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3-09
org.kosen.entty.User@6a582399
김태훈(eosaeolus)
- 2
OLED같은 경우는 효율에 대한 것이 참 자세하게 분석되어있더군요.. (전력에 대한 효율이 아니라 quantum efficiency이긴 하지만요)
전자와 홀이 주입될 때의 효율이 현재 어떻고, singlet, triplet을 이용할 때의 효율이 어떻고, 빛이 바깥으로 나올 때 전반사때문에 잃는 효율이 얼마이고.. 이런식으로 각 단계별로 효율이 어떤 수준에 와 있는지가 잘 분석되어있었는데..
유기 태양전지 같은 경우는 왜 효율이 그렇게 낮은지 모르겠습니다. 공부를 약간 중구난방식으로 해서 약간 정리가 안되지만, 기억하기로 빛 흡수율은 좋은 편이고(다만 낮은 파장대의 경우 흡수를 못한다는 게 문제인데.. 이것까지는 알고 있습니다.) recombination같은 경우는 P3HT-PCBM구조에서는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고 들었던 것 같습니다.
남은 것은 전도도의 문제인거 같은데.. 그것 하나의 문제가 실리콘 태양전지와 비교했을 때 몇배의 차이를 가져 올 정도로 차이가 큰가요?
- organic
- solar cell
- photovoltaic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08-03-09- 0
가장 큰 문제점은 material의 물성 차이에 기인합니다.향후는 모르겠으나 현재까지 Si을 따라갈 수 있는 material,즉 재료를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재료공학을 전공하시는 후학께서 물성을 개량하기 위하여 노력하여 주시기를---물질 하나만 찾으시면 됩니다) 1.물질에서의 차이 Si 태양전지(여기에서는 Single crystal type에 대하여서만 언급하겠습니다) 와 유기 태양전지를 물성에서 비교하면(단위는 생략하겠음) (a)Electron mobility 에서 Si는 1500 이나 organic은 10^-5 이며 (b)Electron diffusion은 38 대비 10^-4이고 (c)Si은 n,p-type doping이 가능하고, 유기는 heterojuntion임. n-type은 주로 P로 doping하는데 이때 ΔEd=0.044eV,p-type은 주로 B로 doping하는데 이때 ΔEd=0.045eV이나, 유기에서는 이러한 범위의 물질이 없음. (d)Charge carrier density은 10^10 대비 1 따라서 유기는 아무리 a-Si type일지라도 효율면에서 따라 갈 수가 없습니다. 2.구조상의 문제도 있습니다. Si태양전지는 전극으로 Al을 사용하나,유기에서는 주로 ITO를 사용하는데 전기저항이 2.8x10^-6 대비 (2~4)x10^-4 로써 전도성에서 많이 떨어집니다. 참고될 수 있는 자료를 첨부합니다.(file로 올라가지않는 것은 eMail로 보냅니다) -
답변
고상운님의 답변
2008-03-16- 0
>OLED같은 경우는 효율에 대한 것이 참 자세하게 분석되어있더군요.. (전력에 대한 효율이 아니라 quantum efficiency이긴 하지만요) > >전자와 홀이 주입될 때의 효율이 현재 어떻고, singlet, triplet을 이용할 때의 효율이 어떻고, 빛이 바깥으로 나올 때 전반사때문에 잃는 효율이 얼마이고.. 이런식으로 각 단계별로 효율이 어떤 수준에 와 있는지가 잘 분석되어있었는데.. > >유기 태양전지 같은 경우는 왜 효율이 그렇게 낮은지 모르겠습니다. 공부를 약간 중구난방식으로 해서 약간 정리가 안되지만, 기억하기로 빛 흡수율은 좋은 편이고(다만 낮은 파장대의 경우 흡수를 못한다는 게 문제인데.. 이것까지는 알고 있습니다.) recombination같은 경우는 P3HT-PCBM구조에서는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고 들었던 것 같습니다. >남은 것은 전도도의 문제인거 같은데.. 그것 하나의 문제가 실리콘 태양전지와 비교했을 때 몇배의 차이를 가져 올 정도로 차이가 큰가요? 유기태양전지 첨부합니다.참조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