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Spectroscopy

화학과를 졸업한 직장인입니다. 업무도 기기화학쪽이어서 여러 기기에 대해 공부하는데, 학부생시절 배운것으로는 도저히 무리가 있어 따로 공부를 해보려 하고있습니다. 특히 Spectroscopy쪽이 생소하고 어려운 분야라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싶습니다. IR과 Raman을 위주로 기본원리부터 응용까지.. 혹시라도 좋은 사이트나 자료, 책을 알고 계신분들의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저도 많이 찾아보고는 있는데.. 어디서부터 어떻게 해야할지 참 막막하더군요.. 질문이 상당히 브로드하다고는 생각하고 있지만.. 조언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Spectroscopy
  • IR
  • Rama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김병훈님의 답변

    국내사이트로 쉽게 접할수 있는 없는것 같구요.. 외국 사이트인데.. spectroscopy전문사이트입니다. http://www.spectroscopynow.com/ 참고하시구요.. 기기분석사이트로 국내용으로는(라만및 IR은 아니지만) www.ilabguide.co.kr 이 있습니다. >화학과를 졸업한 직장인입니다. >업무도 기기화학쪽이어서 여러 기기에 대해 공부하는데, 학부생시절 배운것으로는 도저히 무리가 있어 따로 공부를 해보려 하고있습니다. >특히 Spectroscopy쪽이 생소하고 어려운 분야라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싶습니다. IR과 Raman을 위주로 기본원리부터 응용까지.. >혹시라도 좋은 사이트나 자료, 책을 알고 계신분들의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저도 많이 찾아보고는 있는데.. 어디서부터 어떻게 해야할지 참 막막하더군요.. 질문이 상당히 브로드하다고는 생각하고 있지만.. 조언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국내사이트로 쉽게 접할수 있는 없는것 같구요.. 외국 사이트인데.. spectroscopy전문사이트입니다. http://www.spectroscopynow.com/ 참고하시구요.. 기기분석사이트로 국내용으로는(라만및 IR은 아니지만) www.ilabguide.co.kr 이 있습니다. >화학과를 졸업한 직장인입니다. >업무도 기기화학쪽이어서 여러 기기에 대해 공부하는데, 학부생시절 배운것으로는 도저히 무리가 있어 따로 공부를 해보려 하고있습니다. >특히 Spectroscopy쪽이 생소하고 어려운 분야라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싶습니다. IR과 Raman을 위주로 기본원리부터 응용까지.. >혹시라도 좋은 사이트나 자료, 책을 알고 계신분들의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저도 많이 찾아보고는 있는데.. 어디서부터 어떻게 해야할지 참 막막하더군요.. 질문이 상당히 브로드하다고는 생각하고 있지만.. 조언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익환님의 답변

