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자궁내막증(endometriosis)

안녕하세요! 궁금한것이 있어서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endometriosis 즉 자궁 내막증은 자궁 이외에 다른 부위가 염증이 생기는 것으로 나와있는데여 거기에 자궁내막에서 세포가 계속적인 증식으로 생기는 원인이 된다고 하는데 그것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만약 자궁내막에서 세포가 계속적으로 증식이 된다면, 자궁내막증 이외에 다른 질병에도 영향을 주는지 궁금합니다. 답변으로 하셔도 좋고, 논문이나 기타 다른 방식으로 답변을 해주셔도 좋습니다. 좋은 하루 되십시요!
  • endometriosis
  • 자궁내막증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이배훈님의 답변

    >안녕하세요! > >궁금한것이 있어서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 >endometriosis 즉 자궁 내막증은 자궁 이외에 다른 부위가 염증이 생기는 것으로 나와있는데여 >거기에 자궁내막에서 세포가 계속적인 증식으로 생기는 원인이 된다고 하는데 그것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만약 자궁내막에서 세포가 계속적으로 증식이 된다면, 자궁내막증 이외에 다른 질병에도 영향을 주는지 궁금합니다. >답변으로 하셔도 좋고, 논문이나 기타 다른 방식으로 답변을 해주셔도 좋습니다. > >좋은 하루 되십시요! - 자궁 내막의 원인들중 자궁내막 세포들 월경시 피와 함께 난관을 통해 복강이나 자궁내막외에서 자라는 현상이라 합니다. 자궁 내막 세포가 계속 자라는 것과 때에 맞게 월경혈로 배출되는 것은 정상이라 다른 곳에서 자라면 여러가지 결과(월경통, 불임, 비정상자궁출혈)과 깊은 관련이 있다고 합니다.- 자궁내막증을 일으키는 것은 무엇인가? 자궁내막증이 생기는 기전에는 몇 가지 가설이 있습니다. 이중 가장 우세한 설은 월경혈이 역류하여 자궁내막증이 생긴다는 가설입니다. 즉 월경혈이 난관을 통해 골반 내 공간으로 퍼진다는 것입니다. 이 가설에 따르면 자궁 내막 세포가 난소나 골반 내 어느 공간에서든 이식할 수 있습니다. 이 이론을 지지하는 증거로서 월경혈이 정상적으로 바깥쪽으로 배출하는 통로에 이상이 있는 여성에게 자궁내막증의 발생률이 더 높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그러나 월경의 역류가 있어도 자궁내막증으로 결코 생기지 않는 여성도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기전이 작용할 가능성도 생각해 봐야 할 것입니다. 가능한 다른 설명 중에는 면역계의 변화를 들 수 있습니다. 면역계는 우리 몸 속의 비정상 세포 및 몸에 침입한 박테리아를 제거합니다. 월경혈의 역류가 생기면 복강 내에 침투한 자궁 내막 세포를 제거하도록 면역계가 자극을 받게 됩니다. 이것이 남아있는 자궁 내막 조직이 이식하고 성장하는 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연구자들은 자궁내막증이 있는 여성에게서 면역계와 관련된 세포들과 화학물질들이 상당히 나타난다고 보고하고 있습니다. 자궁내막증이 있는 누이나 어머니가 있는 여성에게선 발생률이 더 높습니다. 그러므로 유전적인 요소가 관련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런 요소들이 면역계에 변화를 미치는지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수십 년의 연구에도 불구하고 왜 자궁내막증이 어떤 여성에게서는 생기고 어떤 여성들에서는 생기지 않는 지에 대해서는 아직도 이해가 안 되고 있는 부분이 많습니다 자궁내막증은 어떻게 생겼는가? 자궁내막증의 초기에는 골반에 흩어져 자라는 작고 얇은 조각들 같습니다. 이 작은 조각들의 크기는 변하지 않을 수도 있고, 흉터가 남거나, 수개월에 걸쳐 저절로 없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한편 난소를 침범하여 자궁 내막종이라고 불리는 혈액으로 가득 찬 낭들을 이루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낭들의 크기는 콩보다 작은 것에서부터 자몽보다 큰 것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합니다. 