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9-17
org.kosen.entty.User@3bf8d507
김하식(allno2)
- 5
안녕하십니까?
유가의 급등과 차후 에너지원으로 태양광발전의 전망이 유망하다고 함.
다결정 실리콘 태양전지가 그중 쉐어를 많이 차지하고 있는것 같아
이에 사용되는 태양전지용 폴리실리콘에 대해 관심이 있어 혹시 이에 관련한 자료나 정보사이드가 있으면 도움을 주셨으면 합니다.
관심분야: “태양전지용 폴리실리콘 시장 및 전망“
“태양전지용 폴리실리콘 제조 방법“
및 기타 관련 사항
감사합니다.
- polysilicon
- solar grade
- solar cell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5
-
답변
고상운님의 답변
2007-09-17- 0
>안녕하십니까? > >유가의 급등과 차후 에너지원으로 태양광발전의 전망이 유망하다고 함. >다결정 실리콘 태양전지가 그중 쉐어를 많이 차지하고 있는것 같아 >이에 사용되는 태양전지용 폴리실리콘에 대해 관심이 있어 혹시 이에 관련한 자료나 정보사이드가 있으면 도움을 주셨으면 합니다. > >관심분야: “태양전지용 폴리실리콘 시장 및 전망“ > “태양전지용 폴리실리콘 제조 방법“ > 및 기타 관련 사항 > >감사합니다. 폴리실리콘 수요 4만톤(world wide),년 15%씩 성장하며 고수익 산업입니다. 일반 실리콘 결정과 아몰포스(비정질) 실리콘의 중간 정도에 해당하는 물질입니다. 실리콘 결정처럼 전체가 일정하게 배열된 것은 아니고, 그렇다고 유리와 같은 구조도 아니고, 작은 결정체 들이 랜덤하게 결합된 구조입니다. 일반적으로는 LPCVD 방법을 통해 제조하는 것이 가장 많구요. PECVD방법이나. laser assisted 방법도 최근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원래 응용은 MOSFET 혹은 CMOS 공정에서 게이트 물질로 많이 사용되었구요. 최근에는 TFT 소자의 액티브 영역에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물론 실리콘 결정만큰 전자 이동도나 특성이 좋지는 않지만, 비정질에 비하면 좋은 편이고, 상당히 낮은 온도에서 증착이 가능하고, 높은 도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답변
조영준님의 답변
2007-09-18- 0
이 자료가 도움이 될지 모르겠네요. >안녕하십니까? > >유가의 급등과 차후 에너지원으로 태양광발전의 전망이 유망하다고 함. >다결정 실리콘 태양전지가 그중 쉐어를 많이 차지하고 있는것 같아 >이에 사용되는 태양전지용 폴리실리콘에 대해 관심이 있어 혹시 이에 관련한 자료나 정보사이드가 있으면 도움을 주셨으면 합니다. > >관심분야: “태양전지용 폴리실리콘 시장 및 전망“ > “태양전지용 폴리실리콘 제조 방법“ > 및 기타 관련 사항 > >감사합니다. -
답변
문민석님의 답변
2007-09-20- 0
>안녕하십니까? > >유가의 급등과 차후 에너지원으로 태양광발전의 전망이 유망하다고 함. >다결정 실리콘 태양전지가 그중 쉐어를 많이 차지하고 있는것 같아 >이에 사용되는 태양전지용 폴리실리콘에 대해 관심이 있어 혹시 이에 관련한 자료나 정보사이드가 있으면 도움을 주셨으면 합니다. > >관심분야: “태양전지용 폴리실리콘 시장 및 전망“ > “태양전지용 폴리실리콘 제조 방법“ > 및 기타 관련 사항 > >감사합니다. LG경제연구원에서 07년 3월 30일에 기재한 내용을 아래에 첨부합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최근 태양전지 산업의 고속 성장이 원재료인 폴리실리콘 시장에서 새로운 활력소로 작용하고 있어, 관련 기업들의 신규 진출이 활발히 나타나고 있다. 폴리실리콘은 반도체 웨이퍼 및 태양전지의 기판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재료로서, 과거에는 반도체 산업을 중심으로 꾸준히 성장해왔다. 그러나 지난 3년간 연간 47%씩 성장해온 태양전지 산업이 2010년까지 연간 44%의 고속 성장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폴리실리콘 산업은 새로운 성장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태양전지용 시장이 폴리실리콘 산업 성장 견인 2005년까지만 해도 폴리실리콘 공급의 50% 이상은 반도체용으로 사용되었다. 반도체용 폴리실리콘은 태양전지용(99.99% 이상의 순도)과 달리 99.9999%의 고순도가 요구되는 반면, 가격은 태양전지용보다 통상 kg당 10달러 정도 높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폴리실리콘 기업들은 반도체용 제품 생산에 집중해 왔으며, 태양전지용은 일종의 부산물처럼 여겨왔다. 