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합금의 비중을 구하는 방법이 있나요?

Binary, Ternary 등 합금을 한 뒤 성분 비율에 따라 실제비중에 가장 근접한 수치를 계산하는 방법이 있는지요? 각 순수 금속들의 비중과, 체적을 이용하여 역산하면 실제 비중과 많이 차이가 날것 같습니다. 모래(V1, w/t1)와 자갈(V2, w/t2)을 혼합 시키면 무게는 (w/t1+w/t2) 이지만, 총 체적은 (V1+V2)가 아니기에 금속의 원자반경과 결정구조에 따른 충진율의 상관 계수를 적용할 방법이 있으면 이론적으로 진밀도에 가까운 비중을 계산할 수 있지 않을른지요? 비중 측정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실제비중에 근접한 계산을 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고수님들, 한 수 가르침 부탁 드립니다. 무더운 날, 건강 유념 하시옵고 휴가철 즐거운 시간 되십시요 !!
  • Alloy
  • Density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이상규님의 답변

    >Binary, Ternary 등 합금을 한 뒤 >성분 비율에 따라 실제비중에 가장 근접한 수치를 계산하는 >방법이 있는지요? > >각 순수 금속들의 비중과, 체적을 이용하여 역산하면 >실제 비중과 많이 차이가 날것 같습니다. > >모래(V1, w/t1)와 자갈(V2, w/t2)을 혼합 시키면 >무게는 (w/t1+w/t2) 이지만, 총 체적은 (V1+V2)가 아니기에 >금속의 원자반경과 결정구조에 따른 충진율의 상관 계수를 >적용할 방법이 있으면 이론적으로 진밀도에 가까운 비중을 계산할 수 >있지 않을른지요? > >비중 측정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실제비중에 근접한 계산을 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 >고수님들, 한 수 가르침 부탁 드립니다. > >무더운 날, 건강 유념 하시옵고 >휴가철 즐거운 시간 되십시요 !! 원래 이론적인 밀도(비중)은 님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Lattice parameter를 이용해서 부피를 구하고, lattice 안에 들어가는 원자들의 종류와 수를 이용해서 질량을 구한 후 밀도를 구할 수 있습니다. Lattice parameter야 XRD로 구할 수 있을테고.. 제가 알기로도 Porosity를 구할때도 이 값을 참조합니다. 측정치와 이론치의 퍼센트 차이가 바로 Porosity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Binary, Ternary 등 합금을 한 뒤 >성분 비율에 따라 실제비중에 가장 근접한 수치를 계산하는 >방법이 있는지요? > >각 순수 금속들의 비중과, 체적을 이용하여 역산하면 >실제 비중과 많이 차이가 날것 같습니다. > >모래(V1, w/t1)와 자갈(V2, w/t2)을 혼합 시키면 >무게는 (w/t1+w/t2) 이지만, 총 체적은 (V1+V2)가 아니기에 >금속의 원자반경과 결정구조에 따른 충진율의 상관 계수를 >적용할 방법이 있으면 이론적으로 진밀도에 가까운 비중을 계산할 수 >있지 않을른지요? > >비중 측정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실제비중에 근접한 계산을 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 >고수님들, 한 수 가르침 부탁 드립니다. > >무더운 날, 건강 유념 하시옵고 >휴가철 즐거운 시간 되십시요 !! 원래 이론적인 밀도(비중)은 님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Lattice parameter를 이용해서 부피를 구하고, lattice 안에 들어가는 원자들의 종류와 수를 이용해서 질량을 구한 후 밀도를 구할 수 있습니다. Lattice parameter야 XRD로 구할 수 있을테고.. 제가 알기로도 Porosity를 구할때도 이 값을 참조합니다. 측정치와 이론치의 퍼센트 차이가 바로 Porosity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