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7-03
org.kosen.entty.User@5b44c61c
윤영룡(buddy2u)
- 4
PDLC (고분자 분산 액정) 특성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제품 개발중 실험하다가 의문 사항이 있어 전문가분의 도움을 청합니다.
PDLC의 구동 전압이 가령 DC 4V라면,
상판 ITO에 + 전압, 하판 전극에 -를 연결한 후
전압을 가한 순간에는 동작하나 이후 곧바로 동작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그러나 바이어스 전압을 일정 주기로 (가령 30hz) sweep 시키면 (+/- 반전)
정상적으로 동작합니다.
다시 정리하자면, DC를 인가하면 순간적으로는 구동을 하나 이후 번응하지 않는
상태로 변하고, 전압을 스윕시켜야 해당 전압에 반응하더군요.
왜 DC에 지속적으로 반응하지 않은지 궁금합니다.
아시는 분 계시면 답변 부탁드립니다.
- PDLC
- LC
- polymer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07-07-03- 0
PDLC에 전압,전류를 걸어야 하는데,최초 switch를 넣었을때는 작동하나 이후 작동하지 않음,그리고 DC를 switching시키면 작동하게됨. 이는 DC를 PLDC에 연결하여 ON하였을때,즉 switch를 넣었을때 최초 투입전기(전압,전류)가 흐르게 되나 전기가 흐른후 PDLC의 양단에서 (+/_) 전기기전력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즉 전기퍼텐셜이 동일 하게 되어 버리기 때문에 더이상 전기가 흐르지 않게 됩니다. 그리고 DC를 switching시키면 작동한다는 것은 ON/OFF를 일정한 주기(Hz) 로 투입하기 때문에 그 주기에 의하여 PDLC양단에 전기퍼텐셜이 유지되기 때문에 PDLC가 작동하게 됩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switching diode라는 것이 있습니다. 반도체 회로에서 AND회로,OR회로 라는 용어를 사용하는데 이는 diode를 적용하는 방법에 관한 용어입니다. switching diode에는 SCR(silicon-controlled rectifier),Transistor, FET등이 있으며,반드시 귀하의 용량에 맞는 것을 사용함이 좋습니다. 참고로 SCR을 적용한 DC회로를 첨부하였는데.첨부회로에서 귀하가 필요한(PDLC에 적합한 전압,전류)DC를 사용하여 저항 R1에 의하여 콘덴서 C가 충전되고 switching diode 인 SCR에 의하여 일정한 주기(60Hz)로 방전되도록 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전류는 (+)이기 때문에 저항R2에 의하여 (-)로 되어 DC power supply에 return되도록 회로가 구성됩니다. 여기에서 SCR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하여 220V AC를 bridge diode를 사용 하여 60Hz주기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회로입니다. Switching diode에 전기가 통할 경우만 DC가 흐르도록 되어 있습니다. Switching diode는 ON/OF 되는 시간이 고속으로써 10억분의 1초 정도밖에 걸리지 않을 정도로 매우 빠르게 작동합니다. 따라서 귀하의 용량에 맞도록 회로를 설계하여야 합니다. 먼저 PDLC의 내전압,필요한 전류,전기용량등을 점검하고 난후 회로 구성에 착수하여야 하며,가능하면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비고:회로에서 저항(R1)과 콘덴서(C)는 생략할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이 switching diode를 SCR로 쓰는 경우는 대용량 전류에 주로 사용되며, SCR대신에 Transistor type을 쓰는 것이 4V같으면 적합할 것입니다. -
답변
심성섭님의 답변
2007-07-04- 0
>PDLC (고분자 분산 액정) 특성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제품 개발중 실험하다가 의문 사항이 있어 전문가분의 도움을 청합니다. > >PDLC의 구동 전압이 가령 DC 4V라면, >상판 ITO에 + 전압, 하판 전극에 -를 연결한 후 >전압을 가한 순간에는 동작하나 이후 곧바로 동작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그러나 바이어스 전압을 일정 주기로 (가령 30hz) sweep 시키면 (+/- 반전) >정상적으로 동작합니다. > >다시 정리하자면, DC를 인가하면 순간적으로는 구동을 하나 이후 번응하지 않는 >상태로 변하고, 전압을 스윕시켜야 해당 전압에 반응하더군요. > >왜 DC에 지속적으로 반응하지 않은지 궁금합니다. >아시는 분 계시면 답변 부탁드립니다. > 위에 답변하신 분이 자세히 적어놓으셔서 ?F붙일 내용은 없네여 일반적으로 PDLC의 인가전압을 직류로 가하게 되면 고분자 매트릭스, droplet 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직류 보다는 교류로 실험을 하게 됩니다. 참고 자료 보내드립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07-07-06- 0
DC와 AC의 사용에는 다음과 같은 각각의 장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1)DC 사용시 (a)열의 발생이 적음. (b)고주파수의 DC pulse전류를 공급하여야 되므로 cost가 높음. (c)전원공급 장치에 추가적인 장치가 있어야 됨. (d)crystal이 안정적으로 작동함. (2)AC 사용시 (a)교류의 극성 변화에 따라 crystal이 회전운동을 하므로 열 발생이 DC보다 높음. (b)입력 전력에서 transformer를 사용하여 전압을 down시키면 되므로 cost가 낮음.(예: 220V 에서 4V로) (c)전원장치에서 크기가 작게됨. (d)crystal의 작동이 불안정한 경향이 있음.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07-07-06- 0
귀하의 업무에 참고용으로 자료를 첨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