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7-27
org.kosen.entty.User@1db2979c
정용태(franken3)
- 2
식물추출물을 연구중에 있습니다..
먼저 식물을 ethanol로 추출하고
극성별로 추출하기 위해 다시 hexan, chloroform, ethylactate, butanol로 순차적으로 분리할려고 합니다
그런데 hexan으로 분리하고 hexan을 제거하고 남은 물층에 chloroform을 넣어서 추출하면 분별깔대기의 층이 3개로 나누어 집니다. 제일 밑에는 투명한 chloroform층이 있고요 제일위에는 반투명의 물층이 있습니다. 그런데 중간에 물투명의 흰색층이 있는데 이건 물층인가요? 아님 chloroform층이니가요? 이 흰색층을 분리하고 무수황산나트륨을 넣어서 물을 제거해서 chloroform층을 쓰면되는가요?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아시는 분은 답변좀 부탁드립니다..
- 물질분리
- 극성별 분리
- chloroform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김병훈님의 답변
2007-07-28- 0
헥산과 물 그리고 다른용매들이 섞일때 일종의 혼합층이 형성됩니다. 이와 유사한 실험인 다이옥신을 추출할때톨룰엔이나 MC 그리고 황산후 중화반응을 위한 hexane으로 씻은 물을 한꺼번에 이용할때가 있습니다. 그러면 아래에서 언급한것처럼 물로 인한 흰생층이 생깁니다 이건 시간이 어느정도 해결을 해주지만 그래도 안없어지는것들은 님이 말씀하시는것처럼 물을 완전히 없애기 위해서 그 층만을 따로 무수황산나트륨(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 고온에서 baking해놓은것을 이용하기도 함)에 걸러서 용매층만을 받기도 합니다. 무수황산나트륨은 물층만을 걸르기 때문에.. (하지만 물의 양과 적절히 이용하셔야만 ) 제대로 걸러진 용매층을 이용하실수 있습니다) >식물추출물을 연구중에 있습니다.. >먼저 식물을 ethanol로 추출하고 >극성별로 추출하기 위해 다시 hexan, chloroform, ethylactate, butanol로 순차적으로 분리할려고 합니다 >그런데 hexan으로 분리하고 hexan을 제거하고 남은 물층에 chloroform을 넣어서 추출하면 분별깔대기의 층이 3개로 나누어 집니다. 제일 밑에는 투명한 chloroform층이 있고요 제일위에는 반투명의 물층이 있습니다. 그런데 중간에 물투명의 흰색층이 있는데 이건 물층인가요? 아님 chloroform층이니가요? 이 흰색층을 분리하고 무수황산나트륨을 넣어서 물을 제거해서 chloroform층을 쓰면되는가요?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아시는 분은 답변좀 부탁드립니다.. > -
답변
이홍섭님의 답변
2007-07-31- 0
식물이든..미생물이든 암튼 추출하고 정제하는 과정에 있어 처움 이일을 하시는 분들에게 몇가지 조언을 드립니다. 대부분 분리정제 하시는 분들이 보면 기초적인 내용이지만 위의 질문 내용을 보아 미루워 짐작한 노땅^^의 잔소리 입니다. 1. 핵산 추출시에는 메탄올 등에 섞이지 않는다는 이유로 100% 메탄올을 쓰는 것보다는 약 95% 메탄올 되게 물을 가한후 추출하시면 분리층도 잘보이고 쉽게 섞이지 않습니다. 이렇게 한 후 메탄올 층을 40도 이하에서 농축하면 약 5%의 물이 남고 농축하면서 물을 투여하여 다음 클로로폼 추출시에 용이하게 됩니다. 2. 클로로폼 보다는 메틸클로라이드 즉 MC 혹은 DM(CH2Cl2)를 쓰십시요, 약간은 차이가 있지만 클로로폼 보다는 간독성이 훨씬 덜하고 농축도 비슷합니다. 건강을 생각해서...기업체에서는 클로로폼 쓰면 시말서 받습니다.ㅎㅎ 농담.. 3. 수분제거로 쓰이는 암모늄설페이트나 마그네슘을 쓰신다면 반드시 여과를 하십시요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많은 양의 이 들 수분제거제가 끝까지 따라다닙니다. 4. 어떤 추출을 하든 분리 정제시 반드시 보호 용구를 착용합니다.!!!!!!! 특히 눈..클로로폼 한 두 방울로 치명적인 위험이 있습니다. 그리고 추출물..특히 항암제 하시는 분들은 앞치마, 소데(일본말인가-.-) 암튼 그런 종류의 보호 정구 없이 분리 정제..특히 추출은 하지말기를 바랍니다. 안전사고로 입원하는 사람 무지 많습니다.... 5. 실리카 혹은 RP레진 사용시에도 반드시 마스크 와 장갑을 착용하십시요, 일 끝내고 피부표면을 보면 한참 많이 달라붙어 있습니다. 전 알러지 때문에 거의 죽음입니다. 6. 폐수!!!!! 반드시 지킴시다......괴물 영화에서 포르말린 봤죠.? 그것보다 1000% 이상 더 독한 용매 만진다고 생각하시고 조심하고 반드시 폐액통을 이용합시다.. 이상입니다.......수고하시고 좋은 휴가 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