에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또한, 계측기 측정 사양에 그렇게 언급이 되어 있습니다. 4. 장비를 약 4 년 전에 공급하였기 때문에 지금은 어떤지 모르겠습니다. 엘리먼트를 일본, 대만, 독일에서 A 급, B 급, C 급 등으로 나누어서 공급하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이 회사는 제가 한번 여쭈어 보고 회신 드리겠습니다. (죄송 한번더) 두서 없이 적었습니다. 읽어보시고, 더 자세한 것이 필요하면 메일 주십시요. 감사합니다 질문한 사항들 RTD (pt) temperature sensor의 특성/구조에 대해 문의합니다. 산업용/연구용 으로 많이 사용하는, 세라믹 기판위에 백금박막이 올려져 있는 온도센서는 100, 500, 1000 ohm 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 RTD의 대략적인 제조공정 및 특성을 알고자 합니다. 1. 상용제품에서 많이 사용하는 백금박막의 대략적인 두께 및 면저항 2. 세라믹 기판과 백금 사이의 주요 adhesion layer 물질 및 두께 3. 500, 1000 ohm RTD의 경우 온도측정시 사용하는 전류 크기 및 근거기준 4. 많이 쓰지만 엘리먼트는 수입하고 있어서 자료를 구하기가 힘들군요. 혹시 국내 전문가나 RTD element 제조업체 아는 곳이 있으면 알려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