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대량의 균주들을 대상으로 한번에 MIC(최소억제농도)찾는 방법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대략 30개정도의 E.coli Knockout strain에 대해서 독성물질 몇가지를 처리해서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혹은 sublethal concentration)을 결정하려고 합니다. 가장 간단한 방법은 물론 LB배지에서 키운뒤 흡광도를 측정하는 방법이겠지만 혼자서 30개 균주를 반복실험까지 해서 다 끝내려면 두달은 걸릴것 같고 정밀한 분석이라기 보다는 pre-screening의 의미가 있으므로 좀더 손쉽고 빠른 방법이 있었으면 합니다. 물론 정량분석이 가능해야 하므로 제가 생각할때는 96well에 dilution assay를 해서 INT(p-iodonitrotetrazolium violet)와 같은 염색약을 처리해서 각 well에서 세포가 자랐는지 확인하는 방법이 적절하지 않나 생각이 듭니다. 여기까지는 제가 개인적으로 알아낸 방법인데 솔직히 확신이 안들어서 조언을 청합니다... 제가 이해하고 있는 방식이 맞는건지 알고 싶습니다....MIC를 빨리 찾아낼 수 있는 정량적이면서도 눈으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어떤걸까요? 참고문헌이나 관련정보 아무것이라도 부탁드립니다... 미리 감사드려요....
  • bioassay
  • microplate bioassay
  • 96 well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김중재님의 답변

    말씀하신 대로 96 well plate 를 이용해 MIC 측정해 본 적 있습니다. 그다지 시간 많이 걸리지 않았던 것으로 기억하구요, E. coli 정도면 자란 정도를 OD 측정으로도 확인할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물론, OD 를 측정할 수 있는 plate reader 가 있어야 겠구요. multi chanel pipette 이 있으면 상당히 편하게 실험할 수 있습니다. 뭐, 한 번의 실험을 위해 구입하긴 그렇지만, 있으시면 편하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가 사용했던 균주는 특정 효소의 활성이 있는 녀석이어서, 성장 유무를 효소활성을 colorimetric method 로 측정해 아주 visual 하게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OD 없이 사진으로만 MIC 의 결정이 가능할 정도로... 사용하시는 균주의 특정 효소활성 측정법을 이용하는 것도 고려해 보실만 하겠네요. ^^ 직접적인 도움을 드리지 못하는 답변같아 죄송합니다. 그냥 참고하시라구요...
    말씀하신 대로 96 well plate 를 이용해 MIC 측정해 본 적 있습니다. 그다지 시간 많이 걸리지 않았던 것으로 기억하구요, E. coli 정도면 자란 정도를 OD 측정으로도 확인할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물론, OD 를 측정할 수 있는 plate reader 가 있어야 겠구요. multi chanel pipette 이 있으면 상당히 편하게 실험할 수 있습니다. 뭐, 한 번의 실험을 위해 구입하긴 그렇지만, 있으시면 편하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가 사용했던 균주는 특정 효소의 활성이 있는 녀석이어서, 성장 유무를 효소활성을 colorimetric method 로 측정해 아주 visual 하게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OD 없이 사진으로만 MIC 의 결정이 가능할 정도로... 사용하시는 균주의 특정 효소활성 측정법을 이용하는 것도 고려해 보실만 하겠네요. ^^ 직접적인 도움을 드리지 못하는 답변같아 죄송합니다. 그냥 참고하시라구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