    >화학과를 졸업한 직장인입니다. >업무도 기기화학쪽이어서 여러 기기에 대해 공부하는데, 학부생시절 배운것으로는 도저히 무리가 있어 따로 공부를 해보려 하고있습니다. >특히 Spectroscopy쪽이 생소하고 어려운 분야라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싶습니다. IR과 Raman을 위주로 기본원리부터 응용까지.. >혹시라도 좋은 사이트나 자료, 책을 알고 계신분들의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저도 많이 찾아보고는 있는데.. 어디서부터 어떻게 해야할지 참 막막하더군요.. 질문이 상당히 브로드하다고는 생각하고 있지만.. 조언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IR spectroscopy는 분산형 적외선 분광광도계와 FTIR의 크게 두가지의 측정기기로 나눌 수 있는데, 분산형은 검출기에 도달하는 빛이 약하기 때문에 현재 상품화 되어있는 IR spectrometer 는 대부분 FTIR 이라고 한다. IR 분광기의 특징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대개 0.78μm에서 1000μm의 영역을 적외선 영역이라 하는데, 그 적외선은 파장에 따라 다시, 가시광선부에 가까운 짧은 파장의 근적외선영역(0.78μm~ 2.5μm), 중적외선(2.5μm~50μm), 원적외선영역(50~1000μm)의 세가지로 구분 가능하다. 분자에 적외선을 쬐어주면 X-선이나 자외선 보다 에너지가 낮기 때문에 빛을 흡수하여 원자내 전자의 전이 현상을 일으키지 못하고, 대신 분자의 진동,회전,병진 운동등의 분자운동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분자의 진동에 의한 특성적 흡수 스펙트럼이 나타나는데, 이것을 IR spectrum이라 한다. 물질의 특성적 IR 스펙트럼을 잘 해석하면 여러가지 미지 물질의 확인은 물론, 분자구조를 추정할 수 있게된다. 즉, 분자내에 존재하는 기능기에 관한 정보를 줌으로써, 정량과 정성분석의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IR spectroscopy는 기기의 조작이 쉽고 간편하여 측정시간이 짧으나, 수용액상에서는 이용할 수 없는데, 이는 물 자체의 적외선 흡수가 크기 때문이라고 한다. IR spectroscopy는 분자의 진동을 이용한 분광학으로, IR을 쪼이면 진동을 일으키는 데 필요한 고유한 진동 주파수의 빛을 흡수하여 이 에너지에 대응하는....
    >화학과를 졸업한 직장인입니다. >업무도 기기화학쪽이어서 여러 기기에 대해 공부하는데, 학부생시절 배운것으로는 도저히 무리가 있어 따로 공부를 해보려 하고있습니다. >특히 Spectroscopy쪽이 생소하고 어려운 분야라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싶습니다. IR과 Raman을 위주로 기본원리부터 응용까지.. >혹시라도 좋은 사이트나 자료, 책을 알고 계신분들의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저도 많이 찾아보고는 있는데.. 어디서부터 어떻게 해야할지 참 막막하더군요.. 질문이 상당히 브로드하다고는 생각하고 있지만.. 조언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IR spectroscopy는 분산형 적외선 분광광도계와 FTIR의 크게 두가지의 측정기기로 나눌 수 있는데, 분산형은 검출기에 도달하는 빛이 약하기 때문에 현재 상품화 되어있는 IR spectrometer 는 대부분 FTIR 이라고 한다. IR 분광기의 특징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대개 0.78μm에서 1000μm의 영역을 적외선 영역이라 하는데, 그 적외선은 파장에 따라 다시, 가시광선부에 가까운 짧은 파장의 근적외선영역(0.78μm~ 2.5μm), 중적외선(2.5μm~50μm), 원적외선영역(50~1000μm)의 세가지로 구분 가능하다. 분자에 적외선을 쬐어주면 X-선이나 자외선 보다 에너지가 낮기 때문에 빛을 흡수하여 원자내 전자의 전이 현상을 일으키지 못하고, 대신 분자의 진동,회전,병진 운동등의 분자운동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분자의 진동에 의한 특성적 흡수 스펙트럼이 나타나는데, 이것을 IR spectrum이라 한다. 물질의 특성적 IR 스펙트럼을 잘 해석하면 여러가지 미지 물질의 확인은 물론, 분자구조를 추정할 수 있게된다. 즉, 분자내에 존재하는 기능기에 관한 정보를 줌으로써, 정량과 정성분석의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IR spectroscopy는 기기의 조작이 쉽고 간편하여 측정시간이 짧으나, 수용액상에서는 이용할 수 없는데, 이는 물 자체의 적외선 흡수가 크기 때문이라고 한다. IR spectroscopy는 분자의 진동을 이용한 분광학으로, IR을 쪼이면 진동을 일으키는 데 필요한 고유한 진동 주파수의 빛을 흡수하여 이 에너지에 대응하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임순용님의 답변

    >화학과를 졸업한 직장인입니다. >업무도 기기화학쪽이어서 여러 기기에 대해 공부하는데, 학부생시절 배운것으로는 도저히 무리가 있어 따로 공부를 해보려 하고있습니다. >특히 Spectroscopy쪽이 생소하고 어려운 분야라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싶습니다. IR과 Raman을 위주로 기본원리부터 응용까지.. >혹시라도 좋은 사이트나 자료, 책을 알고 계신분들의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저도 많이 찾아보고는 있는데.. 어디서부터 어떻게 해야할지 참 막막하더군요.. 질문이 상당히 브로드하다고는 생각하고 있지만.. 조언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Pavia저서...Spectroscopy는 어떤가요?
    >화학과를 졸업한 직장인입니다. >업무도 기기화학쪽이어서 여러 기기에 대해 공부하는데, 학부생시절 배운것으로는 도저히 무리가 있어 따로 공부를 해보려 하고있습니다. >특히 Spectroscopy쪽이 생소하고 어려운 분야라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싶습니다. IR과 Raman을 위주로 기본원리부터 응용까지.. >혹시라도 좋은 사이트나 자료, 책을 알고 계신분들의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저도 많이 찾아보고는 있는데.. 어디서부터 어떻게 해야할지 참 막막하더군요.. 질문이 상당히 브로드하다고는 생각하고 있지만.. 조언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Pavia저서...Spectroscopy는 어떤가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