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pcl nanofiber 플라즈마

pcl nanofiber에 플라즈마를 하니 투명해지던데 잘못된것인가여? pcl film을 할때는 육안으로 바뀌는건 없던데 pcl nanofiber를 플라즈마를 하니 투명해지면서 머라할까 녹는것 같더군요.(녹진않고 은박지에 투명해진 상태로 붙어는 있습니다.) melting되는 건가여? 혹시 pcl nanofiber에 플라즈마 해보신분들의 답변 부탁드립니다. (플라즈마 기계는 상압플라즈마 app꺼 사용했습니다. 80w에 아르곤을 주가스로 산소를 부가스로 사용)
  • 플라즈마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최재혁님의 답변

    pcl이면 폴리카프로락톤인가 일텐데, 생분해성 성질도 있고 녹는점이 그리 높지 않은 폴리머입니다. 실험장치 셋업을 구체적으로 적지 않으셔서 확답을 드리기가 곤란하지만, 일단 대기압 아르곤 RF플라즈마 처리를 하셨다고 했는데 플라즈마 내부에 파이버가 들어간 상태로 처리했는지 아니면 플라즈마 외부에서 플라즈마로부터 생성되는 활성종들에 의한 화학적 처리인지가 중요할 듯 싶구요. 플라즈마 내부에 넣어서 실험하신 상태라면 녹아서 은박지에 붙었다고 보는게 맞지 않을까 싶습니다. 또한 필름 형태에 비해 파이버의 형태, 게다가 나노파이버라면 볼륨에 비해 표면적이 매우 넓은 구조이므로 플라즈마로부터 받는 열에너지가 형태 변형에 쉽게 관여할 수 있겠죠. 추가 의문사항이 있으시면, 좀더 장치에 대한 설명을 자세히 적어주시길 바랍니다. >pcl nanofiber에 플라즈마를 하니 투명해지던데 >잘못된것인가여? pcl film을 할때는 육안으로 바뀌는건 없던데 >pcl nanofiber를 플라즈마를 하니 투명해지면서 머라할까 >녹는것 같더군요.(녹진않고 은박지에 투명해진 상태로 붙어는 있습니다.) melting되는 건가여? 혹시 pcl nanofiber에 >플라즈마 해보신분들의 답변 부탁드립니다. >(플라즈마 기계는 상압플라즈마 app꺼 사용했습니다. >80w에 아르곤을 주가스로 산소를 부가스로 사용)
    pcl이면 폴리카프로락톤인가 일텐데, 생분해성 성질도 있고 녹는점이 그리 높지 않은 폴리머입니다. 실험장치 셋업을 구체적으로 적지 않으셔서 확답을 드리기가 곤란하지만, 일단 대기압 아르곤 RF플라즈마 처리를 하셨다고 했는데 플라즈마 내부에 파이버가 들어간 상태로 처리했는지 아니면 플라즈마 외부에서 플라즈마로부터 생성되는 활성종들에 의한 화학적 처리인지가 중요할 듯 싶구요. 플라즈마 내부에 넣어서 실험하신 상태라면 녹아서 은박지에 붙었다고 보는게 맞지 않을까 싶습니다. 또한 필름 형태에 비해 파이버의 형태, 게다가 나노파이버라면 볼륨에 비해 표면적이 매우 넓은 구조이므로 플라즈마로부터 받는 열에너지가 형태 변형에 쉽게 관여할 수 있겠죠. 추가 의문사항이 있으시면, 좀더 장치에 대한 설명을 자세히 적어주시길 바랍니다. >pcl nanofiber에 플라즈마를 하니 투명해지던데 >잘못된것인가여? pcl film을 할때는 육안으로 바뀌는건 없던데 >pcl nanofiber를 플라즈마를 하니 투명해지면서 머라할까 >녹는것 같더군요.(녹진않고 은박지에 투명해진 상태로 붙어는 있습니다.) melting되는 건가여? 혹시 pcl nanofiber에 >플라즈마 해보신분들의 답변 부탁드립니다. >(플라즈마 기계는 상압플라즈마 app꺼 사용했습니다. >80w에 아르곤을 주가스로 산소를 부가스로 사용)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