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12-01
org.kosen.entty.User@d32e869
김정근(baramnamoo)
- 2
제가 버섯에 생기는 병원균을 연구합니다.
거의 초기 단계라 여러가지 시행착오를 겪고 있습니다.
이 병원균을 관찰해보니 곰팡이(진균)인 것은 알겠습니다만,
어떤 배지에서 어떻게 조건을 잡아야 할지 의문입니다.
현재 PDA와 Aspergillus spp.가 사용하는 CM, MeA를 사용하고 있는데,
자라는 모양도 제각각 길이도 엉망.
그래서 기본배지 추천과
최적배지를 찾는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혹시나 이름모를 병원균을 공부하신 분이 계신다면,
어떤 연구를 해야하는지 어떻게 진행해야 하는지....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곰팡이
- 배지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박수제님의 답변
2008-12-01- 0
>제가 버섯에 생기는 병원균을 연구합니다. >거의 초기 단계라 여러가지 시행착오를 겪고 있습니다. >이 병원균을 관찰해보니 곰팡이(진균)인 것은 알겠습니다만, >어떤 배지에서 어떻게 조건을 잡아야 할지 의문입니다. >현재 PDA와 Aspergillus spp.가 사용하는 CM, MeA를 사용하고 있는데, >자라는 모양도 제각각 길이도 엉망. > >그래서 기본배지 추천과 >최적배지를 찾는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혹시나 이름모를 병원균을 공부하신 분이 계신다면, >어떤 연구를 해야하는지 어떻게 진행해야 하는지....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fungi는 그 배지에 따라서 자라는 모양, 색깔이 다름니다. PDA가 가장 기본적인 배지이고, 혹여 Czapek 이라하여 합성 배지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그러니.. 배지에 따라서 자라는 모양등이 틀리다고 너무 걱정 안하셔도 될 것 같네요.. 그리고 한가지 더, 만약 fungi가 확실하다고 생각되신다면, slide culture를 해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답변
장성재님의 답변
2008-12-02- 0
우선 실험을 하시는 목적을 묻고 싶군요. 버섯에서 발견한 병원균 (진균)을 동정하시고자 하시는 지, 아니면 다른 목적이 있으신지요? 배지에 따라서 균의 성장이나 형태, 생화학적 특성은 변화하므로 균동정을 위한 배지를 선택하셔서 동정을 먼저하시는 것이 좋을 듯 싶습니다. 윗분께서 언급하셨듯이 PDA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배지이지만, 혼합배지이므로 가장 기초적인 배지 (배지의 화학적 조성이 확실한)를 사용하셔서 탄소원이나 질소원 등을 변화시키면서 최적의 배지를 얻을 수 있을 겁니다. 하지만, 최적이라는 의미가 균체의 성장을 목적으로 하는지...등등에 따라서 변할 수 있겠지요. 님께서는 우선 균의 동정을 목적으로 하시는 것 같습니다. 진균류의 배양에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배지에 대한 자료를 첨부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제가 버섯에 생기는 병원균을 연구합니다. >거의 초기 단계라 여러가지 시행착오를 겪고 있습니다. >이 병원균을 관찰해보니 곰팡이(진균)인 것은 알겠습니다만, >어떤 배지에서 어떻게 조건을 잡아야 할지 의문입니다. >현재 PDA와 Aspergillus spp.가 사용하는 CM, MeA를 사용하고 있는데, >자라는 모양도 제각각 길이도 엉망. > >그래서 기본배지 추천과 >최적배지를 찾는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혹시나 이름모를 병원균을 공부하신 분이 계신다면, >어떤 연구를 해야하는지 어떻게 진행해야 하는지....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