커다란 낭에서 출혈이 생기면 갑자기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터져나온 액체는 염증을 일으키거나 흉터를 만들 수 있습니다. 어떤 경우에는 유착 조직이 자궁과 난관, 난소, 그리고 인접한 소장을 모두 붙여버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면 자궁내막조직이 소장 내로 침입하여 자라거나 질과 대장을 분리하는 조직으로부터 자라는 경우도 생깁니다. 자궁 내막조직이 자궁 벽 속 깊숙이 자라는 것을 자궁선근증이라고 하며 이 때 자궁은 약간 커지면서 붉은 색을 띠고 정상보다 물렁물렁하며 부드러워집니다. 때로는 자궁내막조직이 방광을 침범하는 수도 있습니다. 자궁내막증은 주위 조직을 침범할 수 있지만 암과는 다릅니다 www.ksfs.or.kr/info/m2-4.html 자궁내막증이란 자궁의 내벽을 이루는 자궁내막 조직이 자궁 이외의 다른 부위에 존재하는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대개 복강내의 난소나 난관, 자궁 주위의 인대 등이 그 호발부위가 됩니다. 자궁내막증의 원인은 아직 분명치 않으나, 월경시 일부 월경혈은 난관을 통하여 복강내로 유입되며 이에 포함된 자궁내막 조직이 복강내에서 착상되어 자라는 것이 주된 원인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자궁내막증 병소는 정상적인 자궁내막과 마찬가지로 월경주기에 따른 내분비 환경에 반응하여 증식과 출혈을 일으켜 자궁내막증의 증상을 발현하게 되는데 대개 가임기 여성의 약 7%정도에서 존재하는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자궁내막증의 원인은 아직 분명치 않으나, 월경시 일부 월경혈은 난관을 통하여 복강내로 유입되며 이에 포함된 자궁내막 조직이 복강내에서 착상되어 자라는 것이 주된 원인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http://nongae.gsnu.ac.kr/~choiwj/endometriosis.htm 중에서 1. 자궁내막증의 증상 자각증상이 전혀 없는 경우도 있으나, 생리통, 성교통, 불임증이 있는 경우가 가장 많습니다. 이외 배변, 배뇨시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증상의 정도가 질환의 정도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으며, 증상만으로는 질환을 확진하기가 어렵습니다. 2. 자궁내막증의 진단 1) 병력 청취 생리통이나 성교통의 유무, 불임 등 자궁내막증 관련 증상에 관한 병력의 청취가 필요합니다. 2) 이학적 검진 자궁 경부와 질을 시진하고 자궁과 난관, 난소 등의 자궁부속기를 촉진하여 종괴나 압통 등의 유무를 검사합니다. 3) 초음파 검사 자궁이나 자궁부속기의 종괴와의 감별이 필요한 경우 초음파 검사를 시행합니다. 4) 혈액 검사 자궁내막증 환자에서 상승되는 혈액내 물질인 CA 125를 측정하여 자궁내막증의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5) 복강경 검사 자궁내막증의 진단을 내리려면 복강경 검사가 필수적입니다. 복강내에 존재하는 자궁내막증 병소를 직접 눈으로 확인하여 진단하는 것으로 치료의 계획을 세우는 데 필요한 병소의 위치, 크기, 정도 등의 확인이 가능합니다. 배꼽 근처의 복부를 1cm정도 절개한 후 복강 내에 인체에 무해한 기체를 넣어 확장시키고 복강경을 넣어 검사하는 것입니다. 3. 자궁내막증의 치료 증상의 심한 정도나 차후의 임신계획, 연령 등이 치료 방침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고려 인자가 되며 크게 약물 요법과 수술 요법이 있습니다. 1) 약물 요법 - 성선자극호르몬 분비호르몬 길항제 (GnRH 길항제) :일시적인 폐경상태를 유발하여 자궁내막증 병소의 위축을 유도하는 작용을 합니다. 대개 한달 에 한 번 복용하는 주사제의 형태로 투약이 간편하나 비교적 고가라는 단점이 있으며, 폐경기 유사 증상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약물 치료제입니다. - 다나졸 :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과 유사한 작용을 하는 합성 호르몬으로 여성호르몬 농도를 낮추어 폐경상태를 유발하여 병소가 위축됩니다. 