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pH meter와 pH paper

시료는 에멀젼 제품입니다. pH meter 측정시 9.7이 나옵니다. pH paper 측정시 7.5 정도입니다. pH meter의 buffer solution(pH 4,7,10)을 pH paper로 측정하면 유사(color 변함)하게 나옵니다. pH meter로 buffer solution(pH 4,7,10)을 측정하면 정확한 값을 표시합니다. 이 상태를 어떻게 설명해야하나요? 무엇이 잘못된 것인가요?
  • pH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Emulsion제품 같으면 점성(점도)이 있는 제품 같은데요. pH meter는 수용액에서 수소이온 농도를 측정하는 것인데 Emulsion을 측정하면 전극간의 저항이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이 될 수 없습니다. 측정할려면 Emulsion을 10배 또는 100배희석을 하여 측정하여 보기 바랍니다.(10배는 pH=1,100배는 pH=2의 차이이므로 결과치에서 보정하시기 바랍니다)
    Emulsion제품 같으면 점성(점도)이 있는 제품 같은데요. pH meter는 수용액에서 수소이온 농도를 측정하는 것인데 Emulsion을 측정하면 전극간의 저항이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이 될 수 없습니다. 측정할려면 Emulsion을 10배 또는 100배희석을 하여 측정하여 보기 바랍니다.(10배는 pH=1,100배는 pH=2의 차이이므로 결과치에서 보정하시기 바랍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Emulsion을 합성하기 위하여서는 암모니아수,기타 첨가제 등등 여러가지가 투입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H+ ion, OH- ion만으로써 판단이 되지를 않습니다. 그러므로 알카리도측정 방법을 적용하십시요. naver.com에 접속하시어서 검색어“알카리도측정“으로 검색하면 측정 방법이 자세히 나옵니다. 증류수와 1:1희석하여 측정하였다고 하시는데,증류수의 pH는 7이고 측정값이 9.07이 나왔다면 7이상이므로 증류수에 비하여 알카리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 하는 것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희석하는 방법도 pH의 측정기본에 맞게 10배,100배(log개념)와 같은 방법으로 하시기 바랍니다. 전문적으로 pH calculation을 하시고자하면 위의 site에 접속하시어서 CurTiPot를 free로 down받아 활용할 수 있습니다.이의 site를 참고로 file로 올립니다.
    Emulsion을 합성하기 위하여서는 암모니아수,기타 첨가제 등등 여러가지가 투입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H+ ion, OH- ion만으로써 판단이 되지를 않습니다. 그러므로 알카리도측정 방법을 적용하십시요. naver.com에 접속하시어서 검색어“알카리도측정“으로 검색하면 측정 방법이 자세히 나옵니다. 증류수와 1:1희석하여 측정하였다고 하시는데,증류수의 pH는 7이고 측정값이 9.07이 나왔다면 7이상이므로 증류수에 비하여 알카리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 하는 것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희석하는 방법도 pH의 측정기본에 맞게 10배,100배(log개념)와 같은 방법으로 하시기 바랍니다. 전문적으로 pH calculation을 하시고자하면 위의 site에 접속하시어서 CurTiPot를 free로 down받아 활용할 수 있습니다.이의 site를 참고로 file로 올립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민희님의 답변

    답변 감사드립니다. 시료는 고형분 60%입니다. 그러니까 에멀젼자체에서 전하를 띠므로, 전극간의 저항이 달라진다는 말씀이신가요? 결과치를 보정한다면 100배로 희석해서 pH가 7이 나오면 결과값은 9라는 말씀이신가요? 오늘 60%제품을 증류수와 1:1희석해서 측정하니, 9.7이던 제품이 9.07이 나왔습니다. ======================================================= Emulsion제품 같으면 점성(점도)이 있는 제품 같은데요. pH meter는 수용액에서 수소이온 농도를 측정하는 것인데 Emulsion을 측정하면 전극간의 저항이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이 될 수 없습니다. 측정할려면 Emulsion을 10배 또는 100배희석을 하여 측정하여 보기 바랍니다.(10배는 pH=1,100배는 pH=2의 차이이므로 결과치에서 보정하시기 바랍니다) >시료는 에멀젼 제품입니다. > >pH meter 측정시 9.7이 나옵니다. >pH paper 측정시 7.5 정도입니다. > >pH meter의 buffer solution(pH 4,7,10)을 pH paper로 측정하면 유사(color 변함)하게 나옵니다. >pH meter로 buffer solution(pH 4,7,10)을 측정하면 정확한 값을 표시합니다. > >이 상태를 어떻게 설명해야하나요? >무엇이 잘못된 것인가요? >
    답변 감사드립니다. 시료는 고형분 60%입니다. 그러니까 에멀젼자체에서 전하를 띠므로, 전극간의 저항이 달라진다는 말씀이신가요? 결과치를 보정한다면 100배로 희석해서 pH가 7이 나오면 결과값은 9라는 말씀이신가요? 오늘 60%제품을 증류수와 1:1희석해서 측정하니, 9.7이던 제품이 9.07이 나왔습니다. ======================================================= Emulsion제품 같으면 점성(점도)이 있는 제품 같은데요. pH meter는 수용액에서 수소이온 농도를 측정하는 것인데 Emulsion을 측정하면 전극간의 저항이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이 될 수 없습니다. 측정할려면 Emulsion을 10배 또는 100배희석을 하여 측정하여 보기 바랍니다.(10배는 pH=1,100배는 pH=2의 차이이므로 결과치에서 보정하시기 바랍니다) >시료는 에멀젼 제품입니다. > >pH meter 측정시 9.7이 나옵니다. >pH paper 측정시 7.5 정도입니다. > >pH meter의 buffer solution(pH 4,7,10)을 pH paper로 측정하면 유사(color 변함)하게 나옵니다. >pH meter로 buffer solution(pH 4,7,10)을 측정하면 정확한 값을 표시합니다. > >이 상태를 어떻게 설명해야하나요? >무엇이 잘못된 것인가요?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Emulsion제품은 원료를 합성하여 고분자(polymer)화한 제품을 말하는데, 고분자화한 상태인 Emulsion내에는 입자(particle)가 생성되어 있음을 뜻하고 있습니다.수용성 또는 유성계라는 것은 희석할 수 있는 용매를 말하는 것으로써,목적하는바 대로 coating하였을 때 용매는 희발하고 이러한 입자들이 film이나 기타 형태로 이루어 집니다. 따라서 pH의 측정은 이온으로 해리된 상태가 아니면 이러한 입자들을 바로 측정하여 수치로 나타낼 수 없습니다. 따라서 Emulsion수지의 pH측정은 pH/ion meter를 사용하여 manual에 의하여 측정합니다.(첨부file참조) 추가하여 vinyl acetate polymer에 관한 참고자료를 file로 올립니다.
    Emulsion제품은 원료를 합성하여 고분자(polymer)화한 제품을 말하는데, 고분자화한 상태인 Emulsion내에는 입자(particle)가 생성되어 있음을 뜻하고 있습니다.수용성 또는 유성계라는 것은 희석할 수 있는 용매를 말하는 것으로써,목적하는바 대로 coating하였을 때 용매는 희발하고 이러한 입자들이 film이나 기타 형태로 이루어 집니다. 따라서 pH의 측정은 이온으로 해리된 상태가 아니면 이러한 입자들을 바로 측정하여 수치로 나타낼 수 없습니다. 따라서 Emulsion수지의 pH측정은 pH/ion meter를 사용하여 manual에 의하여 측정합니다.(첨부file참조) 추가하여 vinyl acetate polymer에 관한 참고자료를 file로 올립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