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EDTA 용해방법

EDTA를 증류수에 녹이면 잘 안녹고 하얀색 침전물이 생기는데 이유가 무엇인가요? pH를 조절해야 녹나요? 어떤 조건에서 잘녹고 침전물도 생기지 않나요? 답변 부탁합니다.
  • EDTA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EDTA를 증류수에 녹이면 잘 안녹고 하얀색 침전물이 생기는데 Ca,Mg으로 인하여 앙금이 생기는 현상입니다(hard water) -------------------------- 50mM tris-HCl bufer solution + 150mM NaCl, pH7.6 비율로 하여서 EDTA를 적정량 넣어 보시기 바랍니다.
    >EDTA를 증류수에 녹이면 잘 안녹고 하얀색 침전물이 생기는데 Ca,Mg으로 인하여 앙금이 생기는 현상입니다(hard water) -------------------------- 50mM tris-HCl bufer solution + 150mM NaCl, pH7.6 비율로 하여서 EDTA를 적정량 넣어 보시기 바랍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인태님의 답변

    >EDTA를 증류수에 녹이면 잘 안녹고 하얀색 침전물이 생기는데 > >이유가 무엇인가요? pH를 조절해야 녹나요? > >어떤 조건에서 잘녹고 침전물도 생기지 않나요? 답변 부탁합니다. 특별한 버퍼 조성을 원하는 것이 아니라면 pH 8.0만 유지 시켜 주시면 됩니다. EDTA 농도가 높다면 한번에 pH 10이상으로 높이셔도 EDTA가 녹으면서 pH가 내려갈겁니다. 그러면, 8.0을 다 용해 될때까지 유지 시켜 주시면 됩니다. 용해 pH는 8.0입니다.
    >EDTA를 증류수에 녹이면 잘 안녹고 하얀색 침전물이 생기는데 > >이유가 무엇인가요? pH를 조절해야 녹나요? > >어떤 조건에서 잘녹고 침전물도 생기지 않나요? 답변 부탁합니다. 특별한 버퍼 조성을 원하는 것이 아니라면 pH 8.0만 유지 시켜 주시면 됩니다. EDTA 농도가 높다면 한번에 pH 10이상으로 높이셔도 EDTA가 녹으면서 pH가 내려갈겁니다. 그러면, 8.0을 다 용해 될때까지 유지 시켜 주시면 됩니다. 용해 pH는 8.0입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익환님의 답변

    EDTA의 제조가 중요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관련보고서를 위 사이트로 소개합니다. 참고가 되었으면 합니다. >EDTA를 증류수에 녹이면 잘 안녹고 하얀색 침전물이 생기는데 > >이유가 무엇인가요? pH를 조절해야 녹나요? > >어떤 조건에서 잘녹고 침전물도 생기지 않나요? 답변 부탁합니다.
    EDTA의 제조가 중요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관련보고서를 위 사이트로 소개합니다. 참고가 되었으면 합니다. >EDTA를 증류수에 녹이면 잘 안녹고 하얀색 침전물이 생기는데 > >이유가 무엇인가요? pH를 조절해야 녹나요? > >어떤 조건에서 잘녹고 침전물도 생기지 않나요? 답변 부탁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EDTA를 증류수에 녹이면 잘 안녹고 하얀색 침전물이 생기는데 > >이유가 무엇인가요? pH를 조절해야 녹나요? > >어떤 조건에서 잘녹고 침전물도 생기지 않나요? 답변 부탁합니다. ETDA는 물에 대한 용해도가 22℃에서 0.2에 불과하고, 에탄올, 에테르 등의 유기용매에 녹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흔히 물에 잘 녹는 알칼리염을 사용합니다. 그러나 기왕에 알칼리염이 아닌 ETDA를 구하셨다면 알칼리염의 형태로 녹이는 수 밖에 없습니다. 다시 말하면 NaOH용액에 녹여야 된다는 뜻입니다. EDTA의 salt form은 물에 잘 녹지만 salt form이 아닌 것은 물에 잘 녹지 않습니다. 이점을 유념하고 사용하는 EDTA가 어떤 형태인지 확인 먼저 해보시구요. 또한 pH 8이 되어야 EDTA가 물에 잘 녹습니다. 따라서 stock농도를 0.5M 정도로 만들어 쓰면 무난합니다. 그런데 증류수 자체의 pH는 8이 안되기 때문에 우선 EDTA를 녹일 수 있는 양 만큼 녹이고 NaOH는 pellet 타입으로 된 것을 사용해서 pH 8로 되도록 충분히 교반을 시켜주면서 EDTA를 녹이면 다 녹습니다.
    >EDTA를 증류수에 녹이면 잘 안녹고 하얀색 침전물이 생기는데 > >이유가 무엇인가요? pH를 조절해야 녹나요? > >어떤 조건에서 잘녹고 침전물도 생기지 않나요? 답변 부탁합니다. ETDA는 물에 대한 용해도가 22℃에서 0.2에 불과하고, 에탄올, 에테르 등의 유기용매에 녹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흔히 물에 잘 녹는 알칼리염을 사용합니다. 그러나 기왕에 알칼리염이 아닌 ETDA를 구하셨다면 알칼리염의 형태로 녹이는 수 밖에 없습니다. 다시 말하면 NaOH용액에 녹여야 된다는 뜻입니다. EDTA의 salt form은 물에 잘 녹지만 salt form이 아닌 것은 물에 잘 녹지 않습니다. 이점을 유념하고 사용하는 EDTA가 어떤 형태인지 확인 먼저 해보시구요. 또한 pH 8이 되어야 EDTA가 물에 잘 녹습니다. 따라서 stock농도를 0.5M 정도로 만들어 쓰면 무난합니다. 그런데 증류수 자체의 pH는 8이 안되기 때문에 우선 EDTA를 녹일 수 있는 양 만큼 녹이고 NaOH는 pellet 타입으로 된 것을 사용해서 pH 8로 되도록 충분히 교반을 시켜주면서 EDTA를 녹이면 다 녹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