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11-12
org.kosen.entty.User@4ef7d70b
전상진(csj1730)
- 1
실험을 하다가 결과를 얻었는데, 궁금한 것이 질문드립니다.
순수한 셀룰로오스에 두 가지 실란을 처리하였습니다.
하나는 아미노실란: H2N(CH2)2NH2(CH2)3Si(OCH3)3 과 TMOS: Si(OCH3)3 입니다.
3% 농도로 처리하였습니다. 처리 후 Polypropylene 수지에 개질된 셀룰로오스 50wt.%를 compounding 하였습니다(50:50).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더니 TMOS 3% 처리된 셀룰로오스로 보강된 PP가 아미노실란 3% 처리된 셀룰로오스 보강된 PP보다 많이 높았습니다.
제 생각으로는 아미노기와 메톡시기가 PP와는 상용성이 적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
왜 메톡시가 아미노기에 비해서 강도가 높았는지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고수님들의 답변을 기다리겠습니다. 혹시 참고할만한 논문이 있으면 추천해주십시오.
- 아미노실란
- 셀룰로오스
- 계면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이배훈님의 답변
2008-11-14- 0
>실험을 하다가 결과를 얻었는데, 궁금한 것이 질문드립니다. >순수한 셀룰로오스에 두 가지 실란을 처리하였습니다. >하나는 아미노실란: H2N(CH2)2NH2(CH2)3Si(OCH3)3 과 TMOS: Si(OCH3)3 입니다. >3% 농도로 처리하였습니다. 처리 후 Polypropylene 수지에 개질된 셀룰로오스 50wt.%를 compounding 하였습니다(50:50).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더니 TMOS 3% 처리된 셀룰로오스로 보강된 PP가 아미노실란 3% 처리된 셀룰로오스 보강된 PP보다 많이 높았습니다. >제 생각으로는 아미노기와 메톡시기가 PP와는 상용성이 적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 >왜 메톡시가 아미노기에 비해서 강도가 높았는지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고수님들의 답변을 기다리겠습니다. 혹시 참고할만한 논문이 있으면 추천해주십시오. >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혹 일리가 있을 지? pp 가 hydrophobic 하기 때문에 메톡시가 아미노기 보다 훨신 hydrophobic 해서 상용성이 더 나아서 좀더 compact 하게 compounding 이 되지 않을 까요? 또 보통 가지가 길면 결정성을 갖기가 쉽지 않습니다. 분자 구조를 보니 메톡시가 여러가지 space가 있는 아니노기보다 결정성을 더 갖을 것으로 예상 저의 추측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