여드름, 지성피부, 다모증, 음성 변화를 일으킬 수도 있으나 대부분 복용의 중단과 함께 없어집니다. - 황체호르몬 제제 : 황체호르몬은 여성호르몬의 일종이며, 황체호르몬제제를 지속적으로 투여하면 자궁내막증 병소가 위축하게 됩니다. 간헐적인 질출혈, 체중 증가, 수분 저류 등의 부작용이 가능합니다. - 경구피임제 : 황체호르몬 제제와 유사한 기전으로 자궁내막증 병소를 감소시킵니다. 2) 수술 요법 - 보존적 요법 : 차후의 임신 계획이 있는 경우 자궁이나 난소를 보존하면서 되도록 많은 자궁내막 조직을 제거 하는 것으로 골반경 또는 개복술을 통해 절제, 소작, 레이저를 이용한 기화법 등을 이용합니다. - 근치적 요법 :더 이상의 임신 계획이 없고 다른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자궁과 난소, 난관을 광범위하게 절제하는 수술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 >궁금한것이 있어서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 >endometriosis 즉 자궁 내막증은 자궁 이외에 다른 부위가 염증이 생기는 것으로 나와있는데여 >거기에 자궁내막에서 세포가 계속적인 증식으로 생기는 원인이 된다고 하는데 그것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만약 자궁내막에서 세포가 계속적으로 증식이 된다면, 자궁내막증 이외에 다른 질병에도 영향을 주는지 궁금합니다. >답변으로 하셔도 좋고, 논문이나 기타 다른 방식으로 답변을 해주셔도 좋습니다. > >좋은 하루 되십시요! - 자궁 내막의 원인들중 자궁내막 세포들 월경시 피와 함께 난관을 통해 복강이나 자궁내막외에서 자라는 현상이라 합니다. 자궁 내막 세포가 계속 자라는 것과 때에 맞게 월경혈로 배출되는 것은 정상이라 다른 곳에서 자라면 여러가지 결과(월경통, 불임, 비정상자궁출혈)과 깊은 관련이 있다고 합니다.- 자궁내막증을 일으키는 것은 무엇인가? 자궁내막증이 생기는 기전에는 몇 가지 가설이 있습니다. 이중 가장 우세한 설은 월경혈이 역류하여 자궁내막증이 생긴다는 가설입니다. 즉 월경혈이 난관을 통해 골반 내 공간으로 퍼진다는 것입니다. 이 가설에 따르면 자궁 내막 세포가 난소나 골반 내 어느 공간에서든 이식할 수 있습니다. 이 이론을 지지하는 증거로서 월경혈이 정상적으로 바깥쪽으로 배출하는 통로에 이상이 있는 여성에게 자궁내막증의 발생률이 더 높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그러나 월경의 역류가 있어도 자궁내막증으로 결코 생기지 않는 여성도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기전이 작용할 가능성도 생각해 봐야 할 것입니다. 가능한 다른 설명 중에는 면역계의 변화를 들 수 있습니다. 면역계는 우리 몸 속의 비정상 세포 및 몸에 침입한 박테리아를 제거합니다. 월경혈의 역류가 생기면 복강 내에 침투한 자궁 내막 세포를 제거하도록 면역계가 자극을 받게 됩니다. 이것이 남아있는 자궁 내막 조직이 이식하고 성장하는 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연구자들은 자궁내막증이 있는 여성에게서 면역계와 관련된 세포들과 화학물질들이 상당히 나타난다고 보고하고 있습니다. 자궁내막증이 있는 누이나 어머니가 있는 여성에게선 발생률이 더 높습니다. 그러므로 유전적인 요소가 관련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런 요소들이 면역계에 변화를 미치는지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수십 년의 연구에도 불구하고 왜 자궁내막증이 어떤 여성에게서는 생기고 어떤 여성들에서는 생기지 않는 지에 대해서는 아직도 이해가 안 되고 있는 부분이 많습니다 자궁내막증은 어떻게 생겼는가? 자궁내막증의 초기에는 골반에 흩어져 자라는 작고 얇은 조각들 같습니다. 이 작은 조각들의 크기는 변하지 않을 수도 있고, 흉터가 남거나, 수개월에 걸쳐 저절로 없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한편 난소를 침범하여 자궁 내막종이라고 불리는 혈액으로 가득 찬 낭들을 이루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낭들의 크기는 콩보다 작은 것에서부터 자몽보다 큰 것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합니다. 