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8-20
org.kosen.entty.User@26115553
이선화(shleekku)
- 2
DSC 측정시 유리전이현상과 용융이 일어날때 흡열 반응이 일어나는 건 이해할 수 있겠는데,
결정화가 일어나는 경우에는 왜 발열 현상인지, 자세하게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DSC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김용배님의 답변
2007-08-22- 0
>DSC 측정시 유리전이현상과 용융이 일어날때 흡열 반응이 일어나는 건 이해할 수 있겠는데, > >결정화가 일어나는 경우에는 왜 발열 현상인지, 자세하게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 >좋은 하루 되세요! 첨부자료 읽어보시구요. 고온의 glassy 한 시료가 온도가 내려감에 따라 crystallize 되면 물론 엔트로피가 작아지기때문에 발열이 됩니다. 구조가 변하게 되는 structural phase transition 점에서도(일례로 cubic 구조에서 tetragonal구조) 발열이 생기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는 자유도(degree of freedom)가 작아지기 때문이고 자유도가 큰 상태는 엔트로피가 큰 상태입니다. 엔트로피는 열과 비례관계가 성립되므로 엔트로피가 작아지면 발열이 됩니다. 또 한가지 일견 이해하기 어려울 수도 있는, 온도를 올리면서 측정시 발열이 생기는 것은 온도가 낮은 상태일때의 시료가 비정질(온도를 내리면 어느 일정온도에서는 결정화가 되어야 하는데 너무 급격하게 내리면 결정화되어야 함에도 비정질 상태가 될 수 있습니다)이면 승온시 어떤 온도에서 (재)결정화가 이루어져서 엔트로피가 낮아지는 상태가 되므로 역시 발열하게 되는 것입니다. 설명이 좀 난잡해졌는데, 첨부자료 먼저 읽어보시고, DSC 관련 책을 보시면 더 정확하게 이해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
답변
손삼익님의 답변
2007-09-08- 0
결정화 random arrangement->periodic arrange 로 생각하시고. 비슷한 경우를 액체->고체 로 생각하시고 얼음->물 만들려면 열을 줘야하죠(흡열 반응) 물->얼음 반응은 발열 반응이겠죠. 따라서 결정화 반응도 발열 반응으로 보시면 됩니다. >DSC 측정시 유리전이현상과 용융이 일어날때 흡열 반응이 일어나는 건 이해할 수 있겠는데, > >결정화가 일어나는 경우에는 왜 발열 현상인지, 자세하게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