그러나 태양광 발전 산업이 고유가, 정부 지원 등에 힘입어 눈부시게 성장함에 따라 태양전지용 폴리실리콘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작년부터는 반도체용을 앞지르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기업들이 연간 한 자리 대의 보수적인 생산능력 증설로 대응해왔기 때문에 현재 태양전지용 폴리실리콘 시장은 심각한 공급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Lehman Brothers 증권사는 작년 폴리실리콘의 공급량은 전체 수요의 84% 수준으로 대부분 태양전지용 물량이 부족했으며, 재고는 바닥을 드러낸 것으로 분석했다. 태양전지용 폴리실리콘 시장이 급격히 확대됨에 따라, 기존 폴리실리콘 기업들은 태양전지 시장을 목표로 적극적인 증설에 나서고 있다. 폴리실리콘 생산 능력은 2005년부터 연간 22%씩 증가해 2009년에는 2005년의 2배 이상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Photon 컨설팅은 폴리실리콘 시장이 2009년에는 5조원을 넘을 것이며, 산업 평균 수익성도 세전 기준으로 50%를 웃돌 것으로 내다봤다. 태양전지용 시장으로 기업들의 신규 진입 활발 기존 폴리실리콘 제조 기술은 고순도의 반도체용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설비투자비 부담이 크고, 공장 건설 기간도 3년 가까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 최근 태양전지용에 특화된 저가의 폴리실리콘 제조 공정을 바탕으로 신규 진입하려는 기업들의 움직임이 활발하다. 현재 시장점유율 4위인 Tokuyama는 VLD (Vapor-To-Liquid Deposition) 공정을 도입해 최대 25%까지 원가를 줄인다는 계획이며, JFE Steel은 설비투자비, 재료 사용량과 공장 건설기간도 1/3 수준으로 줄인 신공정으로 올해부터 양산에 들어갈 예정이다. 중국 기업들의 사업 참여도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Luoyang Semiconductor, Sichuan Xinguang Polysilicon 등 4개 기업이 생산 계획을 발표하고 진입을 서두르고 있어 2009년에는 이들이 전체 시장의 7%를 차지할 전망이다. 그러나 기존 및 신규 기업의 증설이 예정대로 이루어질 경우, 2008년 이후에는 공급부족 현상이 완화되면서 폴리실리콘 가격 하락이 예상되고 있다. 태양전지 산업 내에서도 웨이퍼를 얇게 제조하는 기술 등을 활용해 폴리실리콘 사용량을 줄이고, 실리콘을 사용하지 않는 새로운 태양전지 개발 노력도 진행하고 있다. 따라서 관련 기업들은 고객 및 원가경쟁력 확보 등에 대한 대비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폴리실리콘 산업에 진출하고 있는 국내기업들도 장기 공급계약이나 저가 공정 개발 등의 노력을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끝> 최근 태양전지 산업의 고속 성장이 원재료인 폴리실리콘 시장에서 새로운 활력소로 작용하고 있어, 관련 기업들의 신규 진출이 활발히 나타나고 있다. 폴리실리콘은 반도체 웨이퍼 및 태양전지의 기판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재료로서, 과거에는 반도체 산업을 중심으로 꾸준히 성장해왔다. 그러나 지난 3년간 연간 47%씩 성장해온 태양전지 산업이 2010년까지 연간 44%의 고속 성장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폴리실리콘 산업은 새로운 성장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태양전지용 시장이 폴리실리콘 산업 성장 견인 2005년까지만 해도 폴리실리콘 공급의 50% 이상은 반도체용으로 사용되었다. 반도체용 폴리실리콘은 태양전지용(99.99% 이상의 순도)과 달리 99.9999%의 고순도가 요구되는 반면, 가격은 태양전지용보다 통상 kg당 10달러 정도 높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폴리실리콘 기업들은 반도체용 제품 생산에 집중해 왔으며, 태양전지용은 일종의 부산물처럼 여겨왔다. 