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7-31
org.kosen.entty.User@2746ddfa
허혜정(hjjungyi)
- 1
보통 전임상과정에서 사용되는
rat, mouse, dog에서의
PK parameter중에 Vd값(분포용적)의
기준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얼마이상이면 신약으로 개발가능하다?? 이상적이다??
요런 수치가 있는지!!!
아무리 찾아봐도 이런것은 없네요~
답변 부탁드려요!!
- PK
- volume of distribution
- preclinical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이재휘님의 답변
2007-08-01- 0
투여된 약물의 체내분포에서 약물이 조직이나 장기에 분포되지않을 경우에는 혈액의 용적이 분포용적이 됩니다. 즉 사람 성인에게서는 약 2.5 리터 정도의 혈장이 존재하므로 분포용적은 2.5 리터에 가까운 값을 나타냅니다. 일례로, 약물을 정맥주사한 후 약물의 총투여량을 정류상태의 혈중농도로 나누면 분포용적을 구할 수 있는데, evans blue 같은 물질은 체내에서 대사되지 않고 혈장알부민과 강력히 결합하며 혈관에서 스며나오지 않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evans blue의 분포용적은 혈장량과 거의 동일합니다. 그러나 약물이 조직이나 장기 또는 그 밖의 체액에 분포되면 약물쪽에서 보면 분포될 수 있는 체내 부위가 늘어나기 때문에 분포용적이 혈액의 용적 이상으로 올라갑니다. 다른 동물모델에서도 같은 원리가 적용됩니다. 그런데 약물의 분포는 약물의 물성(용해도, 수용성 또는 지용성 정도, pKa), 약물의 혈장단백질과의 결합성, 조직세포내 성분과의 결합성과 같은 약물측 요인과 조직에 공급되는 혈류량 등과 같은 생체측 요인에 지배를 받기 때문에 아래의 질문에 무어라 답변을 드리기 어렵습니다. 단 위에서 언급한 방법으로 분포용적을 측정하였을 때 혈장량 보다 크거나 또는 큰 정도를 통해 해당 약물의 분포특성을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즉 분포용적이 크다 작다, 또는 혈장 단백결합 등으로 인해 분포용적이 크지 않은 약물이다 라는 정도의 코멘트를 약물에 관해서 할 수 있습니다. 분포용적의 기준은 따라서 체내에 존재하는 혈장량이 기준이 될 것입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보통 전임상과정에서 사용되는 >rat, mouse, dog에서의 >PK parameter중에 Vd값(분포용적)의 >기준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얼마이상이면 신약으로 개발가능하다?? 이상적이다?? >요런 수치가 있는지!!! > >아무리 찾아봐도 이런것은 없네요~ >답변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