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6-25
org.kosen.entty.User@19fad0f2
박재일(jaeil7)
- 4
하수처리장의 하수슬러지에서 균2개를 분리 동정하였습니다.
16S rRNA sequencing결과 (Blast search 결과)가 각각 아래와 같았습니다.
1. Enterobacter sp. YRL01
2. Citrobacter sp. F5-4
2개균주 모두 Identities가 99% 였습니다.
여기서 질문이 있습니다.(저의 전공이 이쪽이 아니여서 기초적인 질문이지만 저에게는 많은 도움이 될것같습니다. 도와주세요^^.)
질문1. 만약 하수슬러지에서 분리해 낸 균의 16S rRNA 분석후 Blast 결과가 기존의 알려진 균과의 Identity가 97%이하 일때 이때 분리한 균은 완전히 새로운 균이라고 확답은 하지 못하지만 어느정도는 새로운 균이라고 생각할수 있을것입니다. 더 확실히 밝히기 위해서 Nucleotide-Mucleotide hybridization(70% 이하) 같은 다른 동정 방법을 추가 하는 거죠.
그래서 질문입니다. 이같은 경우 즉. 분리해낸 균의 search 결과가 일반적으로 97%이하일 경우에 새로운 균주로 생각할수 있으니까 이 균주의 계통(genus,species)을 알기 위해서 16S rRNA sequencing을 하고 alignment를 해서 MEGA같은걸로 Phylogenetic tree를 그리는것 아닙니까?
즉. 새로운(신규) 균주가 계통학적으로 어디에 속하는지를 알기위해 Phylogenetic tree를 그리는거 맞죠?
질문2. 제가 분리동정한 균은 16S rRNA 시퀀싱해서 Blast search 결과가 위의 Enterobacter sp. YRL01, Citrobacter sp. F5-4 2개균주 였고 모두 Identities가 99% 였습니다. 이같은 경우는 분리동정한 균2개가 각각Enterobacter sp. YRL01, Citrobacter sp. F5-4 라고 봐도 문제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이걸 가지고 Phylogenetic tree를 그리는게 말이 되나요? 질문1과 비슷한 질문인거 같네요. 새로운 균주를 분리 동정 했을때만 Phylogenetic tree를 그리는게 아닌가요?
질
- phylogenetic tre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박수제님의 답변
2008-06-26- 0
질문1. 만약 하수슬러지에서 분리해 낸 균의 16S rRNA 분석후 Blast 결과가 기존의 알려진 균과의 Identity가 97%이하 일때 이때 분리한 균은 완전히 새로운 균이라고 확답은 하지 못하지만 어느정도는 새로운 균이라고 생각할수 있을것입니다. 더 확실히 밝히기 위해서 Nucleotide-Mucleotide hybridization(70% 이하) 같은 다른 동정 방법을 추가 하는 거죠. 그래서 질문입니다. 이같은 경우 즉. 분리해낸 균의 search 결과가 일반적으로 97%이하일 경우에 새로운 균주로 생각할수 있으니까 이 균주의 계통(genus,species)을 알기 위해서 16S rRNA sequencing을 하고 alignment를 해서 MEGA같은걸로 Phylogenetic tree를 그리는것 아닙니까? 즉. 새로운(신규) 균주가 계통학적으로 어디에 속하는지를 알기위해 Phylogenetic tree를 그리는거 맞죠? --> 보통 novel genus냐 novel species 냐가 중요한 건데, 보통 16S rRNA gene full sequencing 후 blast 결과 다른 유사한 균과 97% 정도면 novel species라고 여깁니다. 그 이하는 novel genus 겠죠. 이중 novel species일 경우에는 DDH(DNA-DNA hybridization)을 진행하게 됩니다. DDH 결과 70% 미만이라면 novel speices라는 것이 증명이 되지만.. 제 경험상 40% 이상 나온 적은 거의 없습니다. 하여 MEGA 등으로 phylogenetic tree를 그리게 되면 말씀하신 것처럼 신균주에 대한 phylogenetic position을 알 수 있습니다. 질문2. 제가 분리동정한 균은 16S rRNA 시퀀싱해서 Blast search 결과가 위의 Enterobacter sp. YRL01, Citrobacter sp. F5-4 2개균주 였고 모두 Identities가 99% 였습니다. 이같은 경우는 분리동정한 균2개가 각각Enterobacter sp. YRL01, Citrobacter sp. F5-4 라고 봐도 문제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이걸 가지고 Phylogenetic tree를 그리는게 말이 되나요? 질문1과 비슷한 질문인거 같네요. 새로운 균주를 분리 동정 했을때만 Phylogenetic tree를 그리는게 아닌가요? --> 그리는 것은 문제가 없죠. 단지 results and discussion에 기존에 나왔던 것와 똑같다. 라는 말 밖에는 할 말이 없지만요.... -
