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8-05
org.kosen.entty.User@5d8f9c65
이공희(berter)
- 4
경수로에서 전노심이 인출되는 경우 및
중수로에서 노심의 절반이 인출되는 경우는 어떨 때인가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 PWR
- PHWR
- cor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성창경님의 답변
2007-08-06- 0
>경수로에서 전노심이 인출되는 경우 및 >중수로에서 노심의 절반이 인출되는 경우는 어떨 때인가요? > >답변 부탁드립니다. 경수로 원전은 일반적으로 매주기(10~ 24개월까지) 핵연료 교체시기에 전 노심을 인출하여 핵연료 검사 후 재장전하고 있으므로 약 18개월 한번 정도는 전노심을 인출합니다. 그러나 중수로 원전은 On-line Refueling 하는 관계로 이론적으로는 노심을 인출하지않으나 중수로 압력관 교체 및 증기발생기 교체 등 대규모 설비개선 공사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핵연료를 인출하는 경우도 있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현행 중수로 원전의 핵연료장전기는 사용후 핵연료를 사용할 수없을 것으로 판단된는 바 가능한 일부 핵연료 인출도 최소화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
답변
이익환님의 답변
2007-08-10- 0
>경수로에서 전노심이 인출되는 경우 및 >중수로에서 노심의 절반이 인출되는 경우는 어떨 때인가요? > >답변 부탁드립니다. 현재 경수로는 1.6개월~2년 주기의 핵연료 연소주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는 앞으로 더 늘어날 가능성도 있습니다.특히 발전소의 효울 증대를 위해 향후 신규발전소(제 3세대원전)의 경우는 기술개발을 하고 있습니다. 이에 비해 중수로는 가동중에 핵연료를 연료교체기로 매일 교체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새로운 기술, 핵설계에서는 천연우라늄을 사용하지 않고 저농축우라늄을 사용하는 것으로...이렇게 되면 사용후연료의 교체기간을 늘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을 가미한 새로운 원자로(ACR1000)가 실증설계로 선보이고 있습니다. 사이트 참고하세요. -
답변
이익환님의 답변
2007-08-12- 0
>경수로에서 전노심이 인출되는 경우 및 >중수로에서 노심의 절반이 인출되는 경우는 어떨 때인가요? > >답변 부탁드립니다. 중수형원자로 및 경수형원자로 뿐아니라 여러형의 원자로에 해당하는 특성을 교육적인 측면에서 이해를 도울 웹사이트를 소개하였습니다. 그리고 원자력연구원의 홈페이지도 소개하니 활용해 보세요.. www.kaeri.re.kr 한국원자력연구원 -
답변
이익환님의 답변
2010-01-07- 0
노심인출은 사고가 아닌 이상 일반적으로 정규적인 운전보수기간에 행한다. 최근 수출노형인 APR1400은 교체노심주기로 2년까지 가능하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때마다 매번 교체노심설계를 해야 한다. 이 기술은 우리나라가 어느나라 보다도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중수로의 경우 매일 몇다발씩 교체하고있는 노형이라 전체나 반 이상을 교체하는 일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월성1호기와 같이 원자로인 압력관을 교체할 경우는 예외이다. >경수로에서 전노심이 인출되는 경우 및 >중수로에서 노심의 절반이 인출되는 경우는 어떨 때인가요?>>답변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