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7-03
org.kosen.entty.User@7d2a5b56
이공희(berter)
- 3
펌프 기동전 배기를 시키는 이유(cavitation 방지?)를 상세히 설명 또는 관련 자료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pump
- venting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김병훈님의 답변
2007-07-04- 0
어떤 용량의 펌프인지는 모르겠지만 간략히 경험을 말씀드리면 질량분석기의 경우는 징공울 유지시키기 위해서 진공펌프가 있습니다.그리고 이 진공펌프는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는데 존재에 상관없이 기동전에 반드시 배기를 시키는 이유는 사용전에 가동하엿을경우 남아있는 가스를 배기 시켜줌으로써 혹시나 다시 가동하였을 경우 액화현상(말씀하시는 데로 cavation현상)을 방지하거나 혹은 진공을 멈추었을 경우 발생했을수도 있는 이물질을 공기중으로 배출하여 진공을 지속적으로 유지시켜주기 위함입니다. 또한 자칫 가스가 포화되어 있을 경우 펌프 기동시 오일이 역류할수도 있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가스를 완전히 배기시키고 진공을 잡아주던기억이 있습니다. 그럼.. >펌프 기동전 배기를 시키는 이유(cavitation 방지?)를 상세히 설명 또는 관련 자료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답변
이익환님의 답변
2007-07-05- 0
>펌프 기동전 배기를 시키는 이유(cavitation 방지?)를 상세히 설명 또는 관련 자료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사이트 참고하세요... 이 현상을 Cavitation이라 한다. Pump의 NPSH(Net Positive Suction Head)가 감소되면 공동이 형성되는 점에 도달하게 되는데 이 때를 ... 빨려 들어온 공기나 수증기를 제거하기 위해 Vent 또는 Pump Case 윗부분을 Vent 시키면 저절로 액체가 주입되며, ... -
답변
김진철님의 답변
2007-07-09- 0
>펌프 기동전 배기를 시키는 이유(cavitation 방지?)를 상세히 설명 또는 관련 자료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진공 펌프에서의 cavitation 은 소음 뿐만이 아니고 본체에 부식과 마모로도 이어집니다. 이는 특히 액봉식 진공 펌프에서 진공측과 압축된 측의 정점에는 기포의 터짐, 폭팔이라고 해도 될 만큼에 압력 변화에 대한 기포막 파괴 소리며 압력 변화에 따른 과포화 증기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상기 질문에 펌프 기동 전에 배기를 시키는 이유는 이와는 조금 다른 이유 입니다. 모든 압축기에서 초기 기동시 전동기에 기동 토르크를 적게하기 위해 대기에 vent 시켜 전동기가 기동이 된 다음 Back 압력을 이겨 원활이 운전될 수 있게하는데 이용하며, 유회전 진공 펌프에서는 정지시 윤활할 오일이 시린더 내부가 진공이 되있는 관계로 계속 오일이 차서 기동시 오일을 밀기 위한 기동토르크가 전동기에 과부하로 연관되어 고장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이래서 전동기가 정지시 진공 부분을 vent 하여 대기압화 하는 것 입니다. 특히 단상 전동기를 사용 할경우는 전동기 소손으로 이어 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