커다란 낭에서 출혈이 생기면 갑자기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터져나온 액체는 염증을 일으키거나 흉터를 만들 수 있습니다. 어떤 경우에는 유착 조직이 자궁과 난관, 난소, 그리고 인접한 소장을 모두 붙여버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면 자궁내막조직이 소장 내로 침입하여 자라거나 질과 대장을 분리하는 조직으로부터 자라는 경우도 생깁니다. 자궁 내막조직이 자궁 벽 속 깊숙이 자라는 것을 자궁선근증이라고 하며 이 때 자궁은 약간 커지면서 붉은 색을 띠고 정상보다 물렁물렁하며 부드러워집니다. 때로는 자궁내막조직이 방광을 침범하는 수도 있습니다. 자궁내막증은 주위 조직을 침범할 수 있지만 암과는 다릅니다 www.ksfs.or.kr/info/m2-4.html 자궁내막증이란 자궁의 내벽을 이루는 자궁내막 조직이 자궁 이외의 다른 부위에 존재하는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대개 복강내의 난소나 난관, 자궁 주위의 인대 등이 그 호발부위가 됩니다. 자궁내막증의 원인은 아직 분명치 않으나, 월경시 일부 월경혈은 난관을 통하여 복강내로 유입되며 이에 포함된 자궁내막 조직이 복강내에서 착상되어 자라는 것이 주된 원인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자궁내막증 병소는 정상적인 자궁내막과 마찬가지로 월경주기에 따른 내분비 환경에 반응하여 증식과 출혈을 일으켜 자궁내막증의 증상을 발현하게 되는데 대개 가임기 여성의 약 7%정도에서 존재하는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자궁내막증의 원인은 아직 분명치 않으나, 월경시 일부 월경혈은 난관을 통하여 복강내로 유입되며 이에 포함된 자궁내막 조직이 복강내에서 착상되어 자라는 것이 주된 원인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http://nongae.gsnu.ac.kr/~choiwj/endometriosis.htm 중에서 1. 자궁내막증의 증상 자각증상이 전혀 없는 경우도 있으나, 생리통, 성교통, 불임증이 있는 경우가 가장 많습니다. 이외 배변, 배뇨시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증상의 정도가 질환의 정도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으며, 증상만으로는 질환을 확진하기가 어렵습니다. 2. 자궁내막증의 진단 1) 병력 청취 생리통이나 성교통의 유무, 불임 등 자궁내막증 관련 증상에 관한 병력의 청취가 필요합니다. 2) 이학적 검진 자궁 경부와 질을 시진하고 자궁과 난관, 난소 등의 자궁부속기를 촉진하여 종괴나 압통 등의 유무를 검사합니다. 3) 초음파 검사 자궁이나 자궁부속기의 종괴와의 감별이 필요한 경우 초음파 검사를 시행합니다. 4) 혈액 검사 자궁내막증 환자에서 상승되는 혈액내 물질인 CA 125를 측정하여 자궁내막증의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5) 복강경 검사 자궁내막증의 진단을 내리려면 복강경 검사가 필수적입니다. 복강내에 존재하는 자궁내막증 병소를 직접 눈으로 확인하여 진단하는 것으로 치료의 계획을 세우는 데 필요한 병소의 위치, 크기, 정도 등의 확인이 가능합니다. 배꼽 근처의 복부를 1cm정도 절개한 후 복강 내에 인체에 무해한 기체를 넣어 확장시키고 복강경을 넣어 검사하는 것입니다. 3. 자궁내막증의 치료 증상의 심한 정도나 차후의 임신계획, 연령 등이 치료 방침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고려 인자가 되며 크게 약물 요법과 수술 요법이 있습니다. 1) 약물 요법 - 성선자극호르몬 분비호르몬 길항제 (GnRH 길항제) :일시적인 폐경상태를 유발하여 자궁내막증 병소의 위축을 유도하는 작용을 합니다. 대개 한달 에 한 번 복용하는 주사제의 형태로 투약이 간편하나 비교적 고가라는 단점이 있으며, 폐경기 유사 증상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약물 치료제입니다. - 다나졸 :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과 유사한 작용을 하는 합성 호르몬으로 여성호르몬 농도를 낮추어 폐경상태를 유발하여 병소가 위축됩니다. 