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12-11
org.kosen.entty.User@27182fef
강혜석(lovelylion)
- 3
베타글루칸 시험법에 대한 몇 가지 의문점이 있습니다.
효소로 분해시켜 글루코오즈 상태에서 uv로 분석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는데요,
제가 보는 공전에 의하면 맨 처음 내열성 알파 아밀라아제로 분해시킬 때 20도씨에서
2시간 동안 진탕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내열성을 쓰는데 왜 20도씨에서 진탕할까요? 식이섬유도 효소 반응을 하여 분해하는데 아밀라아제 반응시에 100도씨에서 하도록 되어 있거든요. 베타글루칸도 100도씨에서 진탕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시료에 당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는 에탄올로 씻은 후 취하라고 하는데 글루코오즈로 분석하는데 왜 당을 씻어내는 걸까요? 당이 너무 많으면 전부 분해가 되지 않아서 그런건지....아시는 분 계시면 답변 바랍니다.
- 베타글루칸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08-12-12- 0
>베타글루칸 시험법에 대한 몇 가지 의문점이 있습니다. >효소로 분해시켜 글루코오즈 상태에서 uv로 분석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는데요, >제가 보는 공전에 의하면 맨 처음 내열성 알파 아밀라아제로 분해시킬 때 20도씨에서 >2시간 동안 진탕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내열성을 쓰는데 왜 20도씨에서 진탕할까요? 식이섬유도 효소 반응을 하여 분해하는데 아밀라아제 반응시에 100도씨에서 하도록 되어 있거든요. 베타글루칸도 100도씨에서 진탕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시료에 당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는 에탄올로 씻은 후 취하라고 하는데 글루코오즈로 분석하는데 왜 당을 씻어내는 걸까요? 당이 너무 많으면 전부 분해가 되지 않아서 그런건지....아시는 분 계시면 답변 바랍니다. 베타 글루칸이 들어 있는 souce 물질에는 베타 글루칸만 들어있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starch나 amylose같은 a-(1,4)-glucan이나 branch를 갖는 당들이 함께 섞여 있습니다. 따라서 내열성 alpha-amylase로 처리하는 이유는 starch같은 a-(1,4)-glucan같은 alpha-linkage로 연결된 당들을 분해하기 위해서 처리하는 이유로 생각됩니다. 이럴땐 굳이 고온에서 반응을 시킬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보통 alpha-amylase는 Bacillus sp. 중에 호열성 종이 생산한 효소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공전에 나와 있는 프로세스대로 20'C에서 반응을 시켜도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리고 베타-글루칸을 분석하는데 있어서 에탄올로 washing하는 것은 베타 글루칸 외에 다른 당들을 침전시키기 위해서 종종 사용하기도 합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08-12-12- 0
>베타글루칸 시험법에 대한 몇 가지 의문점이 있습니다. >효소로 분해시켜 글루코오즈 상태에서 uv로 분석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는데요, >제가 보는 공전에 의하면 맨 처음 내열성 알파 아밀라아제로 분해시킬 때 20도씨에서 >2시간 동안 진탕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내열성을 쓰는데 왜 20도씨에서 진탕할까요? 식이섬유도 효소 반응을 하여 분해하는데 아밀라아제 반응시에 100도씨에서 하도록 되어 있거든요. 베타글루칸도 100도씨에서 진탕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시료에 당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는 에탄올로 씻은 후 취하라고 하는데 글루코오즈로 분석하는데 왜 당을 씻어내는 걸까요? 당이 너무 많으면 전부 분해가 되지 않아서 그런건지....아시는 분 계시면 답변 바랍니다. 반응은 두 온도에서 다 가능합니다. 하지만 베타 글루칸 외에 다른 당류를 분해하기 위해 alpha amylase의 사용은 20도씨에서도 무방합니다. glucose와 에탄올의 침전 반응이라기 보다는 glucose가 폴리머 형태로 되어 있는 polysaccharide와 에탄올과의 관련성이라 얘기할 수 있습니다. 즉 에탄올 침전 반응은 에탄올과 다당류가 직접 상호 작용을 한다기보다는 다당류들이 물과의 수소결합 형성으로 인하여 물이나 버퍼에 녹아있는 것처럼 보이는데 이때 에탄올이 들어가게 되면 에탄올이 물과의 수소결합력이 더 강하게 되어서 다당류가 물과의 소소결합을 빼았는 형태가 되어 다당류들이 intramolecular hydrogen bonding이 일어나게 되어서 외형상으로 침전을 하게 됩니다. 이런 에탄올 침전은 에탄올의 첨가하는 volumn수에 따라서, 예로 8 volumn을 첨가하게 되면 분자량이 매우 큰 다당류들이 침전하게 되고, 3 volumn을 첨가하게 되면 다당류보다 분자량이 작은 올리고당류들이 침전하게 됩니다. 그리고....glucose와 에탄올의 침전반응 반응식을 혹시 아시면 가르쳐 주세요. ;; 더 여쭈어 보자면 glucose로 분석하는 실험이기 때문에 에탄올로 씻어내면 에탄올과 glucose가 반응하여 침전될 것인데요, 이 때 침전물을 버리지 않고 그대로 실험에 이용하는 것인지.......혹시 아시면 말씀 부탁 드릴게요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10-01-25- 0
>베타글루칸 시험법에 대한 몇 가지 의문점이 있습니다. >효소로 분해시켜 글루코오즈 상태에서 uv로 분석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는데요, >제가 보는 공전에 의하면 맨 처음 내열성 알파 아밀라아제로 분해시킬 때 20도씨에서 >2시간 동안 진탕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내열성을 쓰는데 왜 20도씨에서 진탕할까요? 식이섬유도 효소 반응을 하여 분해하는데 아밀라아제 반응시에 100도씨에서 하도록 되어 있거든요. 베타글루칸도 100도씨에서 진탕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시료에 당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는 에탄올로 씻은 후 취하라고 하는데 글루코오즈로 분석하는데 왜 당을 씻어내는 걸까요? 당이 너무 많으면 전부 분해가 되지 않아서 그런건지....아시는 분 계시면 답변 바랍니다. 참고자료
답변 감사드립니다. ^^ 답변에 다시 질문을 드리자면 20도씨와 100도씨 모두 반응 가능한 건가요? 그리고....glucose와 에탄올의 침전반응 반응식을 혹시 아시면 가르쳐 주세요. ;; 더 여쭈어 보자면 glucose로 분석하는 실험이기 때문에 에탄올로 씻어내면 에탄올과 glucose가 반응하여 침전될 것인데요, 이 때 침전물을 버리지 않고 그대로 실험에 이용하는 것인지.......혹시 아시면 말씀 부탁 드릴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