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5-23
org.kosen.entty.User@1e4e3802
주상일(sangil0611)
- 6
논문을 읽다보니 NMR로 분자량을 측정하였다고 하는데,
도무지 이해가 안되서요.
NMR데이터로 분자량을 알 수 있나요?
아님 다른 분석의 데이터와 연계해서 측정하였다는 것인가요?
- NMR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6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08-05-23- 0
>논문을 읽다보니 NMR로 분자량을 측정하였다고 하는데, > >도무지 이해가 안되서요. > >NMR데이터로 분자량을 알 수 있나요? > >아님 다른 분석의 데이터와 연계해서 측정하였다는 것인가요? > NMR로 분자량 측정은 불가합니다. 단, 기존의 알려진 물질과 NMR 상의 피크가 동일할 경우에는 그 물질이라고 할 수 있지만 unknown의 경우에는 NMR로만은 불가합니다. 잘 아시겠지만 NMR은 solution structure에 대한 정보를 얻는데 유용한 분석기입니다. 아마 다른 분석기(mass spectrometry & size exclusion chromatography 등)와 커플된 분석법으로 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다시 한번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
답변
채성욱님의 답변
2008-05-24- 0
>논문을 읽다보니 NMR로 분자량을 측정하였다고 하는데, > >도무지 이해가 안되서요. > >NMR데이터로 분자량을 알 수 있나요? > >아님 다른 분석의 데이터와 연계해서 측정하였다는 것인가요? > 우선 님께서 말씀하신 논문을 읽어보지 않아서 제 생각을 말씀드리자면 NMR로 기지물질인지 신규물질인지는 알 수는 있지만 분자량의 결정적인 근거는 될 수 없습니다. NMR분석을 해서 기지물질로 밝혀지고 그 기지물질의 분자량이 얼마니까 분자량이 얼마라고 말하는 것이죠. 아무리 기지물질이라도 정확한 분자량을 알기 위해서는 MS를 측정해야 합니다. -
답변
심용호님의 답변
2008-05-26- 0
보통 합성을 할때 분자량을 알고 있는 initiator를 사용합니다. 아니면 한쪽에 이미 알고 있는 작은 메틸이나 에틸기가 붙어 있는 물질을 씁니다. 소위말해서 내부reference 역할을 해주므로 가능합니다. 이 경우 합성을 마친 후에 initiator의 양은 고분자당 하나씩 붙어 있으니까 정량이 가능합니다. 그게 메틸기라면 H가 3개니까 해당 고분자의 체인 피크를 비교했을때 300이 나온다면 100개의 체인이 붙은거죠. 더 자세한것을 알고 싶으시면, 구체적인 내용을 질문으로 올리세요. ^0^ >논문을 읽다보니 NMR로 분자량을 측정하였다고 하는데, > >도무지 이해가 안되서요. > >NMR데이터로 분자량을 알 수 있나요? > >아님 다른 분석의 데이터와 연계해서 측정하였다는 것인가요? > -
답변
심용호님의 답변
2008-05-27- 0
기타 내용이 화면에 안나오네요.. 종종 피크가 겹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 initiator의 구조를 다르게 디자인 하여서 (합성을 하여) 사용합니다. 그런 다음 상대적 분자량을 구해서 표현하기도 합니다. >논문을 읽다보니 NMR로 분자량을 측정하였다고 하는데, > >도무지 이해가 안되서요. > >NMR데이터로 분자량을 알 수 있나요? > >아님 다른 분석의 데이터와 연계해서 측정하였다는 것인가요? > -
답변
오동현님의 답변
2008-05-27- 0
diffusion nmr을 찍어서 2-D로 DOESY를 찍으면 hydrodynamic radius값이 나옵니다. 이걸 표준 물질로 calibration하면 분자량으로 환산할 수도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서.. 고분자의 경우에 유효할 수 있습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10-01-28- 0
첨부파일
>논문을 읽다보니 NMR로 분자량을 측정하였다고 하는데,>>도무지 이해가 안되서요.>>NMR데이터로 분자량을 알 수 있나요?>>아님 다른 분석의 데이터와 연계해서 측정하였다는 것인가요? 첨부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