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7-03
org.kosen.entty.User@1dabfdfe
이철현(yichul)
- 4
농업 바이오 관련하여 미국, 일본 유럽 등 국가정책과 관련된 자료라면 어떠한 것도 좋습니다.
우리나라 국가정책 방향 설정에 유용하게 쓰겠습니다
제발 정보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BT
- Agriculture
- Biotechnology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김병훈님의 답변
2007-07-03- 0
첨부자료 참고하세요 -
답변
김중재님의 답변
2007-07-04- 0
>농업 바이오 관련하여 미국, 일본 유럽 등 국가정책과 관련된 자료라면 어떠한 것도 좋습니다. > >우리나라 국가정책 방향 설정에 유용하게 쓰겠습니다 > >제발 정보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답변
김중재님의 답변
2007-07-04- 0
KOSEN의 검색 기능을 이용해 보세요. 지금 이벤트 기간이라 모든 자료를 무료로 마음껏 다운 받으실 수 있습니다. 원하시는 자료를 많이 얻으실 수 있을 겁니다. -
답변
이익환님의 답변
2007-07-05- 0
>농업 바이오 관련하여 미국, 일본 유럽 등 국가정책과 관련된 자료라면 어떠한 것도 좋습니다. > >우리나라 국가정책 방향 설정에 유용하게 쓰겠습니다 > >제발 정보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KOSEN 사이트 분석물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제목:Brian T. Trurner, Creating Markets for Green Biofuels_ Measuring and improving environmental performance 바이오 연료가 환경친화적인 연료라고는 하지만 실질적으로 환경친화적인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왜냐하면 모든 바이오 연료는 환경영향 관점에서 긍정적이면서 부정적인 면이 상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시장여건과 규제요건이 상황에 따라 그때 그때마다 바뀌고 있고 미국의 농촌과 에너지산업은 이의 개발에 대한 인센티브제도를 유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친환경적 바이오 연료시장은 새로운 혁신적인 방안에 전기를 마련하여 새로운 고 가격창출과 에너지원의 다원화를 기하는 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불확실한 정보나 인센티브제도 및 적용기준은 바이오 연료산업의 확산이 친환경적이지 못한 방향으로 흐를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본 보고서[1]는 농작물을 공급원료로 하여 바이오 연료의 생산방법을 강조하고 환경성과를 측정, 검토하여야 할 부분과 사례를 검토하여 정리하고 있다. 즉 바이오 연료의 시장창출과 관련하여 지구온난화의 영향, 공급원료 및 바이오 연료 생산에 따른 온실가스방출 측정, 복합적인 바이오 연료지표의 개발, 사례연구 및 기술평가/검증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바이오 연료의 환경성능을 확인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보다 효율적인 생산방안이 개발되도록 관련 연구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