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4-16
org.kosen.entty.User@43c9d9fc
박준모(mzman123)
- 1
1차원적인 conducting polymer 의 경우에
pierls transition 으로 band gap opening 이 되어 반도체성이고
2차원적인 구조에서는 metal의 성격이 될 수 있다고 알고 있는데
pierls transition 에 대해 textbook 을 봐도 잘 이해가 되지 않아서
질문하게 ?營윱求?
좀.. 기본적인 질문이지만,,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nducting polymer
- pierls transitio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고문주님의 답변
2008-04-17- 0
conjugated polymer의 경우 polymer chanin상에 pi전자가 unlocalized(비극제화)로 알고 있죠...그러나 실제로는 벤젠과 같이 완벽하게 unlocalized된 상태가 아닙니다. 더욱 간단하게 말하면, 벤젠의 경우 파이전자가 비극제화되어, 벤젠고리내의 카본과카본의 결합 길이가 모두 같습니다. 그러나 conjugated polymer의 경우 실제로는 전체의 결합길이가 모두 같은 (전자가 unlocalized) 상태보다 2중결합이 약간 짧은 상태가 에너지 상으로는 더 안정한 상태입니다. 즉, 전체적으로 비극제화가 아주 길게된 conjugated polymer의 경우는 band gap이 점점 작아져서 결국에는 gap이 없어질거라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아주 작게나마 전자가 localized한 상태가 안정하게 되어, band gap이 존재 하게 되는거죠(band gap이 벌어지는)..이현상을 pierls transition 이라고 합니다. 제일 간단한 모델 물질은 cyclobutadiene 입니다. 그리고 conjugated polymer의 경우는 polyacetylene을 들수 있겟죠.. 이 두물질 모두.. 기본적으로 이중결합과 단결합의 길이가 약간 차이가 있는 상태가 더 안정합니다. 정말로, 정말로, 간단히 설명드릴려구 했는데..제가 봐도 어렵네요.. 참고 되셨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