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항균성??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미역에서 추출되어지는 알지네이트라는 다당류물질이 항균성을 갖는다는데... 왜 그런가요?? 그리고 항균성을 갖는 물질은 어떤 화학적인 이유 때문에 균의 성장을 억제하거나 죽이는건가 요?? 그리고 키토산이 항균성을 갖는 이유도 가르쳐 주세요...
  • antibacterial
  • sodium alginat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김범수님의 답변

    >안녕하세요.. > >다름이 아니라 미역에서 추출되어지는 알지네이트라는 다당류물질이 항균성을 갖는다는데... > >왜 그런가요?? > >그리고 항균성을 갖는 물질은 어떤 화학적인 이유 때문에 균의 성장을 억제하거나 죽이는건가 > >요?? > >그리고 키토산이 항균성을 갖는 이유도 가르쳐 주세요... > > 키토산 항균성 관련 문헌 첨부하였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 >다름이 아니라 미역에서 추출되어지는 알지네이트라는 다당류물질이 항균성을 갖는다는데... > >왜 그런가요?? > >그리고 항균성을 갖는 물질은 어떤 화학적인 이유 때문에 균의 성장을 억제하거나 죽이는건가 > >요?? > >그리고 키토산이 항균성을 갖는 이유도 가르쳐 주세요... > > 키토산 항균성 관련 문헌 첨부하였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김범수님의 답변

    >안녕하세요.. > >다름이 아니라 미역에서 추출되어지는 알지네이트라는 다당류물질이 항균성을 갖는다는데... > >왜 그런가요?? > >그리고 항균성을 갖는 물질은 어떤 화학적인 이유 때문에 균의 성장을 억제하거나 죽이는건가 > >요?? > >그리고 키토산이 항균성을 갖는 이유도 가르쳐 주세요... > > 알지네이트 항균성 관련 논문 첨부하였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 >다름이 아니라 미역에서 추출되어지는 알지네이트라는 다당류물질이 항균성을 갖는다는데... > >왜 그런가요?? > >그리고 항균성을 갖는 물질은 어떤 화학적인 이유 때문에 균의 성장을 억제하거나 죽이는건가 > >요?? > >그리고 키토산이 항균성을 갖는 이유도 가르쳐 주세요... > > 알지네이트 항균성 관련 논문 첨부하였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정재현님의 답변

    >안녕하세요.. > >다름이 아니라 미역에서 추출되어지는 알지네이트라는 다당류물질이 항균성을 갖는다는데... > >왜 그런가요?? > >그리고 항균성을 갖는 물질은 어떤 화학적인 이유 때문에 균의 성장을 억제하거나 죽이는건가 > >요?? > >그리고 키토산이 항균성을 갖는 이유도 가르쳐 주세요... > 아마도 이러한 고분자가 항균성을 갖는 이유는 전하를 띠고 있기 때문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양전하를 띠는 양이온성 고분자는 가장 우수한 항균작용을 보이고, 음이온성 또는 양쪽성 고분자는 상대적으로 약한 항균작용을 보이는 반면 중성고분자는 전혀 항균작용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전하를 띠는 고분자에 바이러스가 비활성화되는 이유는 전하를 띠는 고분자 사슬이 마치 스파이크(spike) 처럼 표면에 서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고분자 사슬은 예리한 송곳처럼 지질 이중층(lipid bilayer)을 파고들어 결국 바이러스와 병원성 박테리아를 죽게 만드는 것이지요. 또한 알지네이트 같은 경우에는 금속이온들에 의해 겔화될 수 있고 (아마 구조식을 보시면 알 수 있을 것입니다.) 때문에 그 안에 항균활성이 좋은 은과 같은 금속 이온들을 포집하여 더욱 항균작용에 탁월한 능력을 보이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미국 국립과학아카데미회보 게재된 연구보고서(Proc. Natl. Acad. Sci. USA 2006, 103, 17667)에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imine)으로 코팅된 유리표면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올려놓으면 5분 이내에 활성을 잃어버린다는 사실을 발표했는데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 >다름이 아니라 미역에서 추출되어지는 알지네이트라는 다당류물질이 항균성을 갖는다는데... > >왜 그런가요?? > >그리고 항균성을 갖는 물질은 어떤 화학적인 이유 때문에 균의 성장을 억제하거나 죽이는건가 > >요?? > >그리고 키토산이 항균성을 갖는 이유도 가르쳐 주세요... > 아마도 이러한 고분자가 항균성을 갖는 이유는 전하를 띠고 있기 때문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양전하를 띠는 양이온성 고분자는 가장 우수한 항균작용을 보이고, 음이온성 또는 양쪽성 고분자는 상대적으로 약한 항균작용을 보이는 반면 중성고분자는 전혀 항균작용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전하를 띠는 고분자에 바이러스가 비활성화되는 이유는 전하를 띠는 고분자 사슬이 마치 스파이크(spike) 처럼 표면에 서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고분자 사슬은 예리한 송곳처럼 지질 이중층(lipid bilayer)을 파고들어 결국 바이러스와 병원성 박테리아를 죽게 만드는 것이지요. 또한 알지네이트 같은 경우에는 금속이온들에 의해 겔화될 수 있고 (아마 구조식을 보시면 알 수 있을 것입니다.) 때문에 그 안에 항균활성이 좋은 은과 같은 금속 이온들을 포집하여 더욱 항균작용에 탁월한 능력을 보이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미국 국립과학아카데미회보 게재된 연구보고서(Proc. Natl. Acad. Sci. USA 2006, 103, 17667)에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imine)으로 코팅된 유리표면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올려놓으면 5분 이내에 활성을 잃어버린다는 사실을 발표했는데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김현성님의 답변

    대체로 항균성은 양이온성(cation)에 의해 보이고 있는데 대표적인것이 키토산의 아민기에 의한 것이고 계면활성제에도 4급 암모늄계가 항균성이 있습니다. 다만 알긴산에 대해서는 항균활성이 있다는 것은 자료를 더 봐야겠군요.. >안녕하세요.. > >다름이 아니라 미역에서 추출되어지는 알지네이트라는 다당류물질이 항균성을 갖는다는데... > >왜 그런가요?? > >그리고 항균성을 갖는 물질은 어떤 화학적인 이유 때문에 균의 성장을 억제하거나 죽이는건가 > >요?? > >그리고 키토산이 항균성을 갖는 이유도 가르쳐 주세요... > >
    대체로 항균성은 양이온성(cation)에 의해 보이고 있는데 대표적인것이 키토산의 아민기에 의한 것이고 계면활성제에도 4급 암모늄계가 항균성이 있습니다. 다만 알긴산에 대해서는 항균활성이 있다는 것은 자료를 더 봐야겠군요.. >안녕하세요.. > >다름이 아니라 미역에서 추출되어지는 알지네이트라는 다당류물질이 항균성을 갖는다는데... > >왜 그런가요?? > >그리고 항균성을 갖는 물질은 어떤 화학적인 이유 때문에 균의 성장을 억제하거나 죽이는건가 > >요?? > >그리고 키토산이 항균성을 갖는 이유도 가르쳐 주세요... >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