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7-30
org.kosen.entty.User@58179bd7
최정화(lynoa)
- 2
CNT를 산처리(황산+질산) 한 후 EDS 분석을 하였습니다.
이론적으로 카르복실기가 붙었다고 보았을 경우, 분석을 하면 C, O, H가 나와야 맞는게 아닌가요?
H는 원자량이 작아서 검출이 안될 수 있다고 보지만, 검출될 것이라고 예상됐던 O가 검출이 안돼었습니다.
산처리를 잘못 한것일까요? O가 검출이 안된 원인이 무엇일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 Carbon Nanotubes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정동진님의 답변
2007-07-30- 0
>CNT를 산처리(황산+질산) 한 후 EDS 분석을 하였습니다. >이론적으로 카르복실기가 붙었다고 보았을 경우, 분석을 하면 C, O, H가 나와야 맞는게 아닌가요? >H는 원자량이 작아서 검출이 안될 수 있다고 보지만, 검출될 것이라고 예상됐던 O가 검출이 안돼었습니다. >산처리를 잘못 한것일까요? O가 검출이 안된 원인이 무엇일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EDS의 경우 상호 결합에너지를 바탕으로 통상적으로 cation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주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더불어 2주기 원소의 경우 실질적으로 신뢰도는 더 저하되는것 같구요. EDS에서 O가 나타났다고 해서 카르복실기의 합성여부에 대해 고려하기는 좀 어렵지 않나 싶네요... 이렇게 해보시면 어떠실지요...어차피 카르복실기에 대한 부분을 확인하실 목적이시라면 FT-IR이 가장 손쉬우면서 확실한 방법이 아닐런지요? 카르복실기의 Finger Print 영역에서의 자료를 토대로 비교해보시면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개인적으로 CNT를 하지않아 측정상에 시편 가공과 관련하여 어떠한 문제가 있을지는 잘모르겠으나 확인하시기 쉬운 방법이 아닐까 하여 말씀드립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럼 좋은 결과 있으세요~~ -
답변
손삼익님의 답변
2007-09-09- 0
H는 EDS에서 검출 가능한 원소가 아니지만 C,O는 검출이 됩니다. 다만 미량의 경우에는 detection limit에 걸리겠죠. 아래분 처럼 IR 이나 Raman을 이용하셔도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