그러나 태양광 발전 산업이 고유가, 정부 지원 등에 힘입어 눈부시게 성장함에 따라 태양전지용 폴리실리콘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작년부터는 반도체용을 앞지르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기업들이 연간 한 자리 대의 보수적인 생산능력 증설로 대응해왔기 때문에 현재 태양전지용 폴리실리콘 시장은 심각한 공급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Lehman Brothers 증권사는 작년 폴리실리콘의 공급량은 전체 수요의 84% 수준으로 대부분 태양전지용 물량이 부족했으며, 재고는 바닥을 드러낸 것으로 분석했다. 태양전지용 폴리실리콘 시장이 급격히 확대됨에 따라, 기존 폴리실리콘 기업들은 태양전지 시장을 목표로 적극적인 증설에 나서고 있다. 폴리실리콘 생산 능력은 2005년부터 연간 22%씩 증가해 2009년에는 2005년의 2배 이상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Photon 컨설팅은 폴리실리콘 시장이 2009년에는 5조원을 넘을 것이며, 산업 평균 수익성도 세전 기준으로 50%를 웃돌 것으로 내다봤다. 태양전지용 시장으로 기업들의 신규 진입 활발 기존 폴리실리콘 제조 기술은 고순도의 반도체용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설비투자비 부담이 크고, 공장 건설 기간도 3년 가까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 최근 태양전지용에 특화된 저가의 폴리실리콘 제조 공정을 바탕으로 신규 진입하려는 기업들의 움직임이 활발하다. 현재 시장점유율 4위인 Tokuyama는 VLD (Vapor-To-Liquid Deposition) 공정을 도입해 최대 25%까지 원가를 줄인다는 계획이며, JFE Steel은 설비투자비, 재료 사용량과 공장 건설기간도 1/3 수준으로 줄인 신공정으로 올해부터 양산에 들어갈 예정이다. 중국 기업들의 사업 참여도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Luoyang Semiconductor, Sichuan Xinguang Polysilicon 등 4개 기업이 생산 계획을 발표하고 진입을 서두르고 있어 2009년에는 이들이 전체 시장의 7%를 차지할 전망이다. 그러나 기존 및 신규 기업의 증설이 예정대로 이루어질 경우, 2008년 이후에는 공급부족 현상이 완화되면서 폴리실리콘 가격 하락이 예상되고 있다. 태양전지 산업 내에서도 웨이퍼를 얇게 제조하는 기술 등을 활용해 폴리실리콘 사용량을 줄이고, 실리콘을 사용하지 않는 새로운 태양전지 개발 노력도 진행하고 있다. 따라서 관련 기업들은 고객 및 원가경쟁력 확보 등에 대한 대비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폴리실리콘 산업에 진출하고 있는 국내기업들도 장기 공급계약이나 저가 공정 개발 등의 노력을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끝> 최근 태양전지 산업의 고속 성장이 원재료인 폴리실리콘 시장에서 새로운 활력소로 작용하고 있어, 관련 기업들의 신규 진출이 활발히 나타나고 있다. 폴리실리콘은 반도체 웨이퍼 및 태양전지의 기판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재료로서, 과거에는 반도체 산업을 중심으로 꾸준히 성장해왔다. 그러나 지난 3년간 연간 47%씩 성장해온 태양전지 산업이 2010년까지 연간 44%의 고속 성장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폴리실리콘 산업은 새로운 성장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태양전지용 시장이 폴리실리콘 산업 성장 견인 2005년까지만 해도 폴리실리콘 공급의 50% 이상은 반도체용으로 사용되었다. 반도체용 폴리실리콘은 태양전지용(99.99% 이상의 순도)과 달리 99.9999%의 고순도가 요구되는 반면, 가격은 태양전지용보다 통상 kg당 10달러 정도 높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폴리실리콘 기업들은 반도체용 제품 생산에 집중해 왔으며, 태양전지용은 일종의 부산물처럼 여겨왔다. 그러나 태양광 발전 산업이 고유가, 정부 지원 등에 힘입어 눈부시게 성장함에 따라 태양전지용 폴리실리콘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작년부터는 반도체용을 앞지르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기업들이 연간 한 자리 대의 보수적인 생산능력 증설로 대응해왔기 때문에 현재 태양전지용 폴리실리콘 시장은 심각한 공급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Lehman Brothers 증권사는 작년 폴리실리콘의 공급량은 전체 수요의 84% 수준으로 대부분 태양전지용 물량이 부족했으며, 재고는 바닥을 드러낸 것으로 분석했다. 