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11-06
org.kosen.entty.User@44a51b18
남경년(rudsusl)
- 1
궁금 한 것이 있는데
세포신호전달이나 분자생물학 이런등등의 책을 보다보면
신호전달과정에서 리셉터와 리간드가 바인딩하면 어떻게 되고 그리고 그반응으로 인해 또다른 작용이 일어나고 ....
이런식으로 흘러가자나요?
그런데 그 초기 단계에서 보통 리셉터와 리간드가 서로 바인딩을 한 다음에
dimerization을 하잖아요?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왜 신호가 전달이 되는 과정에서 monomer상태에서 하지 않고 dimer상태에서 하는거죠?
monomer상태에서 하는것도 있는데 dimer상태가 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dimer상태가 되면 어떠한 장점과 단점이 생기나요?
- dimerizatio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한재석님의 답변
2008-11-10- 0
이렇게 참신한 생각을 하시다니 정말 부럽습니다. 이들 protein들은 monomer상태에서는 주로 activity가 없다가 receptor가 binding하면서 conformational change를 통해 dimer를 이루면서 동시에 대부분 특정 activity를 갖게 됩니다. 보통 kinase activity를 얻게 되어 서로를 인산화하고 이들 인산화를 통해 다시 한번 활성화되어 다를 substrate를 인산화하거나 아니면 다른 기능을 통해 2차 전달물질을 활성화시키게 됩니다. 제가 생각할 때는 이들 dimerization이 하나의 스위치 역할을 하는 것 같습니다. 또한 dimerization을 할때 같은 것끼리 하는 것 (homodimerization)도 있지만 다른 것들과 하는 것 (Heterodimerization)을 하는 경우도 종종 있지요. 이런 경우는 최소한의 단백질을 가지고 여러가지 다른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잇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다른 잇점들도 있을 거라고 생각됩니다. >궁금 한 것이 있는데 >세포신호전달이나 분자생물학 이런등등의 책을 보다보면 >신호전달과정에서 리셉터와 리간드가 바인딩하면 어떻게 되고 그리고 그반응으로 인해 또다른 작용이 일어나고 .... >이런식으로 흘러가자나요? >그런데 그 초기 단계에서 보통 리셉터와 리간드가 서로 바인딩을 한 다음에 >dimerization을 하잖아요? >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왜 신호가 전달이 되는 과정에서 monomer상태에서 하지 않고 dimer상태에서 하는거죠? >monomer상태에서 하는것도 있는데 dimer상태가 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dimer상태가 되면 어떠한 장점과 단점이 생기나요?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