답변
김중재님의 답변
2008-06-26- 0
>질문1. 만약 하수슬러지에서 분리해 낸 균의 16S rRNA 분석후 Blast 결과가 기존의 알려진 균과의 Identity가 97%이하 일때 이때 분리한 균은 완전히 새로운 균이라고 확답은 하지 못하지만 어느정도는 새로운 균이라고 생각할수 있을것입니다. 더 확실히 밝히기 위해서 Nucleotide-Mucleotide hybridization(70% 이하) 같은 다른 동정 방법을 추가 하는 거죠. >그래서 질문입니다. 이같은 경우 즉. 분리해낸 균의 search 결과가 일반적으로 97%이하일 경우에 새로운 균주로 생각할수 있으니까 이 균주의 계통(genus,species)을 알기 위해서 16S rRNA sequencing을 하고 alignment를 해서 MEGA같은걸로 Phylogenetic tree를 그리는것 아닙니까? >즉. 새로운(신규) 균주가 계통학적으로 어디에 속하는지를 알기위해 Phylogenetic tree를 그리는거 맞죠? -> 앞서 pgpoch 님께서 잘 설명해 주셨지만, 뱀발을 달아 봅니다. 말씀하신 것 처럼 새로운 종 (또는 속)으로 예상될 경우 tree 를 그려서 내가 분리한 미생물이 어느 미생물 군에 속한다라는 것을 보이기도 하지만, 역설적으로 내가 분리한 미생물이 새로운 미생물이다 라는 것을 의미하기도 하죠. >질문2. 제가 분리동정한 균은 16S rRNA 시퀀싱해서 Blast search 결과가 위의 Enterobacter sp. YRL01, Citrobacter sp. F5-4 2개균주 였고 모두 Identities가 99% 였습니다. 이같은 경우는 분리동정한 균2개가 각각Enterobacter sp. YRL01, Citrobacter sp. F5-4 라고 봐도 문제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이걸 가지고 Phylogenetic tree를 그리는게 말이 되나요? 질문1과 비슷한 질문인거 같네요. 새로운 균주를 분리 동정 했을때만 Phylogenetic tree를 그리는게 아닌가요? -> 분리한 미생물이 각각 Enterobacter sp. YRL01, Citrobacter sp. F5-4 와 가장 유사하다고 Blast searching 결과 나왔다고 하셨는데, 정확하게 분리 미생물이 어디에 속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type strain 들로 비교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마도 Enterobacter sp. 와 Citrobacter sp. 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을 듯 보이나, 아시다시피 NCBI 의 Blast searching 결과 나오는 결과들은 varidation 이 되지 않은 것들입니다. 즉, 아무나 대충 이름 지어서 올리면 그 내용이 검색 결과로 나올 수 있다는 말입니다. high score 로 나온 미생물들의 type strain 들을 찾아서 tree 를 그려보고 similarity matrix 를 만들어 보면 정말 내 분리균이 어느 미생물과 같은 미생물인지 확인할 수 있을 겁니다. type strain 의 확인은 1. 각 균주보관센터에서 확인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고, 2. RDP site (http://rdp.cme.msu.edu/) 에서 확인하실 수 있고, 3. http://www.bacterio.cict.fr/ 에서도 확인가능하고, 4. 최신의 균주들은 http://ijs.sgmjournals.org/ 에서 하나씩 확인하셔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2,3번의 사이트 만으로도 대략의 분류는 가능하리라 생각되네요. 논문을 보면 신규 종이 아닌 경우 (97% 이상 16S similarity 가 있는 경우)는 tree 는 논문에 싣지 않고 similarity 가 어떤 균과 몇 % 였다. 그래서 뭐라고 명명했다. 정도로 기술하더군요. 미생물 분류 및 phylogentic tree 작성에 관해서는, 여기 가시면 전체적인 과정이 쉽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참고해 보세요. http://bio.kaist.ac.kr/~stlee/micro/Data/Phylogenetic%20Tree/Phylogenetic%20Tree.htm -
답변
박재일님의 답변
2008-06-26- 0
감사드립니다..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감사합니다.. -
답변
박재일님의 답변
2008-06-26- 0
좋은 정보 알려주셔셔 감사합니다. 이제 조금씩 뚤리는 느낌이 듭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