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세포가 증식하면???

면역 억제제 약물을 주입한 동물에게 사람의 세포를 이식을 하였을때 만약 사람의 세포가 증식을 한다면 무엇을 공부해야하는지요! 세포증식이 되었을때는 분화와 관련되었다고 해야하나여? 아니면 ectoderm,endoderm으로 분화? 또한 사람의 세포를이식했을때 동물의 세포가 더 증식을 한다면, 사람의 세포가 증식에 관여 한다고 할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 세포
  • 증식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DELETED님의 답변

    >면역 억제제 약물을 주입한 동물에게 사람의 세포를 이식을 하였을때 >만약 사람의 세포가 증식을 한다면 무엇을 공부해야하는지요! >세포증식이 되었을때는 분화와 관련되었다고 해야하나여? >아니면 ectoderm,endoderm으로 분화? > >또한 사람의 세포를이식했을때 동물의 세포가 더 증식을 한다면, 사람의 세포가 >증식에 관여 한다고 할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실험목적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동물에 사람 세포를 이식하면 거부 면역반응에 의해 죽는 것이 예상됩니다. 그런데 면역억제제를 사용하면 면역반응이 억제되어 사람의 세포를 더이상 거부하는 면역반응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사람의 세포가 증식할 수 있을 것입니다. 비슷한 예가 암관련 동물 실험을 할때 면역 결핍된 마우스들에 인간의 암세포주를 이식하면 인간의 암세포주에 대하여 거부 반응이 나지 않고 암세포주가 자라는 것과 같은 이치라고 생각됩니다.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면역 억제제 약물을 주입한 동물에게 사람의 세포를 이식을 하였을때 >만약 사람의 세포가 증식을 한다면 무엇을 공부해야하는지요! >세포증식이 되었을때는 분화와 관련되었다고 해야하나여? >아니면 ectoderm,endoderm으로 분화? > >또한 사람의 세포를이식했을때 동물의 세포가 더 증식을 한다면, 사람의 세포가 >증식에 관여 한다고 할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실험목적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동물에 사람 세포를 이식하면 거부 면역반응에 의해 죽는 것이 예상됩니다. 그런데 면역억제제를 사용하면 면역반응이 억제되어 사람의 세포를 더이상 거부하는 면역반응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사람의 세포가 증식할 수 있을 것입니다. 비슷한 예가 암관련 동물 실험을 할때 면역 결핍된 마우스들에 인간의 암세포주를 이식하면 인간의 암세포주에 대하여 거부 반응이 나지 않고 암세포주가 자라는 것과 같은 이치라고 생각됩니다.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민보경님의 답변

    사람세포와 동물세포는 종이 다르기때문에 이종(xenogenic)이식이라고 합니다. 이런 경우엔 면역억제제를 투입하기도 하지만 면역 거부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면역계 (Thymus 또는 spleen)가 결여된 동물들을 사용합니다. 이런 동물에 대한 사람세포의 이식은 그 목적에 따라 증식, 분화 모두 성립될 수 있습니다. 만일 NOD/SCID 마우스에 사람의 조혈모세포를 이식하면 그것은 증식 및 분화를 모두하고 Nude 마우스에 암세포를 이식하면 암세포의 증식에 의해 종양이 만들어지므로 이경우엔 증식이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줄기세포중에도 배아줄기세포의 경우엔 말씀하신대로 nude 마우스에 이식하면 endoderm, ectoderm, mesoderm으로 모두 분화할 수 있습니다. 충분한 답변이 되었는지 모르겠지만 실험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으니 그 점을 고려하셔서 생각하시기 바랍니다. >면역 억제제 약물을 주입한 동물에게 사람의 세포를 이식을 하였을때 >만약 사람의 세포가 증식을 한다면 무엇을 공부해야하는지요! >세포증식이 되었을때는 분화와 관련되었다고 해야하나여? >아니면 ectoderm,endoderm으로 분화? > >또한 사람의 세포를이식했을때 동물의 세포가 더 증식을 한다면, 사람의 세포가 >증식에 관여 한다고 할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사람세포와 동물세포는 종이 다르기때문에 이종(xenogenic)이식이라고 합니다. 이런 경우엔 면역억제제를 투입하기도 하지만 면역 거부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면역계 (Thymus 또는 spleen)가 결여된 동물들을 사용합니다. 이런 동물에 대한 사람세포의 이식은 그 목적에 따라 증식, 분화 모두 성립될 수 있습니다. 만일 NOD/SCID 마우스에 사람의 조혈모세포를 이식하면 그것은 증식 및 분화를 모두하고 Nude 마우스에 암세포를 이식하면 암세포의 증식에 의해 종양이 만들어지므로 이경우엔 증식이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줄기세포중에도 배아줄기세포의 경우엔 말씀하신대로 nude 마우스에 이식하면 endoderm, ectoderm, mesoderm으로 모두 분화할 수 있습니다. 충분한 답변이 되었는지 모르겠지만 실험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으니 그 점을 고려하셔서 생각하시기 바랍니다. >면역 억제제 약물을 주입한 동물에게 사람의 세포를 이식을 하였을때 >만약 사람의 세포가 증식을 한다면 무엇을 공부해야하는지요! >세포증식이 되었을때는 분화와 관련되었다고 해야하나여? >아니면 ectoderm,endoderm으로 분화? > >또한 사람의 세포를이식했을때 동물의 세포가 더 증식을 한다면, 사람의 세포가 >증식에 관여 한다고 할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