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9-20
org.kosen.entty.User@773f0105
손삼익(samicks)
- 3
태양전지의 성능을 이야기하는 단위들이 여러가지 있는것 같습니다.
셀 변환 효율, W/cm2, 개방전압 V, 단락 전류 mAm2 에 대한 설명을 구합니다.
아울러 현재의 수준에 대해서도 궁금합니다.
- 태양전지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07-09-20- 0
태양전지에는 Si태양전지(단결정 및 amorphous-대표적으로 일본 Fuji의 Flexible amorphous thin film),유기태양전지,염료감응태양전지,GaAs 또는 CdTe박막 태양전지 등이 있으며,태양전지의 효율성을 올리기 위하여 현재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상업적으로는 Si 태양전지가 제작의 용이성 및 제작수율,원료 조달의 용이성등으로 인하여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Si태양전지의 효율성은 약16 ~ 18% 정도이며,성능은 W/단위면적(mW/cm², W/m²)으로 나타내어 집니다. 참고자료로 태양전지에 대한 handbook을 file로 올리니 참조바랍니다. -
답변
윤제정님의 답변
2007-09-24- 0
>태양전지의 성능을 이야기하는 단위들이 여러가지 있는것 같습니다. > >셀 변환 효율, W/cm2, 개방전압 V, 단락 전류 mAm2 에 대한 설명을 구합니다. > >아울러 현재의 수준에 대해서도 궁금합니다. 태양전지의 효율은 입사된 포톤에너지로 방출된 전기에너지를 나눈값이됩니다. 이때 방출된 전기에너지에 해당하는 인자들이 필펙터, 개방전압 및 단락전류 등의 곱이됩니다. 이때 개방전압은 저항이 무한대가 걸렸을때의 전압을 나타내고 단락전류는 저항이 제로일때의 전류를 나타낸다. 그리고 필펙터는 최대의 전류와 전압의 곱과 개방전압과 단락전류의 곱에서 얻어지는 사각형의 면적의 비를의미한다. 현재 유기반도체태양전지의 효율은 텐덤셀구조로 최근 사이언스발표 6.5% 벌크헤테로정션 5% 염료감응형태양전지 효율 10.5% * 참고로 실용화를위해서는 10%가 컷라인입니다만 15%는돼야 시스템으로 구현했을때 안정적인 10% 이상의 효율을 기대할 수있습니다. -
답변
고상운님의 답변
2007-10-02- 0
>태양전지의 성능을 이야기하는 단위들이 여러가지 있는것 같습니다. > >셀 변환 효율, W/cm2, 개방전압 V, 단락 전류 mAm2 에 대한 설명을 구합니다. > >아울러 현재의 수준에 대해서도 궁금합니다. 첨부화일 참조하세요. 13페이지 부터 성능 및 용어 정리되어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