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산화물 형광체 EL?

산화물 형광체로 무기EL 소자를 제작하기 위한 공부를 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ITO글라스, 투명 유전층, 형광체, 유전층, 상부전극 순으로 스크린 프린팅을 하는데요 소자를 만들어서 테스트를 하게되면 발광은 하지 않고 자꾸 단락이 되는데 이것이 무엇이 문제인지 모르겠습니다. 스크린 프린 팅의 문제라고 하기에는 좀 무리인듯 싶고 혹시 형광체가 ZnS 같은 황화물이 아니고 산화물이라서 단락의 확률이 올라가는 지... 관련 서적을 봐도 도통 문제점을 찾기 힘듭니다. 산화물 형광체로 EL을 제작하신 분이나 이것에 대해 잘 알고 계신분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 electroluminescence
  • phosphor
  • oxid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6
  • 답변

    차재혁님의 답변

    전극에 대한 면저항은 측정하였습니다. 40옴퍼스퀘어~60옴퍼스퀘어 정도 나왔고요, ITO 글라스를 2.8T짜리를 업체에서 사서 제작합니다. ITO 두께는 3000옹스트롱입니다. 전원은 ac 전원 300V 이하 1KHZ미만으로 정하고 실험하고 있습니다. 보통 100볼트 이하에서도 약한 발광은 되는 것으로 알고있는데 단락만 일어납니다. 형광체가 산화물이어서 그런건지 도통 이해를 할 수가 없네요..
    전극에 대한 면저항은 측정하였습니다. 40옴퍼스퀘어~60옴퍼스퀘어 정도 나왔고요, ITO 글라스를 2.8T짜리를 업체에서 사서 제작합니다. ITO 두께는 3000옹스트롱입니다. 전원은 ac 전원 300V 이하 1KHZ미만으로 정하고 실험하고 있습니다. 보통 100볼트 이하에서도 약한 발광은 되는 것으로 알고있는데 단락만 일어납니다. 형광체가 산화물이어서 그런건지 도통 이해를 할 수가 없네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단락이 자꾸 일어난다고 하는데,전원으로 어떠한 전원을 사용하였는지요? 그리고 전압? 전류? 현재 제작된 형광체에 관하여 적용할 전압,전류는 결정되었는지요? ITO 및 전극용재질에 관한 저항은 측정하였는지요? 전원에 관하여 좀더 상세한 자료가 필요하겠습니다.
    단락이 자꾸 일어난다고 하는데,전원으로 어떠한 전원을 사용하였는지요? 그리고 전압? 전류? 현재 제작된 형광체에 관하여 적용할 전압,전류는 결정되었는지요? ITO 및 전극용재질에 관한 저항은 측정하였는지요? 전원에 관하여 좀더 상세한 자료가 필요하겠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전원으로 AC를 바로 사용하면 short가 일어납니다.괜찮으시다면 지금 사용한 전기회로를 올려주실수 있는지요? 곤란하다면 eMail로 보내어 주시기 바랍니다. 300V에 높은 cycle전원장치면 가격이 상당히 될건데요? 220V,60cycle로 충분 할것인데요. 사전에 전기전문가에게 자문을 구하였는가요?
    전원으로 AC를 바로 사용하면 short가 일어납니다.괜찮으시다면 지금 사용한 전기회로를 올려주실수 있는지요? 곤란하다면 eMail로 보내어 주시기 바랍니다. 300V에 높은 cycle전원장치면 가격이 상당히 될건데요? 220V,60cycle로 충분 할것인데요. 사전에 전기전문가에게 자문을 구하였는가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스크린 프린팅에 관하여서는 적절하게 처리되었다고 가정하고 다음사항을 기록합니다. 1)AC를 바로 전극에 연결하여 버리면 단락(short,합선)되어 버립니다.이는 가정에 들어오는 220V AC를 2가닥 연결하면 단락(short,합선)되는 것과 같습니다.매우 위험합니다. 전기는 P=VI,W=I(2승)R로써 외부에 열,기계적인 동력 등과 같은 적절한 일을 하여야 되는데 이러한 일이 이루어지지 않은 결과입니다. 첨부file의 (1)과 같이 현재의 AC power를 그대로 사용할 것 같으면 그림과 같이 접지를 하여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AC를 사용하면 유전체 및 oxide가 편극이 일어나므로 회전에 의한 마찰열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2)220V AC를 Bridge diode를 사용하여 DC로 변환하여 이에 적절한 저항을 사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림(2) 와 같이 적용하여 170V,약1A의 전력이 투입될 수 있습니다.여기에서 ITO에서 상부전극간의 저항은 거의 무시할 정도의 적은 저항일 것으로 생각됩니다. 위의 2종류의 전기회로는 1개의 극성만 사용하는 것으로 귀하의 발광소자와 같이 양쪽으로 유전체가 있는 소자에 맞지 않을 지도 모릅니다. 이러한 경우는 제(3)의 회로로써 첨부file과 같이 APDC(Alternating Polarized Pulsed DC)회로를 적용가능합니다. 어떠한 회로를 적용하든지 적절한 표준을 잡기위하여서는 반복적인 test를 하여야 할 것입니다.
    스크린 프린팅에 관하여서는 적절하게 처리되었다고 가정하고 다음사항을 기록합니다. 1)AC를 바로 전극에 연결하여 버리면 단락(short,합선)되어 버립니다.이는 가정에 들어오는 220V AC를 2가닥 연결하면 단락(short,합선)되는 것과 같습니다.매우 위험합니다. 전기는 P=VI,W=I(2승)R로써 외부에 열,기계적인 동력 등과 같은 적절한 일을 하여야 되는데 이러한 일이 이루어지지 않은 결과입니다. 첨부file의 (1)과 같이 현재의 AC power를 그대로 사용할 것 같으면 그림과 같이 접지를 하여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AC를 사용하면 유전체 및 oxide가 편극이 일어나므로 회전에 의한 마찰열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2)220V AC를 Bridge diode를 사용하여 DC로 변환하여 이에 적절한 저항을 사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림(2) 와 같이 적용하여 170V,약1A의 전력이 투입될 수 있습니다.여기에서 ITO에서 상부전극간의 저항은 거의 무시할 정도의 적은 저항일 것으로 생각됩니다. 위의 2종류의 전기회로는 1개의 극성만 사용하는 것으로 귀하의 발광소자와 같이 양쪽으로 유전체가 있는 소자에 맞지 않을 지도 모릅니다. 이러한 경우는 제(3)의 회로로써 첨부file과 같이 APDC(Alternating Polarized Pulsed DC)회로를 적용가능합니다. 어떠한 회로를 적용하든지 적절한 표준을 잡기위하여서는 반복적인 test를 하여야 할 것입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조돈찬님의 답변

