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중추신경계 관련해서 용어가 이해가 안갑니다.

책을 가지고 스터디를 하는데요. 이런글이 있어요 중추신경에 작용하는 약물은 신경전달물질의 생산, 저장, 그리고 작용의 종료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시납스전(전연접부)에서 작용을 한다. 다른 약물은 시납스후 수용체를 활성화하거나 차단시킨다. 질문 1. 중추신경계는 시납스전에서 작용을 하고 다른 약물은 시납스 후라는 건가요? 질문 2. 시납스 전과 후에 작용하는 약물이 다름으로 인해서 효과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 중추신경계
  • CNS
  • 시납스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정철웅님의 답변

    중추신경계 시냅스에서 neurotransmiter의 양을 조절하는 약물이 대부분인데요. 이들 약물은 reuptake inhibitor와 receptor 에 작용하는 약물로 나눌 수 있겠습니다. reuptake inhibitor는 시냅스 전 뉴런에 작용하여 neurotransmiter가 재흡수 되는 것을 억제하여 시냅스에 신경전달물질의 양을 더 오래동안 높이 유지 시켜서 효과를 보이는 것이구요. receptor에 작용하는 것은 직접 특정 receptor(주로 시냅스에서 뒤쪽 신경)에 작용하여 활성 또는 억제를 하는 약물입니다. >책을 가지고 스터디를 하는데요. 이런글이 있어요 > >중추신경에 작용하는 약물은 신경전달물질의 생산, 저장, 그리고 작용의 종료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시납스전(전연접부)에서 작용을 한다. 다른 약물은 시납스후 수용체를 활서화하거나 차단시킨다. > >질문 1. 중추신경계는 시납스전에서 작용을 하고 다른 약물은 시납스 후라는 건가요? >질문 2. 시납스 전과 후에 작용하는 약물이 다름으로 인해서 효과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중추신경계 시냅스에서 neurotransmiter의 양을 조절하는 약물이 대부분인데요. 이들 약물은 reuptake inhibitor와 receptor 에 작용하는 약물로 나눌 수 있겠습니다. reuptake inhibitor는 시냅스 전 뉴런에 작용하여 neurotransmiter가 재흡수 되는 것을 억제하여 시냅스에 신경전달물질의 양을 더 오래동안 높이 유지 시켜서 효과를 보이는 것이구요. receptor에 작용하는 것은 직접 특정 receptor(주로 시냅스에서 뒤쪽 신경)에 작용하여 활성 또는 억제를 하는 약물입니다. >책을 가지고 스터디를 하는데요. 이런글이 있어요 > >중추신경에 작용하는 약물은 신경전달물질의 생산, 저장, 그리고 작용의 종료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시납스전(전연접부)에서 작용을 한다. 다른 약물은 시납스후 수용체를 활서화하거나 차단시킨다. > >질문 1. 중추신경계는 시납스전에서 작용을 하고 다른 약물은 시납스 후라는 건가요? >질문 2. 시납스 전과 후에 작용하는 약물이 다름으로 인해서 효과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장병기님의 답변

    도대체 누가 쓴 책이길래... 두 문장을 몇 번을 읽어도 감이 안 옵니다. 제가 공부를 제대로 안해서 이해를 못하는 것 같기도 합니다. 하여튼 무슨 말을 하는건지. 시냅스-synapse-는 한 뉴런(신경세포)에서 다른 뉴런이 맞닿아 서로 신호를 주고 받는 공간입니다. 신경연접부위라고도 합니다. 한 뉴런에서 한 뉴런으로 1:1 이 아닌 수많은 뉴런들이 이런식으로 얽혀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곳을 통하여 화학적 및 전기적 자극이 세포에서 세포로 전달되게 됩니다. 신경전달이 원활히, 제대로 이루어져야 우리 몸에서 일어나는 여러 일들에 대한 대처 및 처리를 할 수 있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약물들은.. 신경전달에 중요한 receptor 들을 자극하거나 억제합니다. 도파민, 아세틸콜린 같은 물질들이 각각 receptor 와 결합하므로써 신경전달과 관련된 신호를 잃으키는데... 약물들이 이러한 정상적 일들을 방해하거나 증가시킵니다. presynapse{시냅스전, 한글표현이 익숙치 않네요..^^), postsynapse(시냅스후) 에서 작용하는 약물이 있을 것이므로 문의하신 문장에서 그리 쓴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시냅스에 관한 공부를 차라리 인터넷에서 찾아보시는 것이 훨씬 쉽고 빠르게 공부가 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책을 가지고 스터디를 하는데요. 이런글이 있어요 > >중추신경에 작용하는 약물은 신경전달물질의 생산, 저장, 그리고 작용의 종료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시납스전(전연접부)에서 작용을 한다. 다른 약물은 시납스후 수용체를 활서화하거나 차단시킨다. > >질문 1. 중추신경계는 시납스전에서 작용을 하고 다른 약물은 시납스 후라는 건가요? >질문 2. 시납스 전과 후에 작용하는 약물이 다름으로 인해서 효과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도대체 누가 쓴 책이길래... 두 문장을 몇 번을 읽어도 감이 안 옵니다. 제가 공부를 제대로 안해서 이해를 못하는 것 같기도 합니다. 하여튼 무슨 말을 하는건지. 시냅스-synapse-는 한 뉴런(신경세포)에서 다른 뉴런이 맞닿아 서로 신호를 주고 받는 공간입니다. 신경연접부위라고도 합니다. 한 뉴런에서 한 뉴런으로 1:1 이 아닌 수많은 뉴런들이 이런식으로 얽혀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곳을 통하여 화학적 및 전기적 자극이 세포에서 세포로 전달되게 됩니다. 신경전달이 원활히, 제대로 이루어져야 우리 몸에서 일어나는 여러 일들에 대한 대처 및 처리를 할 수 있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약물들은.. 신경전달에 중요한 receptor 들을 자극하거나 억제합니다. 도파민, 아세틸콜린 같은 물질들이 각각 receptor 와 결합하므로써 신경전달과 관련된 신호를 잃으키는데... 약물들이 이러한 정상적 일들을 방해하거나 증가시킵니다. presynapse{시냅스전, 한글표현이 익숙치 않네요..^^), postsynapse(시냅스후) 에서 작용하는 약물이 있을 것이므로 문의하신 문장에서 그리 쓴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시냅스에 관한 공부를 차라리 인터넷에서 찾아보시는 것이 훨씬 쉽고 빠르게 공부가 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책을 가지고 스터디를 하는데요. 이런글이 있어요 > >중추신경에 작용하는 약물은 신경전달물질의 생산, 저장, 그리고 작용의 종료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시납스전(전연접부)에서 작용을 한다. 다른 약물은 시납스후 수용체를 활서화하거나 차단시킨다. > >질문 1. 중추신경계는 시납스전에서 작용을 하고 다른 약물은 시납스 후라는 건가요? >질문 2. 시납스 전과 후에 작용하는 약물이 다름으로 인해서 효과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양현모(yymomo) 2008-12-01

    책제목은 리핀코트의 약리학 강의 입니다. 8장 처음 부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