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국내 유연탄 성분 비교자료를 원함!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유연탄(bituminous coal) 성분자료를 원합니다. - 공업분석자료(3성분) - 원소분석자료(C, H, N, S, O,etc) 평균값으로 종합된 자료라면 비율(wt%) 범위로 표현되어도 좋습니다.
  • bituminous
  • coal
  • compositio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이익환님의 답변

    >국내 유연탄 성분 비교자료를 원합니다. >특히, 황함량이 낮은 유연탄(수입에 따른) 성분을 알고 싶습니다. 대한석탄공사 홈페이지에 가면 국내탄의 구성비를 알 수 있습니다. 국내탄은 석탄중에서도 탄화도가 가장 높은 무연탄이고 회재성분이 수입탄이 상 당히 그 성분 구조가 다양한 것에 비해 비슷한 함량치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물론 개중에는 함량이 다른 탄도 있겠지만 아래와 같은 회분 함량이라면 그다지 틀리지 않으 ... 그리고 유연탄에 대해서는 별도로 안내예정입니다.
    >국내 유연탄 성분 비교자료를 원합니다. >특히, 황함량이 낮은 유연탄(수입에 따른) 성분을 알고 싶습니다. 대한석탄공사 홈페이지에 가면 국내탄의 구성비를 알 수 있습니다. 국내탄은 석탄중에서도 탄화도가 가장 높은 무연탄이고 회재성분이 수입탄이 상 당히 그 성분 구조가 다양한 것에 비해 비슷한 함량치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물론 개중에는 함량이 다른 탄도 있겠지만 아래와 같은 회분 함량이라면 그다지 틀리지 않으 ... 그리고 유연탄에 대해서는 별도로 안내예정입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익환님의 답변

    >국내 유연탄 성분 비교자료를 원합니다. >특히, 황함량이 낮은 유연탄(수입에 따른) 성분을 알고 싶습니다. 1)호주 산 석탄 등 몇개의 예시를 볼 수 있습니다. Proximate and elemental analysis of coals 저 유황탄인 수입 유연탄 2종과 국. 산 무연탄 2종을 대상으로 탈황 특성과 최적 탈황 ..... 량이 낮은 휘발 성분의 함량은 감소하며 발열량이 높은 고정탄소의 함. 량은 증가하므로 char의 발열량은 원탄의 발열량과 ... 2)http://www.cheric.org/ippage/g/ipdata/2003/01/file/g200301-3101.pdf 국내 무연탄은 발열량 4670 kcal/kg이고 공업분석 결과 휘발분 4%, 수분 4%, 회분 36% 및 고정탄소 56%였고 수입유연탄은 수분 3%, 휘발분 30%, 회분 14% 및 고정 탄소 53%이고 열량은 6800 kcal/kg
    >국내 유연탄 성분 비교자료를 원합니다. >특히, 황함량이 낮은 유연탄(수입에 따른) 성분을 알고 싶습니다. 1)호주 산 석탄 등 몇개의 예시를 볼 수 있습니다. Proximate and elemental analysis of coals 저 유황탄인 수입 유연탄 2종과 국. 산 무연탄 2종을 대상으로 탈황 특성과 최적 탈황 ..... 량이 낮은 휘발 성분의 함량은 감소하며 발열량이 높은 고정탄소의 함. 량은 증가하므로 char의 발열량은 원탄의 발열량과 ... 2)http://www.cheric.org/ippage/g/ipdata/2003/01/file/g200301-3101.pdf 국내 무연탄은 발열량 4670 kcal/kg이고 공업분석 결과 휘발분 4%, 수분 4%, 회분 36% 및 고정탄소 56%였고 수입유연탄은 수분 3%, 휘발분 30%, 회분 14% 및 고정 탄소 53%이고 열량은 6800 kcal/kg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