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2-pentanone과 3-pentanone 전자친화도 차이

결론적으로 2-pentanone과 3-pentanone의 C=O bond의 전자친화도를 알아야하는데 답답하네요. 치환위치에 따라 어느정도 electron withdrawing이 틀려서 차이가 있을 것 같기는 한데 정량적인 수치가 필요합니다.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원론적으로는 carbonyl기의 위치나 치환형태에 따라 electrophilicity가 어떻게 변하는지 계산하는 방법이나 정리가 된 자료를 알려주시면 더 좋겠습니다. 한가지 문득 떠오르는 것은 IR 자료(wave number)를 토대로 얼마정도 차이가 있는지는 알 수 있을 것 같기는 한데... 에너지 단위이므로 전기음성도 혹은 전자친화도로의 변환이 어려울 것 같네요.
  • pentanone
  • electronegativity
  • electrophilicity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먼저 electrophilicity는 Lewis acidity-Lewis acid & base에 관련된 용어로써 본 사항과는 관련이 없는 것 같습니다) (1)전자친화도(Electron affinity):전자와 친한 정도,음이온이 되기 쉬운 정도,즉 중성자가 전자 1개를 얻을 때 방출하는 에너지(전자 친화도 Data참조) Born-Haber cycle이 기본이 되어 결합,해리 에너지를 나타냄.[ 2-pentanone, 3-pentanone의 EA(electron affinity)가 나타내어져 있음-2번째 첨부file인 JCTC에 있음) (2)전기음성도(Electronegativity): 전자를 끌어 당기는 힘의 척도.예를 들어 산소의 전기음성도는 3.44, 염소는 3.16 으로써 산화철이 염산과 반응하지 않는 이유가 나옵니다.Fe2O3 에서 산소가 철의 전자를 강하게 끌어 당기기 때문에 FeCl2 에 비해서 더 강한 결합을 합니다.그러니까 Fe2O3 가 FeCl2보다 더 안정하게 되고 이로인하여 염산과 반응하지 않는 다는 것 입니다.(반도체의 불순물 doping에 전기음성도가 적용됨) 수소의 전기음성도를 2.20로 정하여 비교한 값으로써 F=4.0(최대치) Fr=0.7(최소값)으로 되며, 같은 주기 ---원자번호 증가 ----음성도 증가 같은 족 -----원자번호 증가 ----음성도 감소 관련 자료를 file로 올립니다.
    (먼저 electrophilicity는 Lewis acidity-Lewis acid & base에 관련된 용어로써 본 사항과는 관련이 없는 것 같습니다) (1)전자친화도(Electron affinity):전자와 친한 정도,음이온이 되기 쉬운 정도,즉 중성자가 전자 1개를 얻을 때 방출하는 에너지(전자 친화도 Data참조) Born-Haber cycle이 기본이 되어 결합,해리 에너지를 나타냄.[ 2-pentanone, 3-pentanone의 EA(electron affinity)가 나타내어져 있음-2번째 첨부file인 JCTC에 있음) (2)전기음성도(Electronegativity): 전자를 끌어 당기는 힘의 척도.예를 들어 산소의 전기음성도는 3.44, 염소는 3.16 으로써 산화철이 염산과 반응하지 않는 이유가 나옵니다.Fe2O3 에서 산소가 철의 전자를 강하게 끌어 당기기 때문에 FeCl2 에 비해서 더 강한 결합을 합니다.그러니까 Fe2O3 가 FeCl2보다 더 안정하게 되고 이로인하여 염산과 반응하지 않는 다는 것 입니다.(반도체의 불순물 doping에 전기음성도가 적용됨) 수소의 전기음성도를 2.20로 정하여 비교한 값으로써 F=4.0(최대치) Fr=0.7(최소값)으로 되며, 같은 주기 ---원자번호 증가 ----음성도 증가 같은 족 -----원자번호 증가 ----음성도 감소 관련 자료를 file로 올립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박종원님의 답변

    IR 보다는 Mass Spectrometry 로 구분이 더 확실합니다. 위의 관련 사이트의 그림 13-9 은 MS 구분 그림입니다. 13-13 을 보시면 C=O본드의 IR 값입니다. >결론적으로 2-pentanone과 3-pentanone의 C=O bond의 >전자친화도를 알아야하는데 답답하네요. >치환위치에 따라 어느정도 electron withdrawing이 틀려서 >차이가 있을 것 같기는 한데 정량적인 수치가 필요합니다. >부탁드립니다. > >그리고 원론적으로는 carbonyl기의 위치나 치환형태에 따라 electrophilicity가 어떻게 변하는지 계산하는 방법이나 >정리가 된 자료를 알려주시면 더 좋겠습니다. > >한가지 문득 떠오르는 것은 IR 자료(wave number)를 토대로 얼마정도 >차이가 있는지는 알 수 있을 것 같기는 한데... >에너지 단위이므로 전기음성도 혹은 전자친화도로의 변환이 >어려울 것 같네요.
    IR 보다는 Mass Spectrometry 로 구분이 더 확실합니다. 위의 관련 사이트의 그림 13-9 은 MS 구분 그림입니다. 13-13 을 보시면 C=O본드의 IR 값입니다. >결론적으로 2-pentanone과 3-pentanone의 C=O bond의 >전자친화도를 알아야하는데 답답하네요. >치환위치에 따라 어느정도 electron withdrawing이 틀려서 >차이가 있을 것 같기는 한데 정량적인 수치가 필요합니다. >부탁드립니다. > >그리고 원론적으로는 carbonyl기의 위치나 치환형태에 따라 electrophilicity가 어떻게 변하는지 계산하는 방법이나 >정리가 된 자료를 알려주시면 더 좋겠습니다. > >한가지 문득 떠오르는 것은 IR 자료(wave number)를 토대로 얼마정도 >차이가 있는지는 알 수 있을 것 같기는 한데... >에너지 단위이므로 전기음성도 혹은 전자친화도로의 변환이 >어려울 것 같네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