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12-06
org.kosen.entty.User@5807b1d0
최영채(urbancohort)
- 3
Imatinib이 왜 선택적인 항암제가 되는건가요?
Imatinib은 필라델피아 염색체를 가진 암세포에 선택적으로 작용한다고 알 고 있습니다. Imatinib이 저해 작용을 하는 것을 보면 PDGFR, c-kit, abl등이구요.
여기서 궁금한것이 정상적인 세포에도 abl이 존재하는데 왜 암세포에 있는 bcr-abl에만 결합하여 선택적으로 암세포만을 저해한다고 하는 건가요?? 혹 Imatinib이 bcr-abl만 저해하고 abl은 저해하지 않는 건가요? (Eur j Cancer에서 본 표를 봐도 분명히 abl이라고만 적힌 걸로 봐선 그렇진 않은것 같은데..)
제가 뭘 잘못 알고 있는 건지 모르겠습니다. Imatinib이 abl의 저해제로 합성되었고, 정상세포에도 abl tyrosine kinase가 있고, 그러면 정상세포의 abl도 저해 되어야하는데 왜 bcr/abl 융합 단백질에만 저해작용을 하는지....
그리고 갑자기 의심가는게 bcr-abl은 막 사이에 끼어있는 단백질이고 c-abl은 막에 있는게 아니라 세포내에 돌아다니는 것도 맞나요??
- Imatinib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08-12-08- 0
>Imatinib이 왜 선택적인 항암제가 되는건가요? > >Imatinib은 필라델피아 염색체를 가진 암세포에 선택적으로 작용한다고 알 고 있습니다. Imatinib이 저해 작용을 하는 것을 보면 PDGFR, c-kit, abl등이구요. > >여기서 궁금한것이 정상적인 세포에도 abl이 존재하는데 왜 암세포에 있는 bcr-abl에만 결합하여 선택적으로 암세포만을 저해한다고 하는 건가요?? 혹 Imatinib이 bcr-abl만 저해하고 abl은 저해하지 않는 건가요? (Eur j Cancer에서 본 표를 봐도 분명히 abl이라고만 적힌 걸로 봐선 그렇진 않은것 같은데..) > >제가 뭘 잘못 알고 있는 건지 모르겠습니다. Imatinib이 abl의 저해제로 합성되었고, 정상세포에도 abl tyrosine kinase가 있고, 그러면 정상세포의 abl도 저해 되어야하는데 왜 bcr/abl 융합 단백질에만 저해작용을 하는지.... > >그리고 갑자기 의심가는게 bcr-abl은 막 사이에 끼어있는 단백질이고 c-abl은 막에 있는게 아니라 세포내에 돌아다니는 것도 맞나요?? Imatinib(Gleevec)은 abl (the Abelson proto-oncogene), c-kit, PDGF-R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receptor)에 있는 tyrosine kinase에 대해서 specific inhibitor인데, chronic myelogenous leukemia에서 Philadelphia chromosome이 abl이 bcr이라는 breakpoint cluster region과 하나의 융합 단백질을 만들게 됩니다. 이 융합 단백질은 아주 active한 tyrosine kinase인데 imatinib이 competitive inhibitor로서 이 tyrosine kinase의 활성을 감소시켜서 결국 cancer cell이 proliferation을 막게 됩니다. 이것이 정상세포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암세포에만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이유인거 같습니다. 이러한 메카니즘은 "Vigneri P, Wang JY. Induction of apoptosis in chronic myelogenous leukemia cells through nuclear entrapment of BCR-ABL tyrosine kinase. Nat Med 2001:7:228-234."을 포함한 일부 papers을 참고해 보시면 알 수 있습니다. Oregon Health and Science University의 Dr. Brian J. Druker 팀의 연구 결과 정상세포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08-12-08- 0
>Imatinib이 왜 선택적인 항암제가 되는건가요? > >Imatinib은 필라델피아 염색체를 가진 암세포에 선택적으로 작용한다고 알 고 있습니다. Imatinib이 저해 작용을 하는 것을 보면 PDGFR, c-kit, abl등이구요. > >여기서 궁금한것이 정상적인 세포에도 abl이 존재하는데 왜 암세포에 있는 bcr-abl에만 결합하여 선택적으로 암세포만을 저해한다고 하는 건가요?? 혹 Imatinib이 bcr-abl만 저해하고 abl은 저해하지 않는 건가요? (Eur j Cancer에서 본 표를 봐도 분명히 abl이라고만 적힌 걸로 봐선 그렇진 않은것 같은데..) > >제가 뭘 잘못 알고 있는 건지 모르겠습니다. Imatinib이 abl의 저해제로 합성되었고, 정상세포에도 abl tyrosine kinase가 있고, 그러면 정상세포의 abl도 저해 되어야하는데 왜 bcr/abl 융합 단백질에만 저해작용을 하는지.... > >그리고 갑자기 의심가는게 bcr-abl은 막 사이에 끼어있는 단백질이고 c-abl은 막에 있는게 아니라 세포내에 돌아다니는 것도 맞나요?? c-Abl은 세포의 생존과 세포성장, 그리고 세포의 부착과 이동을 조절하는 non-receptor tyrosine kinase로 알려져 있으며 실제 세포내에서는 핵과 세포질사 이를 이동하는 단백질로 알려져 있습니다. 흥미로운 사실은 c-Abl 단백질이 어디에 있느냐에 따라 세포의 생 존과 사멸이 조절된다는 것입니다. 즉 c-Abl 단백질이 핵에 존재하는 경우는 DNA 손상신호에 의해 세포사멸이 활성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종양유발 유전자인 BCR-Abl 단백질의 경우는 배타적으로 세포질에 타켓팅되면서 세포의 생존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c-Abl 단백질의 핵과 세포질 사이에서의 이동은 carboxyl-terminal region에 존재하는 3개의 nuclear localization signals (NLSs)와 하나의 nuclear export signal (NES)이 관여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조금 더 자세한 내용은 Nature Cell Biology 7, 278-285, 2005를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10-01-30- 0
>Imatinib이 왜 선택적인 항암제가 되는건가요? > >Imatinib은 필라델피아 염색체를 가진 암세포에 선택적으로 작용한다고 알 고 있습니다. Imatinib이 저해 작용을 하는 것을 보면 PDGFR, c-kit, abl등이구요. > >여기서 궁금한것이 정상적인 세포에도 abl이 존재하는데 왜 암세포에 있는 bcr-abl에만 결합하여 선택적으로 암세포만을 저해한다고 하는 건가요?? 혹 Imatinib이 bcr-abl만 저해하고 abl은 저해하지 않는 건가요? (Eur j Cancer에서 본 표를 봐도 분명히 abl이라고만 적힌 걸로 봐선 그렇진 않은것 같은데..) > >제가 뭘 잘못 알고 있는 건지 모르겠습니다. Imatinib이 abl의 저해제로 합성되었고, 정상세포에도 abl tyrosine kinase가 있고, 그러면 정상세포의 abl도 저해 되어야하는데 왜 bcr/abl 융합 단백질에만 저해작용을 하는지.... > >그리고 갑자기 의심가는게 bcr-abl은 막 사이에 끼어있는 단백질이고 c-abl은 막에 있는게 아니라 세포내에 돌아다니는 것도 맞나요?? 첨부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