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fibroblast

fibroblast 세포가 여러 실험에 자주 쓰인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예를들어, 세포분화를 연구할 때도 fibroblast에 가령 근육세포로 분화시키는 유전자를 주입하여 근육세포로 만든다던지 그런 실험도 있었고 등등 다양한 실험에 fibroblast를 이용한다는 생각이 들었는데요 질문은 fibroblast가 이렇게 다양하게 실험에 쓰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다른 세포에 비해 표준적인 특징이 있기 때문인가요? 아니면 다른 세포에 비해서 실험적으로 다루기 편리해서? 답변 부탁드립니다~
  • fibroblast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이배훈님의 답변

    > >fibroblast 세포가 여러 실험에 자주 쓰인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예를들어, 세포분화를 연구할 때도 fibroblast에 가령 근육세포로 분화시키는 유전자를 주입하여 근육세포로 만든다던지 그런 실험도 있었고 등등 다양한 실험에 fibroblast를 이용한다는 생각이 들었는데요 > >질문은 fibroblast가 이렇게 다양하게 실험에 쓰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다른 세포에 비해 표준적인 특징이 있기 때문인가요? >아니면 다른 세포에 비해서 실험적으로 다루기 편리해서? > >답변 부탁드립니다~ > > 다양한 biomaterials의 세포 독성을 테스트 할때도 3T3 fibroblast 셀을 많이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제가 생각하기에는 3T3 fibroblast 셀이 다루기도 편하도 여러 generation에 가도 큰 변화가 없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20-30 generatinon 넘어가면 암세포처럼 ( oncogenic 특성) 계속 증식할 수 있는 것 처럼 보임니다.) The '3T3' designation refers to the abbreviation of "3-day transfer, inoculum 3 x 105 cells." This cell line was originally established from the primary mouse embryonic fibroblast cells that cultured by the designated protocol, so-called '3T3 protocol'. The primary mouse embryonic fibroblast cells were transferred (the "T") every 3 days (the first "3"), and inoculated at the rigid density of 3 x 105 cells per 20-cm² dish (the second "3") continuously. The spontaneously immortalized cells with stable growth rate were established after 20-30 generations in culture, and then named '3T3' cells. 3T3 cells come from a cell line established in 1962 by two scientists then at the Department of Pathology in the New York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George Todaro and Howard Green. The 3T3 cell line has become the standard fibroblast cell line. Todaro and Green originally obtained their 3T3 cells from Swiss mouse embryo tissue wikipeida 로 부터
    > >fibroblast 세포가 여러 실험에 자주 쓰인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예를들어, 세포분화를 연구할 때도 fibroblast에 가령 근육세포로 분화시키는 유전자를 주입하여 근육세포로 만든다던지 그런 실험도 있었고 등등 다양한 실험에 fibroblast를 이용한다는 생각이 들었는데요 > >질문은 fibroblast가 이렇게 다양하게 실험에 쓰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다른 세포에 비해 표준적인 특징이 있기 때문인가요? >아니면 다른 세포에 비해서 실험적으로 다루기 편리해서? > >답변 부탁드립니다~ > > 다양한 biomaterials의 세포 독성을 테스트 할때도 3T3 fibroblast 셀을 많이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제가 생각하기에는 3T3 fibroblast 셀이 다루기도 편하도 여러 generation에 가도 큰 변화가 없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20-30 generatinon 넘어가면 암세포처럼 ( oncogenic 특성) 계속 증식할 수 있는 것 처럼 보임니다.) The '3T3' designation refers to the abbreviation of "3-day transfer, inoculum 3 x 105 cells." This cell line was originally established from the primary mouse embryonic fibroblast cells that cultured by the designated protocol, so-called '3T3 protocol'. The primary mouse embryonic fibroblast cells were transferred (the "T") every 3 days (the first "3"), and inoculated at the rigid density of 3 x 105 cells per 20-cm² dish (the second "3") continuously. The spontaneously immortalized cells with stable growth rate were established after 20-30 generations in culture, and then named '3T3' cells. 3T3 cells come from a cell line established in 1962 by two scientists then at the Department of Pathology in the New York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George Todaro and Howard Green. The 3T3 cell line has become the standard fibroblast cell line. Todaro and Green originally obtained their 3T3 cells from Swiss mouse embryo tissue wikipeida 로 부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신재욱님의 답변

    Fibroblast는 섬유세포라고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조직절편이 편평하고 길쭉한 외형을 가지며 불규칙한 돌기를 보이기도 하며, 교원섬유에 밀접해 있는 경우가 많으며 그러한 형성에 밀접한 관계가 있어서 fibroblast라고 붙여졌습니다. 동물세포를 배양(culture)하다보면 기원과 상관없이 외관상 fibroblast와 아주 유사한 형태의 것이 자주 관찰되어지는데 교원섬유의 생성(합성) 여부에 상관 없이 섬유아세포라고 흔히 불리우고 있습니다. 그러나 배양에서 볼 수 있는 섬유아세포 중에는 본래의 정의대로 활발하게 교원섬유를 합성하는 경우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동물세포를 배양하다 보면 이러한 형태의 세포가 다른 세포보다 빨리 증식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장점 때문에 현재 세포노화나 세포간의 상호작용 등의 문제에 많이 이용되어지고 있고 연구되어지고 있는 세포입니다.
    Fibroblast는 섬유세포라고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조직절편이 편평하고 길쭉한 외형을 가지며 불규칙한 돌기를 보이기도 하며, 교원섬유에 밀접해 있는 경우가 많으며 그러한 형성에 밀접한 관계가 있어서 fibroblast라고 붙여졌습니다. 동물세포를 배양(culture)하다보면 기원과 상관없이 외관상 fibroblast와 아주 유사한 형태의 것이 자주 관찰되어지는데 교원섬유의 생성(합성) 여부에 상관 없이 섬유아세포라고 흔히 불리우고 있습니다. 그러나 배양에서 볼 수 있는 섬유아세포 중에는 본래의 정의대로 활발하게 교원섬유를 합성하는 경우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동물세포를 배양하다 보면 이러한 형태의 세포가 다른 세포보다 빨리 증식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장점 때문에 현재 세포노화나 세포간의 상호작용 등의 문제에 많이 이용되어지고 있고 연구되어지고 있는 세포입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