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1-14
org.kosen.entty.User@3d9f82a4
장윤영(dana1121)
- 2
HEK293을 배양하는데 넘 잘 떨어져서 콜라겐을 코팅해서 사용하려고 합니다.
근데 콜라겐이 ECM물질 중의 하나라 혹 다른 signal pathway에 영향을 끼쳐 정작 하고자하는 assay에 방해가 되지 않나요?? 아님 농도와 타입에 따라 영향이 있는건지..
코팅하려는 농도는 대략 0.1mg/ml정도 생각하는데..
- HEK293
- collage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박수정님의 답변
2009-01-14- 0
>HEK293을 배양하는데 넘 잘 떨어져서 콜라겐을 코팅해서 사용하려고 합니다. >근데 콜라겐이 ECM물질 중의 하나라 혹 다른 signal pathway에 영향을 끼쳐 정작 하고자하는 assay에 방해가 되지 않나요?? 아님 농도와 타입에 따라 영향이 있는건지.. >코팅하려는 농도는 대략 0.1mg/ml정도 생각하는데.. > 글쎄..정확한건 뭐라 말씀드리기 그렇지만, 경험상 collagen을 coating한 plate에서 배양할 경우 세포가 확실히 잘 붙고, primary cell의 경우 passage도 오래가더라구요. 이게 단순히 cell adhesion이 좋아서 cell proliferation condition이 좋아지는 건지, signaling pathway에 영향을 미쳐서 인지는 모르겠습니다. 두 조건에서 배양하고, 원하는 assay를 해보고 차이가 있다면 cell signaling에 영향을 줄 것 같은 pathway관련 gene의 expression정도를 확인해 보는게 가장 확실하고 간단하지 싶습니다. -
답변
신재욱님의 답변
2009-01-16- 0
>HEK293의 경우 collagen coated plate나 dish에서 주로 배양을 목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signal pathway에 영향 유무는 모르겠지만.... 제 생각엔 collagen coating에 0.1mg/mL보다는 약 20ug / mLtype I collagen in PBS를 사용하여 보심이..... 직접 collagen coating을 하는 것보다 collagen coated plate나 dish가 메이커별로 판매되오니(BD, Nunc 등) 구입하셔서 사용하시는것이 좋을 듯 합니다.