    >산화물 형광체로 무기EL 소자를 제작하기 위한 공부를 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ITO글라스, 투명 유전층, 형광체, 유전층, 상부전극 순으로 스크린 프린팅을 하는데요 >소자를 만들어서 테스트를 하게되면 발광은 하지 않고 자꾸 단락이 되는데 이것이 무엇이 문제인지 모르겠습니다. 스크린 프린팅의 문제라고 하기에는 좀 무리인듯 싶고 혹시 형광체가 ZnS 같은 황화물이 아니고 산화물이라서 단락의 확률이 올라가는 >지... 관련 서적을 봐도 도통 문제점을 찾기 힘듭니다. >산화물 형광체로 EL을 제작하신 분이나 이것에 대해 잘 알고 계신분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 무기 EL 이라고 하신 것이 정확하다면, ZnS를 산화물로 대체해서 단락현상이 일어나는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무기 EL에서 ZnS, SrS, BaAl2S4 등과 같은 재료는 모체라고 하고 실제로 일정파장의 빛을 내는 것은 발광체, 발광중심이라고 하여 희토류 원소가 역할을 담당합니다. (Eu, Ce등, 경우에 따라서는 Cu, Al등 첨가) 무기 EL과 같은 전계발광 소자에서는 막질 및 막 두께에 상당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단락이 발생한다는 것은 소자를 구현한 막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아 부분적으로 인가되는 전계가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추정됩니다. (TFEL 에서 TDEL로 전환된 이유를 조사해 보시면 좀더 이해가 쉬울 것 같습니다.) 구현된 무기 EL 소자에 대한 정보가 없어서 세세한 언급은 어려울 것 같습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산화물 형광체로 무기EL 소자를 제작하기 위한 공부를 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ITO글라스, 투명 유전층, 형광체, 유전층, 상부전극 순으로 스크린 프린팅을 하는데요 >소자를 만들어서 테스트를 하게되면 발광은 하지 않고 자꾸 단락이 되는데 이것이 무엇이 문제인지 모르겠습니다. 스크린 프린팅의 문제라고 하기에는 좀 무리인듯 싶고 혹시 형광체가 ZnS 같은 황화물이 아니고 산화물이라서 단락의 확률이 올라가는 >지... 관련 서적을 봐도 도통 문제점을 찾기 힘듭니다. >산화물 형광체로 EL을 제작하신 분이나 이것에 대해 잘 알고 계신분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 무기 EL 이라고 하신 것이 정확하다면, ZnS를 산화물로 대체해서 단락현상이 일어나는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무기 EL에서 ZnS, SrS, BaAl2S4 등과 같은 재료는 모체라고 하고 실제로 일정파장의 빛을 내는 것은 발광체, 발광중심이라고 하여 희토류 원소가 역할을 담당합니다. (Eu, Ce등, 경우에 따라서는 Cu, Al등 첨가) 무기 EL과 같은 전계발광 소자에서는 막질 및 막 두께에 상당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단락이 발생한다는 것은 소자를 구현한 막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아 부분적으로 인가되는 전계가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추정됩니다. (TFEL 에서 TDEL로 전환된 이유를 조사해 보시면 좀더 이해가 쉬울 것 같습니다.) 구현된 무기 EL 소자에 대한 정보가 없어서 세세한 언급은 어려울 것 같습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고상운님의 답변

