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7-09
org.kosen.entty.User@5164c660
신정화(kiral2003)
- 3
제가 이번에 전기 투석을 이용한 이온 교환막 부분에 대한 실험을 해야 하거든요 그런데 전기 투석에 대한 내용도 좀 어렵고 이온 교환막과도 어렵네요
1가 2가 금속 이온의 탈염및 농축에 대한 실험인데요
제가 여쭈어 보고 싶은 내용은요
1.회수율이
K+>Ca>Mg>Li 이런 순으로 회수율이 높다고 기존의 논문 실험에 나와 있는데 전류를 흘러 보냈을때 이들의 분자량도 회수 시간이 짧아 지도록 하는게 궁금하구요
2. 전기 투석에 사용되는 카트리지에 대해 알고 싶은데 자료가 없어서요
일본어로 된 사용서가 있는데 너무 이해가 안가요
일본어 자체도 어렵구요
3. 전극액을 0.5N-NaN03를 쓰는 이유
질문이 3개나 되는데 여기에 대해서 아시는 분들의 좋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 이온 교환막
- 전기 투석
- 분자량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07-07-11- 0
이온이동도에 관한 연속된 자료입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07-07-11- 0
(1)이온이동도(ionic mobility) 전기투석에 있어서의 이온의 이동도라는 것을 고려하여야 합니다. 이온의 크기를 볼때 Li+:0.68Å,Na+:0.97Å,K+:1.33Å으로써 이온의 크기가 Li+이 제일 작고 Na+,K+의 순으로 커집니다.그러나 이온의 이동도는 역순으로 k+가 가장 큰순으로 됩니다.이러한 이유는 이들 이온이 물에서 이온의 수화(hydration)로 인하여 이온의 크기가 작으면 상대적으로 물 분자의 수는 크기가 작은 Li+이 많아지고,K+은 적어 진다는 것입니다.따라서 이온의 이동에 대한 저항은 Li+> Na+> K+순으로 되기 때문입니다(첨부file:이동도 list참조) 이온반경: Mg : 0.66Å, Ca : 0.99Å (2)Membrane:Membrane은 여러가지 이온교환 가능한 종류가 있습니다. 한가지의 방법은 천 봉지에 넣은 이온교환수지를 다공성 금속package를 만들어 그속에 넣어서 사용하여도 됩니다.양이온/음이온 교환수지를 사용합니다. 특별한 membrane을 사용하고자 하면 제조회사제품을 사용하여야 합니다. (3)0.5N-NaNO3: 수용액 중에서 양이온의 운반율이 높으며,IR강하가 적기 때문에 사용합니다.25℃에서 약 0.51의 값을 가집니다. 효율성을 올릴 수 있는 방법은 전해조 바닥으로 부터 기포를 발생시키는 방법입니다.이는 전해액을 교반시키는 역활과 전극에 이온이 석출되어 부착되는 것을 막아 줄 수있기 때문에 효율성이 올라갑니다. 이온이동도에 관한 자료가 본 답변에 올라가지 않아서 연속으로 첨부합니다.-아마KOSEN의 전산 오류같습니다. -
답변
이익환님의 답변
2007-07-12- 0
>제가 이번에 전기 투석을 이용한 이온 교환막 부분에 대한 실험을 해야 하거든요 그런데 전기 투석에 대한 내용도 좀 어렵고 이온 교환막과도 어렵네요 >1가 2가 금속 이온의 탈염및 농축에 대한 실험인데요 > 제가 여쭈어 보고 싶은 내용은요 >1.회수율이 > K+>Ca>Mg>Li 이런 순으로 회수율이 높다고 기존의 논문 실험에 나와 있는데 전류를 흘러 보냈을때 이들의 분자량도 회수 시간이 짧아 지도록 하는게 궁금하구요 >2. 전기 투석에 사용되는 카트리지에 대해 알고 싶은데 자료가 없어서요 > 일본어로 된 사용서가 있는데 너무 이해가 안가요 > 일본어 자체도 어렵구요 >3. 전극액을 0.5N-NaN03를 쓰는 이유 > > 질문이 3개나 되는데 여기에 대해서 아시는 분들의 좋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사이트 소개합니다. 분자량이 커서 막을 투과할 수 없는 고분자 유기물. 이러한 고분자 유기물의 경우 막(주로 음이온교환막)의 표면에 .... 이온교환능력, 함수율 등을 조사한다. Table 1에서 sodium humate를 포함한 전기투석 공정후. 의 음이온 교환막의 특성의 변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