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7-23
org.kosen.entty.User@79074137
장대진(docee)
- 1
전 화공을 전공했구요
질문이 있어 몇글자 적어 봅니다.
일반적인 굴곡강도의 의미는 하중으로 인해 항복점까지 견디는 힘으로
생각을 해오고 있읍니다.
그렇다면, Plastic에서(MMA계+충진물)에서의 굴곡강도의 차이라면
수지와 충진물의 결합력의 차이로 이해가 가능한지요.
예를 들어 굴곡강도가 크다는 얘기는 항복점까지 휨의 정도가 크며
그만큼 결합이 상대적으로 굴곡강도가 작은 플라스틱에 비해 단단하지
못하다고 이해를 해도 될지요?
너무 당연한 질문을 드리는건 아닐지 모르겠읍니다.
- 굴곡
- 강도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송준희님의 답변
2007-07-24- 0
강도(응력)는 단위면적당 힘을 말합니다. 힘과 강도는 다릅니다. 재료에 하중이 작용하는 형태는 인장, 압축, 전단, 굽힘 등이 대표적입니다. 이러한 공간적 힘의 작용형태에서 특정지점의 응력을 각각 인장강도, 압축강도, 전단강도, 굽힘강도라 합니다. 항복점에서 응력으로 국한할 때는 항복강도라 부르지요. 따라서 굴곡강도는 굽힘하중이 작용하는 형태에서의 굽힘에 대한 저항의 정도라 말할 수 있겠지요. 실험적으로는 대개 하중 작용점이 3개인 3점굽힘, 4개인 4점굽힘을 많이 사용합니다. 3점 굽힘의 경우 예를들면 굽힘강도는 3/2 X (최대하중 X 지지거리)/(시편폭 X 시편두께의 제곱)으로 구합니다. 플라스틱 복합재의 경우, 굽힘하중을 받는다면 모재와 섬유간의 결합력이 우수한 것이 굽힘강도도 크겠지요. 다만, 방향성에 따라 값들의 차이가 있겠습니다. 단단하다는 정도로의 비교는 경도값입니다. 단단한 정도(=경도)를 절대적 강도로 표현하면 곤란합니다. 이는 탄성, 소성, 취성, 연성 등의 일반적 개념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