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12-02
org.kosen.entty.User@74720ea6
남예인(nym3256)
- 1
hypoxia가 dyspnea를 유발 하는 여부에 대한 자료 수집인데요
유발하지 않는다는 의견과 유발하는 의견에 대해 정확히 부연 설명 부탁 드려요
- hypoxia
- dyspnea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이배훈님의 답변
2008-12-03- 0
>hypoxia가 dyspnea를 유발 하는 여부에 대한 자료 수집인데요 > > > >유발하지 않는다는 의견과 유발하는 의견에 대해 정확히 부연 설명 부탁 드려요 > > Dyspnea는 respiratory failure와는 구별이 되어야 한다. Respiratory failure는 hypoxia, hypercapnia가 동반된 것으로 lung뿐만 아니라, medulla, cortex 등은 여러 CNS level과 연관이 될 수 있다. 위의 정의처럼 dyspnea는 hypoxia와 hypercapnea가 있는 respiratory failure와는 다른 불편한 호흡의 느낌이므로, organic cause외에 정신학적 상태, 문화적 배경, 환경, 살아온 경험 등이 dyspnea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http://kdaq.empas.com/qna/view.html?n=6278938 호흡부전증의 치료 급성 호흡 부전의 치료 원칙은 저산소증(혈액 내 산소 부족)이나 과탄산 혈증(혈액 내 탄산 과다)을 빨리 교정하면서 동시에 원인이 되는 질환을 치료하는 것입니다. 치료를 함에도 저산소증이나 과탄산혈증이 교정되지 않으면 인공 호흡기를 걸어 양압 환기를 하여야 합니다. 호흡 부전증(Respiratory failure) 사람의 폐는 공기 중의 산소를 받아들여 조직으로 이를 공급하는데 가장 중요한 가스 교환을 담당합니다. 급성 호흡 부전증은 일반적으로 심한 폐렴, 폐부종, 폐출혈, 및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과 같은 질환에서 보이는 저산소성(혈액 내 산소 부족) 호흡 부전이 있으며, 천식 혹은 만성 폐쇄성 폐 질환의 급성 악화로 인한 근피로나 중증 근무력증, 다발성 신경병증 등과 같이 호흡을 담당하는 신경이나 근육의 질환으로 인한 환기 장애로 발생하는 과탄산 혈증성(혈액 내 탄산 과다) 호흡 부전이 있습니다. 가장 많은 것은 만성 폐쇄성 폐 질환에서 호흡기 감염으로 인한 급성 악화로 생기는 저산소성, 과탄산 혈증성 호흡 부전 등이 있습니다. 동의어 호흡 부전증, respiratory failure,급성 호흡 부전 정 의 평상시 유지되던 동액혈 산소압에서 산소 분압이 10~15 mmHg 감소된 경우 저산소성(혈액 내 산소 부족) 호흡 부전이라고 하며, 혈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50mmHg 이거나 과탄산 혈증으로 인해 pH가 7.3 이하가 되는 경우를 과탄산 혈증성(혈액 내 탄산 과다) 호흡 부전이라고 합니다. 증 상 호흡 곤란(숨찬 증상)이 주 증상이며 저산소 혈증(혈액 내 산소 부족), 과탄산 혈증(혈액 내 탄산 과다)이 심하면 두통, 의식 장애 등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원인/병태생리 저산소성(혈액 내 산소 부족) 호흡 부전은 중증의 폐렴이나 폐부종, 폐출혈 등으로 폐포에서 산소의 확산에 문제가 생기는 질환으로 인해 발생하고, 과탄산 혈증성(혈액 내 탄산 과다) 호흡 부전은 환기량이 감소하거나 사강 호흡이 증가하는 등의 환기의 장애가 원인으로 발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