태양전지용 폴리실리콘 시장이 급격히 확대됨에 따라, 기존 폴리실리콘 기업들은 태양전지 시장을 목표로 적극적인 증설에 나서고 있다. 폴리실리콘 생산 능력은 2005년부터 연간 22%씩 증가해 2009년에는 2005년의 2배 이상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Photon 컨설팅은 폴리실리콘 시장이 2009년에는 5조원을 넘을 것이며, 산업 평균 수익성도 세전 기준으로 50%를 웃돌 것으로 내다봤다. 태양전지용 시장으로 기업들의 신규 진입 활발 기존 폴리실리콘 제조 기술은 고순도의 반도체용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설비투자비 부담이 크고, 공장 건설 기간도 3년 가까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 최근 태양전지용에 특화된 저가의 폴리실리콘 제조 공정을 바탕으로 신규 진입하려는 기업들의 움직임이 활발하다. 현재 시장점유율 4위인 Tokuyama는 VLD (Vapor-To-Liquid Deposition) 공정을 도입해 최대 25%까지 원가를 줄인다는 계획이며, JFE Steel은 설비투자비, 재료 사용량과 공장 건설기간도 1/3 수준으로 줄인 신공정으로 올해부터 양산에 들어갈 예정이다. 중국 기업들의 사업 참여도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Luoyang Semiconductor, Sichuan Xinguang Polysilicon 등 4개 기업이 생산 계획을 발표하고 진입을 서두르고 있어 2009년에는 이들이 전체 시장의 7%를 차지할 전망이다. 그러나 기존 및 신규 기업의 증설이 예정대로 이루어질 경우, 2008년 이후에는 공급부족 현상이 완화되면서 폴리실리콘 가격 하락이 예상되고 있다. 태양전지 산업 내에서도 웨이퍼를 얇게 제조하는 기술 등을 활용해 폴리실리콘 사용량을 줄이고, 실리콘을 사용하지 않는 새로운 태양전지 개발 노력도 진행하고 있다. 따라서 관련 기업들은 고객 및 원가경쟁력 확보 등에 대한 대비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폴리실리콘 산업에 진출하고 있는 국내기업들도 장기 공급계약이나 저가 공정 개발 등의 노력을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끝> -
답변
조은철님의 답변
2007-09-20- 0
>안녕하십니까? > >유가의 급등과 차후 에너지원으로 태양광발전의 전망이 유망하다고 함. >다결정 실리콘 태양전지가 그중 쉐어를 많이 차지하고 있는것 같아 >이에 사용되는 태양전지용 폴리실리콘에 대해 관심이 있어 혹시 이에 관련한 자료나 정보사이드가 있으면 도움을 주셨으면 합니다. > >관심분야: “태양전지용 폴리실리콘 시장 및 전망“ > “태양전지용 폴리실리콘 제조 방법“ > 및 기타 관련 사항 > >감사합니다. 태양광 산업의 현황 또는 개요에 대한 자료는 태양광 사업단(www.solarkorea.or.kr) 또는 에너지 기술연구소의 태양전지연구센터 (solarpv.kier.re.kr)에서 태양광에 관련된 산업구조 및 기술에 대하여 대략적으로 알 수 있습니다. 시장분석자료로는 프랑스의 CLSA에서 발간한 Sun Screen자료가 유명한데, 이는 Photon International 기사와 기사에 포함된 link에서 ?을 수 있습니다. http://www.photon-magazine.com/news/news_2005-08_ww_med_feat_Sunscreen.htm Sun Screen II – Investment Opportunities in Solar Power Michael Rogol, CLSA Published July 2005, 78 pages To view the full Sun Screen II report, please click here. 그외에 해외 증권기관에서도 많은 분석자료를 내놓고 있습니다. -
답변
장용운님의 답변
2007-10-04- 0
>안녕하십니까? > >유가의 급등과 차후 에너지원으로 태양광발전의 전망이 유망하다고 함. >다결정 실리콘 태양전지가 그중 쉐어를 많이 차지하고 있는것 같아 >이에 사용되는 태양전지용 폴리실리콘에 대해 관심이 있어 혹시 이에 관련한 자료나 정보사이드가 있으면 도움을 주셨으면 합니다. > >관심분야: “태양전지용 폴리실리콘 시장 및 전망“ > “태양전지용 폴리실리콘 제조 방법“ > 및 기타 관련 사항 > >감사합니다. 첨부파일에 폴리실리콘 수급현황이있습니다. 참고하시고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