    >산화물 형광체로 무기EL 소자를 제작하기 위한 공부를 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 >ITO글라스, 투명 유전층, 형광체, 유전층, 상부전극 순으로 스크린 프린팅을 하는데요 > >소자를 만들어서 테스트를 하게되면 발광은 하지 않고 자꾸 단락이 되는데 이것이 무엇이 문제인지 모르겠습니다. 스크린 프린 > >팅의 문제라고 하기에는 좀 무리인듯 싶고 혹시 형광체가 ZnS 같은 황화물이 아니고 산화물이라서 단락의 확률이 올라가는 > >지... 관련 서적을 봐도 도통 문제점을 찾기 힘듭니다. > >산화물 형광체로 EL을 제작하신 분이나 이것에 대해 잘 알고 계신분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 >첨부 자료 습득하셔서 문제점 파악해 보세요.
    >산화물 형광체로 무기EL 소자를 제작하기 위한 공부를 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 >ITO글라스, 투명 유전층, 형광체, 유전층, 상부전극 순으로 스크린 프린팅을 하는데요 > >소자를 만들어서 테스트를 하게되면 발광은 하지 않고 자꾸 단락이 되는데 이것이 무엇이 문제인지 모르겠습니다. 스크린 프린 > >팅의 문제라고 하기에는 좀 무리인듯 싶고 혹시 형광체가 ZnS 같은 황화물이 아니고 산화물이라서 단락의 확률이 올라가는 > >지... 관련 서적을 봐도 도통 문제점을 찾기 힘듭니다. > >산화물 형광체로 EL을 제작하신 분이나 이것에 대해 잘 알고 계신분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 >첨부 자료 습득하셔서 문제점 파악해 보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