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7-12
org.kosen.entty.User@34a46a8
채창석(chaecs0817)
- 1
제가 지금 protein 정제 작업을 하는데 inclusion body(IB) protein으로 나오는 것을 solubilization하여 동물에게 먹임으로써 치료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는 실험을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IB protein을 solubilization하는 방법으로 보통 8M Urea Tris-HCl pH8.0 buffer를 이용하여 실험하였습니다. 이번에 정제하고자 하는 protein은 그 조건에서 녹지 않아 9M Urea, 6M Guanidine HCl, 1% SDS 이런 조건으로 녹였습니다. 1% SDS에서 가장 잘 녹았고 6M Guanidine HCl도 잘녹았습니다. 문제는 1% SDS로 녹였을시 SDS를 제거하기가 쉽지 않을 뿐 더러 SDS가 얼마나 있는지 확인도 어렵다는 것입니다.
6M Guanidine HCl로 녹인 것을 serial dialysis(6M->3M->1.5M->0MX3)로 Guanidine을 제거하였더니 많은 양의 침전이 생겼습니다. 보통 Urea serial dialysis 하였을때는 그런 침전이 거의 안생겼는데 Guanidine은 왜 생기는지도 궁금합니다.
마지막으로 SDS로 IB를 녹인후 그것을 정제하여 in vivo 실험을 한 paper가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제가 찾아보려구 했는데 저는 찾지 못했어요^^;
- inclusion body
- solubilizatio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배덕환님의 답변
2007-07-16- 0
>제가 지금 protein 정제 작업을 하는데 inclusion body(IB) protein으로 나오는 것을 solubilization하여 동물에게 먹임으로써 치료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는 실험을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IB protein을 solubilization하는 방법으로 보통 8M Urea Tris-HCl pH8.0 buffer를 이용하여 실험하였습니다. 이번에 정제하고자 하는 protein은 그 조건에서 녹지 않아 9M Urea, 6M Guanidine HCl, 1% SDS 이런 조건으로 녹였습니다. 1% SDS에서 가장 잘 녹았고 6M Guanidine HCl도 잘녹았습니다. 문제는 1% SDS로 녹였을시 SDS를 제거하기가 쉽지 않을 뿐 더러 SDS가 얼마나 있는지 확인도 어렵다는 것입니다. >6M Guanidine HCl로 녹인 것을 serial dialysis(6M->3M->1.5M->0MX3)로 Guanidine을 제거하였더니 많은 양의 침전이 생겼습니다. 보통 Urea serial dialysis 하였을때는 그런 침전이 거의 안생겼는데 Guanidine은 왜 생기는지도 궁금합니다. >마지막으로 SDS로 IB를 녹인후 그것을 정제하여 in vivo 실험을 한 paper가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제가 찾아보려구 했는데 저는 찾지 못했어요^^; > solubilization의 정의는 물에 녹기 어려운 물질이나 녹지 않는 물질을 투명하게 용해시키는 방법으로서 계면활성제(가용화제라고도 함, SDS 포함)를 이용합니다. 제 생각으로는 식용 계면활성제 Tween 60, 80 또는 의약용 그레이드나 화장품용 그레이드인 POE60 또는 PEG40 Hydrogenated caster oil의 가용화제를 사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