여드름, 지성피부, 다모증, 음성 변화를 일으킬 수도 있으나 대부분 복용의 중단과 함께 없어집니다. - 황체호르몬 제제 : 황체호르몬은 여성호르몬의 일종이며, 황체호르몬제제를 지속적으로 투여하면 자궁내막증 병소가 위축하게 됩니다. 간헐적인 질출혈, 체중 증가, 수분 저류 등의 부작용이 가능합니다. - 경구피임제 : 황체호르몬 제제와 유사한 기전으로 자궁내막증 병소를 감소시킵니다. 2) 수술 요법 - 보존적 요법 : 차후의 임신 계획이 있는 경우 자궁이나 난소를 보존하면서 되도록 많은 자궁내막 조직을 제거 하는 것으로 골반경 또는 개복술을 통해 절제, 소작, 레이저를 이용한 기화법 등을 이용합니다. - 근치적 요법 :더 이상의 임신 계획이 없고 다른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자궁과 난소, 난관을 광범위하게 절제하는 수술이 필요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박세아님의 답변

    >안녕하세요! > >궁금한것이 있어서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 >endometriosis 즉 자궁 내막증은 자궁 이외에 다른 부위가 염증이 생기는 것으로 나와있는데여 >거기에 자궁내막에서 세포가 계속적인 증식으로 생기는 원인이 된다고 하는데 그것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만약 자궁내막에서 세포가 계속적으로 증식이 된다면, 자궁내막증 이외에 다른 질병에도 영향을 주는지 궁금합니다. >답변으로 하셔도 좋고, 논문이나 기타 다른 방식으로 답변을 해주셔도 좋습니다. > >좋은 하루 되십시요! wikipedia라는 사이트는 과학 및 인문 사회에 걸친 전반적인 백과사전입니다. 아래 내용을 보면 endomeriosis는 uterus 바깥쪽에서의 growth에 의한 것이라고 되어있습니다. 싸이트 들어가셔서 보시면 난소, 난관 등 여러 조직에서 발생된다고 되어있습니다. 이 자궁이외의 조직에서 발생되면 이 조직들의 기능이 상실될 가능성이 크므로 불임의 원인이 됩니다. Endometriosis (from endo, "inside", and metra, "womb") is a common medical condition in women that is characterized by growth beyond or outside the uterus of tissue resembling endometrium, the tissue that normally lines the uterus.
    >안녕하세요! > >궁금한것이 있어서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 >endometriosis 즉 자궁 내막증은 자궁 이외에 다른 부위가 염증이 생기는 것으로 나와있는데여 >거기에 자궁내막에서 세포가 계속적인 증식으로 생기는 원인이 된다고 하는데 그것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만약 자궁내막에서 세포가 계속적으로 증식이 된다면, 자궁내막증 이외에 다른 질병에도 영향을 주는지 궁금합니다. >답변으로 하셔도 좋고, 논문이나 기타 다른 방식으로 답변을 해주셔도 좋습니다. > >좋은 하루 되십시요! wikipedia라는 사이트는 과학 및 인문 사회에 걸친 전반적인 백과사전입니다. 아래 내용을 보면 endomeriosis는 uterus 바깥쪽에서의 growth에 의한 것이라고 되어있습니다. 싸이트 들어가셔서 보시면 난소, 난관 등 여러 조직에서 발생된다고 되어있습니다. 이 자궁이외의 조직에서 발생되면 이 조직들의 기능이 상실될 가능성이 크므로 불임의 원인이 됩니다. Endometriosis (from endo, "inside", and metra, "womb") is a common medical condition in women that is characterized by growth beyond or outside the uterus of tissue resembling endometrium, the tissue that normally lines the uterus.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