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12-04
org.kosen.entty.User@758dd52f
권미혜(lovemhbm)
- 2
혈액에서의 FXIII activity를 측정 할 때
sodium citrate 가 들어간 plasma를 사용하더라구요
plasma를 얻는 방법에는 sodium citrate 말고도 heparin이나 EDTA를
이용하기도 하는데 sodium citrate 가 들어간 plasma를 많이 사용하는 이유는 뭔가요??
그리고 다른... heparin이나 EDTA가 들어 있는 plasma를 사용하면 안되는 건가요??
- plasma
- FXIII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강효찬님의 답변
2008-12-05- 0
혈액응고인자 분석시 혈장을 사용하게 됩니다. 혈액에서 혈장을 얻기 위해서는 항응고제를 첨가해야만 하지요. 이때, 검사 종류에 따라서 항응고제를 달리 사용합니다. EDTA는 혈액응고 분석시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EDTA가 Ca을 킬레이트하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습니다. 칼슘은 혈액응고인자 4번으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혈액응고인자 분석하고자 할때는 3.2% Sod. citrate를 사용합니다. 참고로, 혈액가스 분석(주로 동맥혈내 산소분압, 이산화탄소분압, pH 분석등) 시에는 헤파린을 사용하구요.... 헤파린은 Sod. citrate에 비해 단가가 세기 때문에 특정 분석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EDTA나 Sod. citrate를 사용하게 됩니다... 이상 허접한 답변입니다... >혈액에서의 FXIII activity를 측정 할 때 >sodium citrate 가 들어간 plasma를 사용하더라구요 >plasma를 얻는 방법에는 sodium citrate 말고도 heparin이나 EDTA를 >이용하기도 하는데 sodium citrate 가 들어간 plasma를 많이 사용하는 이유는 뭔가요?? >그리고 다른... heparin이나 EDTA가 들어 있는 plasma를 사용하면 안되는 건가요?? -
답변
이배훈님의 답변
2008-12-05- 0
>혈액에서의 FXIII activity를 측정 할 때 >sodium citrate 가 들어간 plasma를 사용하더라구요 >plasma를 얻는 방법에는 sodium citrate 말고도 heparin이나 EDTA를 >이용하기도 하는데 sodium citrate 가 들어간 plasma를 많이 사용하는 이유는 뭔가요?? >그리고 다른... heparin이나 EDTA가 들어 있는 plasma를 사용하면 안되는 건가요?? 혈액검사에 이용되는 항응고제에는 구연산나트륨(sodium citrate), 헤파린 그리고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 등이 있다. 항응고제가 지니는 물리화학적 특징과 검사 에 미치는 영향에 따라서 특정 검사에 가장 적합한 항응고제가 선택되어 진다. 응고검사에는 구연산나트륨이 항응고제로 이용되 고 혈액학적 검사에는 EDTA가 이용되는데 그 이유는 구연산나 트륨이 5번과 8번 응고인자를 다른 항응고제에 비해 안정하게 유 지하기 때문이고, EDTA는 혈액세포성분을 잘 보존하기 때문이 다. 그러나 이 두 물질은 혈중 유리 칼슘과 결합해서 응고과정에 필요한 칼슘을 제거하는 동일한 항응고작용을 지니고 있다. 대한진단검사의학회지 : 제22권 제3호 2002 Korean J Lab Med 2002; 22: 16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