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7-25
org.kosen.entty.User@50bbc8dc
강호연(3kang3)
- 1
저밀도 폴리 에틸렌에(LDPE) 카본 나노 튜브(CNT)를 분산하려고 하는데 적당한 계면 활성제 없나요??
참고로 용매로는 자일렌을 사용하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Solution Mixing 을 통한 방법으로 LDPE와 CNT를 혼합하려고 하는데 자일렌 상에서 사용하는 계면 활성제를 찾고 있습니다.
아시는 분은 답변 부탁드려요~~
- Surfactant
- CNT
- LDP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김병훈님의 답변
2007-07-28- 0
산처리된 CNT의 분산안정성은 낮다. 그래서 분산을 안정화하기 위하여 계면활성제가 이용된다. 도데실황산나트륨(SDS), 도데실벤젠황산나트륨, Triton X-100이 대표적인 예이다. 일단 SDS로 안정화된 후, 폴리비닐피롤리돈이나 폴리스타이렌술폰산 등의 폴리머로 치환하여도 안정화는 유지된다. 계면활성제는 표면처리와 화학반응과는 부정합한 경우도 있고, 일단 혼입되면 제거가 어려울 수도 잇어 계획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어떤 종류의 폴리머만으로도 안정화가 가능하다. 페닐렌비닐을 주쇄에 포함하고 있는 폴리머는 CNT를 클로로포름과 톨루엔에 분산시킨다. 그 외에 젤라틴과 전분으로도 안정화된다. CNT가 유원환으로 구성된 점을 이용하여 파이렌(pyrene) 유도체를 포함한 용액에 CNT를 침적하면, pyrene이 CNT에 흡착하여 용매에의 분산성을 높힌다. Pyrene 유도체에 개환중합의 개시제로서 작용하는 관능기를 도입하여 CNT를 중합고분자로 피복한 응용예도 있다. 이는 CNT에 직접반응시키는 방법과는 달리 CNT에 흡착된 분자를 화학적으로 modify하여 분산화시키는 방법이다. 단백질의 일종인 스토렙트아비진도 CNT에 잘 흡착되며,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와 Triton X-100에 의하여 잘 교환흡착된다. 아미노기는 CNT와 특이적으로 상호작용하며 그 에너지는 대략 23 kcal/mol로 추산된다. 알킬아민기을 기상으로부터 흡착시키거나 폴리에틸렌이민을 메탄올로부터 흡착시키면 CNT의 전기특성이 변한다. 역으로, 아미노기가 노출된 표면을 준비하면 CNT가 그 표면에 흡착되게 된다. 직경 수 um의 표면에 아미노기가 노출된 실리카 입자에는 단층CNT가 수분산액으로부터 흡착된다. 용액으로부터 취출하여 실리카를 HF로 에칭하여 제거하면 CNT만으로 된 중공(hollow)의 구상 초박막이 얻어진다. 또한 SWNT를 3-aminopropyltriethoxysilane으로 처리하면 아미노기 쪽이 CNT를 향하고 실라놀기가 바깥 쪽으로 향한 막이 CNTㄹ르 피복한다. 이를 재차 tetraethoxysilane(TEOS)로 처리해줌으로써 실리카로 피복된 CNT를 얻을 수 있다. 출처: http://blog.naver.com/kistpm?Redirect=Log&logNo=1300000411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